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재식의 유령 잡는 화학자 - 귀신부터 저승사자까지, 초자연현상을 물리치는 괴심 파괴 화학 이야기
곽재식 지음 / 김영사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학박사이자 SF 소설가 곽재식의 과학적 상상력과 과학 지식이 흥미롭게 펼쳐지는 <곽재식의 유령 잡는 화학자>. 평소 괴물 이야기를 자주 했고 <한국 괴물 백과>라는 책까지 쓴 이력 덕분에 MBC <심야괴담회>에 출연하기도 한 그는 무서운 이야기, 도시 전설, 괴담을 과학적으로 해설하며 일명 괴심 파괴자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는데요. <곽재식의 유령 잡는 화학자>에서 무서운 이야기 속에 담긴 공포의 절박함을 과학 기술의 힘으로 해결하는 여정을 담았습니다. 


만델라 효과라고 알려진 기억 오류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상당히 많은 사람이 실제와 다른 내용을 사실이라고 잘못 기억하는 것들이 무척 많습니다. <봄날은 간다> 명대사 "라면 먹고 갈래요?"의 실제 대사는 "라면 먹을래요?"이고, <친구> 명대사 "내가 니 시다바리가?"는 "내는? 내는 니 시다바리가?"라고 합니다. <터미네이터 2> 결말에서 엄지손가락을 들고 용광로에 들어가면서 "I'll be back"이라는 명대사를 했다고 우리는 알고 있지만 사실 그 장면에선 그 말을 하지 않았다는 점도 놀랍습니다.


이처럼 거짓 기억, 오기억이 실제 머릿속에 자리 잡을 수 있다고 합니다. 만델라의 사망일을 많은 이들이 잘못 알고 있다 해서 이와 같은 현상을 만델라 효과라고 부릅니다. 기억이란 결코 바뀔 수 없는 명확한 기록이 아니라 뇌에 남아 있는 전기 작용과 화학 반응의 결과라고 합니다. 해마에 기억이 남겨지는 화학 반응이 어떤 이유로 차단되면 기억이 사라지기도 합니다. 술 많이 마시고 필름이 끊기는 것처럼 말이죠. 현실적으로 무서운 건 환청이 들리거나 망상을 품게 되는 조현병 증상 같은 것이 있습니다. 뇌의 일부 기능이 오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다행히 엉뚱한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차단시키는 데 도움 주는 치료제가 나와 있다니 회복할 기회가 있습니다. 


가위에 눌리는 경험을 저도 20대 때 한 번 겪었는데요. 누워있는데 앞에는 검은 사람 형체가 있고 몸은 못 움직이겠고 소름이 돋더라고요. 잠자는 동안 몸이 이상하게 마비되는 현상이라고 해서 수면마비라고 부르기도 하는 이것은 렘수면과 연결되어 있다고 합니다. 렘수면 중에는 뇌가 몸을 뜻대로 움직이는 능력이 차단된다고 해요. 그런 상태에서 갑자기 잠에서 깨어나는 상황에 접어들면, 잠에서 깨어났다는 느낌 때문에 현실처럼 생생히 느끼게 되지만 뇌의 다른 능력은 아직 깨어나기 전인 상태여서 몸은 안 움직이지는 거죠. 생생하고 분명하게 유령을 보았고 기억한다고 믿기 쉬운 상태가 됩니다. 





더불어 우연한 모양에 불과한 것에서 의미를 찾아내는 파레이돌리아 현상도 있습니다. 기분 좋은 창의적인 형태로 나타나면 다행이지만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형태로 나아가면 오싹하지요. 대체로 사람 형상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건 사람이 사회적 동물로 진화했기 때문이라는 해설이 인상 깊습니다. 사람의 감정을 빠르게 느끼고 함께 잘 어울리고 협동하며 번성하는 사람이기에 사람의 모습을 잘 알아볼 수 있게 진화했고, 어렴풋한 모양에도 사람 비슷한 것이 있으면 그것이 사람일 수도 있다고 느끼게 된다고 합니다. 


카메라에 찍힌 유령, 흉가의 비밀, 악령 들린 인형 등 공포 영화의 단골 소재들도 <곽재식의 유령 잡는 화학자>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괴심 파괴라는 우스갯소리로 넘길 게 아니라 그 안에는 생명을 살릴 수도 있는 해결 방법이 있기도 해서 단순히 괴담으로만 남겨둘 게 아니구나 싶더라고요. 


어떤 괴담은 의도적인 속임수로 밝혀지기도 했고, 어떤 것은 간단한 장난으로 시작되었다가 수많은 사람이 진지하게 받아들여버린 상황에 이르른 것도 있었습니다. 곽재식 저자는 무서운 이야기 속에 담긴 의미에 초점을 맞춥니다. 그 이야기가 탄생한 배경을 들여다보면 공포감에 자리 잡고 있던 수많은 걱정과 고민들이 드러납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