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 스톡홀름신드롬의 이면을 추적하는 세 여성의 이야기
롤라 라퐁 지음, 이재형 옮김 / 문예출판사 / 2021년 2월
평점 :
절판




대중성과 작품성 모두 인정받은 롤라 라퐁의 <17일>. 1974년 백만장자 상속자 퍼트리샤 허스트 납치사건을 여성의 관점으로 새롭게 그려낸 실화소설입니다. 


1974년 2월 4일, 그동안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극좌파 무장혁명단체 SLA에 의해 납치된 퍼트리샤 허스트. 미국에서 가장 부유한 가문 중 하나인 허스트가의 상속자로 버클리대학교 캠퍼스에서 납치되었습니다.그런데 두 달이 채 안 되는 기간에 범죄자가 됩니다. M1 소총으로 무장하고 샌프란시스코의 은행을 터는 장면이 감시카메라에 찍힌 겁니다.


스톡홀름신드롬 대표 사례로 손꼽는 퍼트리샤 허스트 납치사건. 소설 <17일>은 퍼트리샤 허스트의 변호인단으로부터 심리 상태 감정을 맡은 진 네베바 교수와 그의 조수 비올렌이 2주 남짓한 기간 동안 자료를 찾고 분석하는 여정을 보여줍니다.


테러리스트, 방황하는 대학생, 진정한 혁명가, 삶의 의미를 잃은 불쌍한 여성, 그저 좀 모자란 인물, 조종당한 좀비, 분노하여 미국을 공격하는 젊은 여성. 퍼트리샤 허스트의 정체성을 어떻게 정의 내리는지에 따라 재판 결과는 달라집니다.


진 네베바 교수가 풀타임으로 2주간 일할 영어 잘하는 여학생을 채용한다는 전단지를 보고 온 비올렌은 퍼트리샤 허스트에 대해 아무런 사전 정보 없이 마주하게 됩니다. 납치된 74년부터 범죄자로 체포된 이듬해 75년까지의 자료를 분석하면서 비올렌은 또래였던 퍼트리샤 허스트의 목소리에 집중합니다. 게다가 SLA 멤버 대부분이 여성이라는 사실에 놀라워합니다.


그저 흔한 납치사건으로만 생각했지만 여성 인질들이 맞게 된 서로 다른 운명에 관한 이야기가 스며들어 있는 소설 <17일>. 겨우 집으로 돌아가도 삶의 매 순간을 통제받거나, 탈출하더라도 영웅 대접이 아닌 의혹의 눈길을 견뎌내야만 하는 여성 인질들. 퍼트리샤가 남긴 녹음 메시지는 10대 소녀가 누리던 자유의 공간이 역설적으로 인질 상태에서 더 확대되어가는 걸 보여줍니다.


퍼트리샤의 목소리와 호흡 속도를 분석한 비올렌은 부모와 사회로부터 버려졌다는 감정을 느낀다는 걸 깨닫습니다. SLA의 요구는 허스트가의 재산으로 가난한 이들에게 식량배급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미국이란 나라에서 사람들이 길거리에서 죽어간다는 사실을 깨달은 퍼트리샤는 "우엑, 정말 빡치네요!"라는 단어를 사용하기에 이릅니다. 겨우 네 번째 녹음 메시지에서 퍼트리샤는 전향 소식을 알립니다. 세뇌를 당하지도, 마약에 중독되지도, 고문 당하거나 최면에 걸리지도 않았다는 걸 명시하면서 말이죠.


퍼트리샤의 변호인단은 10대의 여성 상속자가 자신의 의지로, 그것도 두 달이 채 안 되는 기간에 혁명가로 변신한다는 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퍼트리샤의 희생양 이미지를 그려내려 애썼지만, 사실 매번 무산시키는 건 퍼트리샤 자신이었습니다. 퍼트리샤는 왜 그토록 빠른 속도로 전향한 것일까요.


"1974년 2월 4일, 그들은 저를 납치함으로써 저의 생명을 구해주었습니다." - 17일 


퍼트리샤는 체 게바라와 함께 했던 동지 타니아의 이름을 자신에게 부여합니다. 타니아 허스트의 탄생입니다. 그리고 타니아 허스트의 탄생을 통해 청소년들은 전복적인 관점을 갖게 됩니다.


소설 <17일>은 미지의 화자가 이끌어가는 이야기 덕분에 추리 소설처럼 읽게 됩니다. 이 소설이 누구에게 초점을 맞추고 뭘 이야기하려는지 처음엔 의아했지만, 진 네베바 교수와 조수 비올렌의 토론을 통해 밑밥을 잔뜩 뿌려가며 퍼트리샤 허스트 사건 이면을 보여줍니다.


세월이 흘러 가난한 사람들에게 줄 음식을 넣은 비닐을 광장에 놓아두는 비올렌의 모습을 보며 여전히 이런 걸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미지의 화자. 그리고 서른일곱이 된 현재, 젊은 여성들이 어느 날 집에서 사라지는 현실을 비올렌과 토론합니다. 그 옛날 진 네베바 교수와 비올렌이 했던 토론처럼 말이죠. 이 젊은 여성들은 왜 무기를 든 채 카메라를 뚫어져라 응시하고 있는 걸까요. 소설의 화자 '나'는 비올렌을 통해 퍼트리샤 허스트를 알게 됩니다. 그리고 퍼트리샤 이야기의 속편이 이어집니다.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동조하는 비이성적 현상을 가리키는 스톡홀름신드롬. 소설 <17일>은 그 이면에 숨겨진 여성의 목소리에 주목합니다. 그 여정에는 1700년 대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납치당한 후 가족들에게 돌아가기를 거부했던 머시와 메리의 이야기도 있습니다.


깊숙이 들어갈수록 한 여성의 자유의지를 제쳐놓았던 현실이 눈앞에 드러납니다. 스톡홀름신드롬이라는 딱지가 붙는 순간 그들의 진짜 이야기가 덮여진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세대가 다른 여성들이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끼치는 복합적인 행보를 그린 <17일>. 여운이 꽤 깊어요. 세뇌와 선택의 경계, 여성의 자유의지가 가진 의미를 독자 스스로 판단하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