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세와 융 - 상처받은 영혼을 위한 두 영성가의 가르침
미구엘 세라노 지음, 박광자.이미선 옮김 / BOOKULOVE(북유럽) / 2021년 6월
평점 :
품절


칠레 출신 작가이자 외교관, 정치가 미구엘 세라노가 청년 시절 스위스에서 말년의 헤세와 융을 수차례 만난 기록을 담은 <헤세와 융>. 노년에 이른 두 거장과의 대화에서 무르익은 지혜를 만날 수 있습니다.


1951년 배낭 메고 책 한 권 들고 나선 34세의 세라노가 74세의 헤세를 처음 만납니다. 헤세는 몬타뇰라에서 조용히 노년의 삶을 살고 있었습니다. 첫 번째 해외여행이었다는 저자는 헤세의 집도 정확히 모른 채 일단 고~!


영어권에서는 우울하고 재미없는 작가로 알려져 있지만, 스페인과 남미에서는 인기였던 대작가 헤세를 만난다니. 얼마나 긴장했고 전율했는지 헤세가 거의 영적인 존재로 보일 정도였다고 합니다.


1951년부터 1961년까지 네 차례에 걸친 헤세와의 만남. 평화롭고 고요한 헤세만의 분위기가 대화에서도 드러나는 듯합니다. 그들의 대화에서 헤세의 책에 관한 주제가 빠질 수 없죠. <데미안>, <골드문트와 싯다르타>, <동방순례>, <유리알유희> 등 작품 이야기를 헤세의 입으로 생생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데미안을 융 학파에서 이야기하는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풀어내는 그들의 대화에 감탄합니다. 저자는 헤세를 만난 후 바로 융을 만나러 가기도 하고, 융을 만난 다음 헤세를 만나기도 하면서 영혼의 쌍둥이처럼 닮은 운명이었다는 헤세와 융의 생각을 함께 살펴볼 수 있어 관심 있는 독자라면 넓고 깊은 이해를 더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헤세 편에서는 저자의 방랑과 여행이 헤세를 통해 의미를 갖게 된 여정이 담담히 이어집니다. 헤세에 대한 지식이 전무했던 저로서는 헤세의 독특한 사상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마력, 마법이란 단어를 꽤 좋아하던 헤세였군요. 마법적 영역의 신비함을 인도 사상과 밀접하게 연관해 설명합니다. 헤세가 전하는 동양의 지혜가 새롭게 다가옵니다.


헤세와 저자의 만남에서 인상 깊었던 에피소드는 첫 만남 후 헤세가 부인에게 "어떤 사람이 찾아왔는데 내가 알던 사람, 친구 같은 사람이야."라며 말한 부분이었어요. 다정한 헤세의 노년을 상상해보게 됩니다.


저자가 남극 여행 때 읽은 융의 <자아와 무의식과의 관계> 덕분에 융 박사에게 관심을 쏟습니다. 인도에서 외교관으로 있던 시절, 정신적으로 방황할 때에도 '영혼을 위한 투쟁의 시절'이라는 융의 용어를 빌려 자신을 표현할 만큼 융의 분석심리학에 빠져들지요. 마침 은거 상태였던 융 박사와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습니다.


헤세와 융 그리고 저자의 만남을 '비밀 클럽'이라고 표현했을 만큼 세 사람의 기묘한 우정이 이어집니다. 인도는 헤세와 융 모두 중요시했던 곳인 만큼 셋의 관심사가 닮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고요한 헤세와 달리 융의 이미지는 무척 활기찹니다. 당시 여든둘이었던 융과의 첫 만남에서 저자가 융의 뜨거운 열정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요.


유머러스하면서도 동시에 꿰뚫어보는 듯한 융이 노년에 전달하는 지혜의 가치는 큽니다. 정신과 전문의로 오랜 경험을 했지만, 충족한 결혼을 한 번도 보지 못했다는 융의 말에 깜짝 놀라기도 했어요. 무의식에 관한 이야기도 좀 더 내밀하게 펼쳐집니다. 융 자신도 "내가 말하는 것은 아무도 이해하지 못합니다. 시인만이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하니, 평범한 독자인 저로서는 그들의 대화가 무척 어렵게 다가온 건 사실이지만요.


헤세와 융은 비슷한 시기에 세상을 떠났기에 이마저도 참 닮았구나 싶습니다. 자신의 삶을 충만하게 살았던 그들이 전하는 이야기를 기록한 세라노의 글 덕분에 인간의 마음과 본성에 대한 값진 지혜를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헤세와 융에 대해 잘 모른다면 처음 읽을 땐 대화 자체를 이해하는 데 낯설 수 있지만, 두 거장의 작품이나 이론에 대한 배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니 깊이 있는 해석을 위해 꼭 한 번 읽어봐야 할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