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의 쓸모 - 밤의 주인, 수면이 궁금하다면 인싸이드 과학 3
뮈리엘 플로랭 지음, 쥘리 레가레 그림, 김수진 옮김 / 풀빛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면 인싸되는, 흥미로운 과학 속으로. 인싸이드 과학 시리즈 세 번째 책은 밤의 주인, '수면'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주는 <잠의 쓸모>입니다. 


인생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잠자는 시간. 누구나 매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잠을 잡니다. 때로는 잠자는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도 할 수 있지만, 잠을 제대로 못 자면 그 부작용은 어마어마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잠은 미스터리입니다. 왜 반드시 잠을 자야만 형태로 진화했을까요. 그 누구도 잠을 자지 않고는 살 수 없습니다. 


<잠의 쓸모>에서는 신경 과학자들이 밝혀낸 수면 메커니즘, 수면 습관, 불면증, 꿈, 낮잠 등 과학이 밝혀낸 수면 과학 이야기를 만날 수 있습니다. 잠에 대한 인식의 변화, 수면을 둘러싼 미신, 꿈에 대한 이야기 등 잠과 관련한 인문, 과학적 알쓸신잡과도 같은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죽음과 형제처럼 인식한 잠. 아리스토텔레스는 수면에 관한 소논문도 썼을 만큼 고대부터 수면은 중요하게 다뤘습니다. 물론 잠자는 사람을 갑자기 깨우면 자칫 정신이 육체로 되돌아올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처럼 미신도 많았습니다. 20세기 중반에 이르러서야 수면 연구가 진전되면서 우리는 수면 메커니즘에 대해 조금씩 이해하게 됩니다. 잠이라는 것이 각성 상태에서 수면 상태로, 또 수면 상태에서 각성 상태로 바뀌게 하는 복잡한 시스템이라는 것을요. 


잠을 자는 동안은 전혀 기억이 없습니다. 언제 잠에 들었는지 어떻게 잠에서 깨어나는지 스스로 인지하지 못합니다. 과학은 얕은 수면, 깊은 서파수면, 역설수면(렘수면) 단계를 밝혀냈습니다. 이 수면 패턴은 하룻밤에 평균 4~6회 반복됩니다. 신기한 건 뇌가 없고 신경계가 몸 전체에 퍼져 있는 해파리도 잠을 잔다고 합니다. 수면 부족 시엔 세포 손상이라는 결과를 낳는 걸 보면 신경세포를 보호하기 위해 수면이 생겨난 것으로 추측하기도 합니다. 


여전히 수면 메커니즘은 신비의 세계이고 수면이 가져다주는 이익은 아리송합니다. 수면의 역할에 대해서는 가설이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동물마다 수면 시간은 제각각이지만 잠은 동물계 전체가 공유하는 행위입니다. 큰 비용이 드는 지속적인 각성 상태, 매우 경제적이지만 생물학적 기능 유지를 위협하는 동면 상태. 이 둘 사이 중간 상태로 수면의 역할을 이야기하는 가설도 있습니다. 


분명한 건 잠을 자지 않았을 때 부작용은 꽤 크다는 거죠. 불면증은 삶의 질을 떨어뜨립니다. 과학적 사실로 입증된 것은 충분히 자지 않으면 위험하다는 것입니다. 잠의 효용이 증명되진 않았지만 수면 부족의 부작용은 사실로 입증된 게 많습니다. 수면 시간이 짧은 것과 감정을 조절하는 것, 주의력이 부족한 것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다행히 잘 자는 것으로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도 합니다. 





우리는 약 24시간 주기로 순환이 이루어지는 생체 시계에 따라 수면을 취합니다. 평균 9시간은 수면을 취해야 하는 청소년 시기에는 잠보다 중요한 게 너무나 많다 보니 수면 장애를 쉽게 앓기도 합니다. 사람의 순환 시스템은 습관, 상황, 환경의 자극, 특히 빛에 따라 속도가 느려지거나 빨라진다고 합니다. 그런데 현대 사회는 잠을 방해하는 것들이 너무 많습니다. 입법 공백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도 인상 깊었습니다. 우리의 법률에는 수면권이 보장되어 있지 않은 반면, 중국은 노동자의 낮잠권을 헌법에 명문화했습니다. 


잠 자지 않고 가장 오래 버틴 기록은 1963년 한 청소년이 도전한 11일 25분이라고 합니다. 실험 후 다행히 빠르게 회복했다지만, 버틸 수 있는 기간이 겨우 11일인가 싶을 정도로 그만큼 잠이 생존에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걸 깨닫기도 합니다. 사람마다 수면 시간은 다릅니다. 모차르트는 하루 5시간씩 잤고, 볼테르는 커피를 40잔씩 마시며 4시간만 잤고, 베토벤은 보편적인 8시간씩 잠을 잤다고 합니다. 적게 자고도 좋은 몸 상태를 유지하는 사람은 뭐가 다른 걸까요? 얕은 잠과 역설수면 시간 대신 깊은 서파수면에 더 집중되어 있다고 합니다. 반면 못 자는 사람은 작은 변화 하나하나에도 예민합니다. 


꿈에 대한 비밀도 과학적으로 밝혀진 것들이 있을까요. 꿈꾸는 활동을 통제하거나 측정, 기록할 방법이 없습니다. 뇌가 언제 꿈을 꾸는지 아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저 잠에서 깨어나서 들려주는 이야기에 만족해야 합니다. 우리는 모든 수면 단계에서 꿈을 꿀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잠에서 깨는 시점에 따라 꿈을 기억할 확률은 달라진다고 하는군요. 


명확한 이유도 밝혀지지 않은 채 우리 삶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잠. 각성 시간이 늘어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잠을 소홀히 대하고 있습니다. 파란 스크린을 보며 지새웁니다. 잠은 없어도 되는 사치품이 아니라는 걸 짚어주는 <잠의 쓸모>. 수면욕을 억제하며 다른 일을 하는 행위가 잠을 대체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 돌아보는 시간입니다. 잠을 보호하는 사회를 조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 이유를 잘 알려줍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