-
-
시대예보: 핵개인의 시대
송길영 지음 / 교보문고(단행본) / 2023년 9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114/pimg_7960121634082920.jpg)
국내 최고 빅데이터 전문가이자 시대의 마음을 캐는 송길영 저자의 <시대예보: 핵개인의 시대>.
이 시대의 이모저모를 살펴보며 일기예보처럼 시대가 흘러가는 방향을 예보합니다. 그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의 발걸음을 생각해 보게 합니다.
시대의 속도는 빨라졌습니다. 모든 것을 스스로 해나가는 사회입니다. 이제는 모든 것이 파편화되고 원자화된 시대입니다. 개인이 상호 네트워크의 힘으로 자립하는 새로운 개인의 시대. 이 새로운 개인을 송길영 저자는 ✔핵개인이라 정의합니다.
지능화, 고령화의 영향이 드러나기 시작한 오늘날입니다. 출산율 감소, 1인 가구 비율 증가, 학벌 인플레이션, 돌봄 과도기, 효도의 종말, 투명 사회, AI 자동화, 바뀌고 있는 기업 문화...
<시대예보: 핵개인의 시대>에서는 글로벌화, 가상화로 확장된 세계 속에서 핵개인이 살아가는 오늘날의 모습을 들여다봅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114/pimg_7960121634082921.jpg)
먼저 우리의 세계관이 바뀌고 있음을 짚어줍니다. K콘텐츠 열풍 시대이지만 K를 대한민국과 국적에 한정하지는 않습니다. 코리안 디아스포라 작품들이 히트한 사례처럼 K는 최소한 문화이고 사람을 의미합니다.
국가주의 세계관에만 머무는 시각으로는 핵개인들과 소통할 수 없기에 저자는 세계관 확장의 이해가 필요하다는 걸 일깨웁니다.
더불어 그동안 한국인의 가치 규범을 알아야 핵개인을 이해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한국의 개인주의는 권위주의를 혐오하면서 반대 역학으로 드러났습니다.
'개인'보다 '우리'가 더 중요했던 획일과 효율의 강박 시대에서 벗어나고자 변화했지만 그 역시 새로운 문제들이 드러납니다. 소속감은 구별짓기로, 때로는 능력주의의 함정에 빠지기도 합니다.
캠퍼스를 넘은 과잠으로 계층화되는 시대입니다. '나는 노력했으니까 드러낼 수 있다'라는 메리토크라시의 함정을 짚어줍니다. 수직적 능력주의의 환경에서 벗어나 수평적 사고의 다양성을 고민해야 할 시점입니다.
개인이 스스로를 돌보는 사회로의 진화 속에서 상호부조 시스템으로 이뤄졌던 수많은 문제도 기다리고 있습니다. 둘이 살기도 버거워 결혼도 안 하는데 고령화로 부모 부양은 더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20년 양육의 갚음이 60년의 돌봄이 된다면 '효도'란 불공정한 거래로 다가올 수밖에 없을 거라고 합니다.
'이연된 보상'으로 성장한 기존 시스템이 불공정하다며 '즉각 보상'을 원하게 된 핵개인의 시대. 그런데 돌봄 노동과 관련해 '시간차 되갚음'이 안겨주는 고통이 더 깊어진 겁니다.
새로운 생애주기에 대한 적응은 어떤 연령대도 피해 갈 수 없는 과제가 된 현실에서 우리의 역할을 고민해 봐야 할 시점입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114/pimg_7960121634082922.jpg)
새로운 기술과 시도를 두려워하지 않고 실행에 옮기는 자세, 오래가고 함께 가는 공존을 위한 타자화 멈추기, 기존의 공동체적 연대가 아닌 각 개인이 독립적인 주체로서 자발적 지원을 상호 간에 나누는 새로운 연대 형성 등 모두의 삶이 건강하게 지속 가능하도록 자기 삶과 사회 모두에 책임을 다하는 핵개인의 태도를 일깨웁니다.
삶은 계속 변합니다. 어제의 정답이 오늘의 오답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에 머물러 있는 생각'이 아닌지 짚어주는 <시대예보: 핵개인의 시대>. 내 삶을 대비하기 위한 더 큰 호흡의 '시대예보'에 귀 기울여할 때입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