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수필을 평하다
오덕렬 지음 / 풍백미디어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필의 문학성 회복에 앞장서는 오덕렬 수필가의 책 <힐링이 필요할 때 수필 한 편>을 읽으며 수필의 문학적 감성을 새롭게 깨닫게 되어 정말 좋았었는데요. 그 책에서 수필의 역사도 알려주셨어요. 우리가 흔히 아는 에세이와 창작수필은 같은 게 아니라는 걸 비로소 알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만난 <창작수필을 평하다>에서는 우리나라 수필의 진화 현상에 대해 더 자세히 배우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창작수필을 평하다>는 창작·창작적 수필 21작품과 그에 관한 평을 모은 책입니다. 한국 수필계 최초의 평론집이면서 독자들이 잘못 알고 있던 수필의 개념에 대해 제대로 고쳐 알리고 있으니 의미가 큰 책입니다. 


전작 <힐링이 필요할 때 수필 한 편>에서 피천득의 「수필」은 수필이 아니라 시이고, 「인연」은 소설이라고 해서 의아했는데, 그 근거를 <창작수필을 평하다>에서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일반산문이었던 수필이 산문의 창작적 변화를 거듭하여 온 과정을 내포한 용어가 바로 창작문예수필, 창작에세이입니다. 통칭하여 창작수필로 부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수필'이란 어떤 것인가요. '붓 가는 대로'(1934년 김광섭의 「수필문학소고」에 등장), '신변잡기'가 수필의 대표 이미지일 겁니다. 지극히 개인적 일상 이야기, 작가가 경험한 이야기를 진솔하게 쓰는 것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창작수필을 평하다>에서는 수필의 개념부터 새롭게 정의합니다.


'수필'은 사실의 소재를 작품 안으로 끌고 들어와서 작품의 제재로 삼는다고 합니다. 사실의 기록이 아니라 사실의 소재입니다. 사실적 경험에 근거한 작가의 화상 기억에 의존하는 겁니다. 


"문학적 기억이란 그것을 머리에 떠올리는 순간 이미 사실과 다른 창조적으로 구성된 이미지의 기억이 된다." - 책 속에서


화상 기억으로 쓴 수필, 사실적 소재가 창작의 세계로 들어서는 작품들이 이 책에 소개되어 있으니 이해하는데 어렵지는 않습니다. 저는 반숙자 저자의 「백일몽」 작품이 정말 재미있었는데요. 실제로 잠자면서 꾼 꿈을 선보이는게 아니라 상상력을 발휘한 이야기입니다. 시, 소설, 희곡과는 다른 새로운 창작문학으로서의 창작수필이란게 이런 거구나 깨닫게 됩니다.


원래는 비창작 일반 산문문학이었던 에세이가 3인칭 시점의 창작·창작적인 작품으로 진화한 겁니다. <창작수필을 평하다>에 소개된 수필들만 읽어봐도 구성이 소설 못지않게 정말 다양하고 뜻밖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어요. 한 문장만으로 수필 한 편을 써 내려간 선정은 작가의 「용은 산을 넘고」는 25개 정도의 상황이 전개되면서도 단 한 문장으로 표현한 실험적 작품입니다. 놀랍도록 마음에 들더라고요.


창작수필과 일반 산문문학인 에세이의 구분을 좀 더 설명하자면 창작수필 작가는 상상하고, 에세이 작가는 생각을 파고든다는 차이를 들 수 있습니다. 시는 창조적 언어의 상상 세계를 만들어 내고, 소설은 허구적 이야기의 상상적 세계를 만들어 내고, 창작수필은 사물의 마음을 이야기합니다. 즉, 사물과의 교감의 상상적 세계를 창작하는 문학입니다. 역사적 사실과 시적 교감을 할 수도 있고, 사물에서 느끼는 작가의 상상을 의물화나 의인화해 표현하기도 합니다.


수필 문학은 일반 산문문학에서 시작해 진화 발전하여 창작수필에 이르렀습니다. 각자 독자적인 장르가 된 셈이죠. 이어서 피천득의 「수필」을 분석하며 '산문의 시'라는 현대 문학의 새로운 장르도 발견하게 됩니다.


수필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피천득 작가의 「수필」. 국정 교과서에 실려 경수필이라고 배웠고, 시험 문제로도 자주 등장했던 그 작품은 수필을 곡해하고 오해하게 된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수필 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을 문학적으로 표현한 '수필로 쓴 수필론'이라고 배워온 「수필」. 당시에는 창작수필이라는 용어가 없었긴 했지만, 이제는 구분할 수 있고 구분해야 합니다.


피천득의 「수필」은 '산문의 시'라고 합니다. 산문시와는 다릅니다. 산문시는 운문에서 산문 쪽으로 변형된 거지만, '산문의 시'는 완전한 산문 문장법을 따르는 시문학입니다. 새로운 형식인 거죠. '산문의 시'는 2007년 이관희 작가에 의해 생긴 용어입니다. 꽤 늦은 셈인데 그만큼 수필 장르에서 이론 부재 현상이 심각했던 겁니다.


수필산문의 창작적 변화를 연구해온 이들이 있었기에 그나마 이렇게 수필의 현대문학 이론화와 수필 평론가에 대한 이야기를 독자들도 만날 수 있게 되었으니 다행입니다. 비창작이었던 수필이 창작문학으로 진화하는 역사를 만날 수 있는 <창작수필을 평하다>. 더불어 21편의 멋진 창작·창작적 수필의 재미를 알게 되어 감사한 시간이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