뭘 하고 싶은지 뭘 할 수 있는지 모르겠지만 - 일단 나에게 좋은 사람이 되고 싶어
김시옷 지음 / 채륜서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때때로 걷기도 했지만, 열심히 달려왔고 멈춘 적은 없었던 이십대를 보내고 서른이 되니... 백수가 되었다?! 불확실한 현실과 미래에 압도되어 무력한 삶을 사는 이 시대 흔한 청춘들의 마음을 사로잡을만한 에세이를 소개합니다. <뭘 하고 싶은지 뭘 할 수 있는지 모르겠지만>은 위로 대신 힘 뺀 농담으로 함께 고민을 나눕니다.


소소, 서른, 소심, 사랑이라는 시옷이 들어간 단어를 사랑하는 저자는 필명도 김시옷입니다. 머리 모양도 시옷이에요. 저 머리 스타일이 미용실 한 번 다녀오면 짜리몽땅한 시옷이 되는 장면도 있어 빵 터졌었답니다. 무심한 듯 보이는 소박하고 간결한 그림이 일상의 군더더기를 싹 걷어내는 느낌이어서 읽는 내내 편안했답니다.


학자금 대출은 아직 다 갚지도 못하고, 고시원만큼 좁은 원룸에서 살며 쉬지 않고 일을 했는데 돌아온 건 갑상선 악성 종양이었습니다. 회복까지 긴 시간이 걸린 탓에 이 길이 맞는지 고민하고 허우적대던 직장 생활에 일시정지 버튼을 누를 수 있었습니다.


다시 재생 버튼을 누르기 전에 든 생각은 그 길로 다시 돌아가고 싶지 않다는 거였습니다. 여전히 특별한 재능도, 가진 것도 없는 보잘것없는 사람이지만 리셋 버튼은 없어도 언제든 일시정지 버튼을 누르면 된다는 생각이 자리 잡게 됩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드는 생각은 '이제 어쩌면 좋지?'입니다. 동경하던 일을 관두고 할 줄 아는 건 없고. 난 뭘 하고 싶은 걸까 싶은 생각에 빠져듭니다. 이참에 하루 종일 '나'에 대해서 생각해봤다고 해요. 행복할 때, 좋아하는 것, 하고 싶은 것……


꿈 많고 의욕 넘치던 시절엔 무조건 버티기만 할 줄 알았지만, 이제는 일기 쓰기와 운동하기를 꼬박꼬박 챙깁니다. 그림과 상관없는 삶을 살아왔지만 일상을 그려보기로 합니다.


분명 무척 좋아하는 건데도 항상 아끼기만 했던 버릇도 고쳐보려고 노력합니다. 행복, 사랑… 언젠가 그걸 느낄 여유가 생기는 그때 행복하면 되고, 사랑한다는 말을 하면 되겠지 하며 살아왔던 시간은 이제 그만.


지금까지는 행복의 순간을 미루고 미루기만 했다면 이제는 지금 아쉬움 없이 행복하자고 다짐합니다. 행복한 내일 같은 건 없을지 모른다는 뼈 때리는 통찰까지 등장합니다. 남들이 보기에 위태로워 보일지 몰라도 사실 요즘 평화롭고 행복하다고 고백합니다.


나름대로 무언가 하고 있지만 돈을 버는 것도 아니고 노는 것도 아닌 백수 생활. 열정이 없으면 시간만 흘려보내게 됩니다. 잉여력이 높은 만큼 최선을 다해 딴짓을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때 죄책감이 슬며시 솟아나지만 내려놓을 줄도 알아야 합니다. 진정한 백수도 자질이 필요하더라고 말합니다.





백수의 시간이 흐를수록 무엇이든 할 수 있을 것 같은 마음이 커졌다가도 내 주제에 무슨... 셀프 고문이 이어지기도 합니다. 그런데 일기가 뜻밖의 도움이 됩니다. 백수로 지내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직장 생활 시절의 기억이 미화되더라고 합니다. 다닐 만은 했다 식으로 말이죠. 그때 20대에 쓴 일기에 적힌 전혀 행복하지 않은데 꾸역꾸역 하고 있는 심정을 읽고서는 정신이 퍼뜩 듭니다.


생각해보면 청소년 시절부터 사회 초년생, 삼사 십대가 되어서도 여전히 우리는 뭘 하고 싶은지 뭘 할 수 있는지 고민하면서 삽니다. 진짜 내 마음과 현실에서의 선택의 간극이 클수록 행복에서는 멀어지는 것 같아요. 돈벌이가 되는 일을 하고 살아야지 싶다가도 도무지 타협이 안 되는 시점이 닥치게 되면 번아웃 되면서 무력해지게 됩니다. 조금 더 일찍 내 마음과 만나는 시간을 가지면 어떨까요.


자신은 없어도 일단 꿈꾸고, 가능성이 없어도 일단 바라고, 결국엔 안될 거라고 의심하면서도 모른 척 용기를 내어보는 각오. 마음도 인생도 시소처럼 오르락내리락하지만, 나만의 균형을 찾아가는 노력만큼은 잊지 않는 모습을 엿볼 수 있는 <뭘 하고 싶은지 뭘 할 수 있는지 모르겠지만>입니다. 자신만의 속도와 방향에 신경 쓰겠다는 주제의 에세이는 많지만, 김시옷 작가는 그 누구보다도 자기합리화와 변명이 없어서 유독 편히 읽히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