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지키는 심리학 - 매일 자책하는 당신을 위한 마음 수업
조장원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21년 6월
평점 :
정신의학신문 화제의 칼럼으로 직장인들의 정신건강 정보를 전달하는 정신과전문의 조장원의 자기회복 심리학 <나를 지키는 심리학>. 부당한 외압, 열등감, 콤플렉스, 낮은 자존감으로 일과 사람에 지치고, 부서지고, 방황하는 이들을 위한 책입니다.
다양한 사연을 가진 사람들을 상담하면서 공통점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내면의 자신이 상처받은 사람들이었습니다. 우리가 힘들어하는 진짜 이유는 나 스스로에게 던진 "나는 왜 이렇게 부족한 걸까" 한마디 때문이라고 합니다. 자신에게 비난의 화살을 쏘아대는 겁니다. 그렇게 하면 자신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보고 있다고 착각하면서 말이죠.
자기비난은 좋은 게 하나도 없는 거였어요. 오히려 심리적 절벽 끝으로 내몰게 합니다. 온갖 스트레스와 위기의 순간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나를 지키는 심리학> 제목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 '나부터 보살피는 현명함'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과도한 자책과 자기비난 대신 말이죠.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적인 옹호나 비겁한 변경을 하자는 게 아닙니다. 나를 지킨다는 것은 나를, 내 감정을, 내 삶을 제대로 바라볼 줄 알고 이해하는 거라는 걸 강조합니다. 이해를 해야 대처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긴다고 합니다.
<나를 지키는 심리학>은 일, 관계, 감정, 스트레스와 불안으로부터 나를 지킬 수 있게 도와줍니다.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자기인식, 학습된 무기력, 적응장애, 회피성 성격 등 일에 치여 힘겨운 일상으로부터 나를 지키는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퇴사를 고려할 정도로 회사 우울증에 빠진 직장인 사례에서는 그 상태에선 사실 스스로 해결하기 어렵다고 그 고통을 공감해 줍니다. 퇴사를 하기 전에 다른 방법들을 시도해보고 안되면 그만두는 방법도 있다고 생각하는 자세가 필요한데 이 여정은 정신건강의학과를 찾아 전문의에게 상담 치료를 받으며 이뤄질 수 있습니다. 사표나 이직부터 결정하는 건 그저 현 상황을 빨리 벗어나기 위한 도피적 행동일 수 있다며, 성급한 결정을 내리면 안 된다는 게 중요하다는 걸 짚어줍니다.
지금의 편안함을 사치라고 여기고 끊임없이 스스로 채찍질하는 사람이라면 미래의 '거기'에 살고 있는 사람입니다. 이런 경우엔 '나부터 살겠다'는 마음가짐과 현재의 행복을 위한 행동이 치료의 시작이 됩니다.
적응장애에 대해서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었어요. 어떤 스트레스나 충격적인 요인이 발생하고 나서 3개월 이내에 우울, 불안, 불면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거라고 합니다. 새 학년을 시작하는 학생, 취직한 직장인, 부서 이동한 직장인, 은퇴 이후 등 흔히 겪을 수 있는 질환입니다. 스트레스가 지속되지 않는다면 6개월 이내에 대부분 호전하지만, 자꾸 나에게서 원인을 찾아 분노의 화살을 자신에게로 향한다면 벗어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합니다.
나를 없는 사람 취급하는 상사의 의도적인 침묵에 대처하는 법도 인상 깊었습니다. 그들은 나르시시스트라고 합니다. 그런 상사의 덫에 걸린 사람을 부러워할 필요가 전혀 없음을 짚어줍니다. 착취 관계에 익숙한 사람이라 오히려 미움받는 자신이 정상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라고 하니, 관점 변화만으로도 뭔가 시원해집니다.
직장에서의 문제 외에도 연인 관계, 가족 관계 등 건강한 관계를 위한 조언들이 이어집니다. 의외로 많은 직장인들이 경험하는 회의 공포증 사례처럼 약물치료로 수월하게 치료 가능한 경우도 많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내 본래 역할을 감당할 수 없을 정도면 치료를 받는 게 당연하다는 생각을 할 수 있게 조언합니다. 정신건강의학과의 문턱을 넘는데 편견을 가진 이들의 마음을 헤아립니다.
"내가 아프면 아픈 거다. 당연히 아프면 병원에 가는 것이다." - 나를 지키는 심리학
<나를 지키는 심리학>에서 제시하는 솔루션은 실제 진료실에서 사용하는 치료기법을 응용해 독자도 직접 매일 조금씩 실천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단번에 변화되지 않는다 해도 나 자신을 위해 무언가 했다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이 큰 응원이 되더라고요. 그 시간들이 쌓이다 보면 나를 위한 삶을 사는 습관이 자연스레 스며들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