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국 빅토리아 여왕과 귀족 문화 ㅣ 에이케이 트리비아북 AK Trivia Book
무라카미 리코 지음, 문성호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3년 1월
평점 :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빅토리아 시대의 바로 그 주인공, 빅토리아 여왕. 찰스 디킨스, 제인 오스틴, 브론테 자매가 그 시대에 활약했고 버지니아 울프도 시대의 영향을 받았지요. 하지만 정작 빅토리아 여왕에 대해선 잘 모르고 있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영국에서조차 빅토리아 여왕이라는 이름을 들으면 검은 상복을 입고 엄숙한 얼굴을 한 과부 이미지로만 기억한다고 합니다. 그러다 영화 <영 빅토리아>와 드라마 <빅토리아>를 통해 젊은 빅토리아의 이미지가 더해지면서 빅토리아 여왕에 대한 전반적인 느낌이 더 풍부해졌습니다.
무려 40년을 검은 상복을 입고 지낸 빅토리아 여왕. 도대체 무슨 사연이 있는 걸까요. AK 트리비아 시리즈 중 한 권으로 나온 <영국 빅토리아 여왕과 귀족 문화>에서 초상화, 사진, 일기, 편지 등 다양한 자료를 통해 여왕의 공적, 사적 생활의 이모저모를 살펴봅니다.
할아버지는 조지 3세입니다. 아버지 켄트 공은 조지 3세의 4남이었는데, 백부들 중 적자가 없었기에 결국 왕위 계승권이 빅토리아에게까지 왔습니다. 10세 때 이미 여왕이 될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켄싱턴 궁전에서 지내던 어린 시절부터 19세기 도덕적인 숙녀의 소양을 익혀야 했습니다. 일반적인 귀족 여성의 일과뿐만 아니라 왕위 계승자를 위한 수업까지 하루 일과가 1시간 단위로 계획되어 있었습니다.
마침 일기 쓰는 걸 좋아하는 빅토리아입니다. 그날그날의 감정이 담긴 일기를 엿볼 수 있습니다. 일기와 편지 쓰기는 평생 동안 했던 일이었기에 훗날 이렇게 후세에도 볼 수 있는 기록 자료가 되었습니다. 게다가 그림 그리는 것도 무척 좋아했습니다. 자화상과 남편을 그린 그림을 보면 감정이 담긴 눈빛을 표현하는 데 익숙해 보입니다.
여왕의 남편을 목표로 한 신랑 후보들의 물밑 작업은 일찍이 시작되었습니다. 여왕으로 즉위하기 전에 후보들을 만나며 빅토리아는 단 한 명에게 마음을 주게 됩니다. 독일에서 온 동갑내기 앨버트입니다. 앨버트도 여왕의 신랑 후보가 될 거라는 걸 어렸을 때부터 인지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귀족들의 운명이란!) 다행히 빅토리아와 앨버트의 사랑은 쌍방향이었습니다. 18세에 즉위식을 하고 그로부터 3년 후 둘은 결혼에 이릅니다.
군주가 당당하게 정치에 참견하고 권력을 휘두르던 시대는 과거가 되었습니다. 빅토리아 시대는 정당 체제가 정립되어간 시기입니다. 훗날 보수당과 자유당의 전신이 양립하고 있었습니다. 지금과 다를 바 없이 그때도 정당 간의 대립은 치열했고, 유럽 정세가 혼란스러울 때면 빅토리아 여왕에게도 정치적인 위기가 찾아옵니다. 당사자가 아닌 주변 인물들 때문에 화가 미치기도 합니다. 게다가 걸핏하면 남편 앨버트를 걸고 넘어가니 남편 사랑이 대단한 빅토리아가 꽤 애를 먹었던 것 같습니다.
앨버트는 온갖 개혁 사업에 참여하며 일명 일 중독자였습니다. 만성 컨디션 불량 상태였지요. 부친과 형의 자유분방한 모습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며 스스로는 높은 도덕 기준을 갖춘 인물이었습니다. 빅토리안이라는 말에는 고귀함, 고덕적, 위선적 등 성에 엄격한 이미지가 따라붙는데 빅토리아 여왕보다 오히려 앨버트의 이미지라고 합니다. 그런데 왕세자 버티가 분란을 일으킨 겁니다. 아들의 일에 신경 쓰던 앨버트는 안 그래도 안 좋던 몸이 더 악화되었고 결국 일찍 세상을 떠납니다.
남편의 사망 후 세상일에 물러난 상태처럼 지내자 군수로서의 의무를 잊었다는 비판이 일기도 합니다. 총리 디즈레일리는 빅토리아의 내재된 애국심과 제국주의적인 성질을 끌어내 개화시키려는 듯한 시책을 바치며 은둔해 있던 여왕을 대영제국의 상징으로 끌어올리는 길을 만들어냅니다.
빅토리아의 일기는 1901년 1월 13일로 끝납니다. "어젯밤까지는 그저 그랬지만, 눈이 떠져버리고 말았다. 일찍 일어나 우유를 약간 마셨다. 렌헨이 왔고, 신문을 좀 읽었다."로 시작하는 일상을 기술한 일기였습니다. 18일 빅토리아의 아이들이 불려왔고, 22일 81세의 나이로 영면했습니다.
인생의 절반 가까이를 검은 상복을 입고 지낸 빅토리아 여왕. <영국 빅토리아 여왕과 귀족 문화>에서는 로맨틱한 개인적 욕망을 추구했고 19세기의 여성다운 역할을 기꺼이 남편에게는 연기하고 싶어 했던 빅토리아의 모습, 호전적인 제국 의식은 강했던 반면 계급과 인종에 관한 관용은 경이로울 정도였던 한 인간의 다채로운 모습을 엿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