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도시 - 대규모 전염병의 도전과 도시 문명의 미래
스티븐 존슨 지음, 김명남 옮김 / 김영사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세기 영국 빅토리아 시대, 런던에서 발생한 전염병에 관한 과학 논픽션 <감염 도시>. 탐정 소설을 읽는 듯한 흥미진진하고 실감나는 전개가 일품입니다. 과학 저널리스트 스티븐 존슨의 맛깔스러운 서사에 푹 빠져 읽게 됩니다.


<감염 도시>는 1854년 8월 28일부터 9월 8일까지 짧은 기간에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간 유행성 질병을 다룹니다. 1840년대 말에도 심각했지만 1854년에 재유행을 하면서 단기간에 어마어마한 피해를 낸 이 질병의 주인공은 콜레라입니다.


콜레라는 박테리아의 한 종류로 정식 명칭은 비브리오 콜레라입니다. 반드시 소장에 들어가야 해를 입습니다. 오래전부터 있었던 질병이어서 원래라면 그 정도로 창궐하지 않았어야 했지만, 상황이 그렇지 못했습니다. 당시 런던은 48킬로미터 경계선 내에 250만 명이 몰려 살았던 거대한 도시였지만 안전한 기반 시설이 전혀 없었습니다. 디킨스의 소설에 자주 언급된 런던의 악취는 과장된 게 아니었습니다.


설사를 하며 앓아누운 아기. 기저귀를 씻어낸 물을 오물 구덩이에 버림으로써 이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안면이 쪼그라들고, 눈은 움푹 꺼지고, 입술과 사지 말단의 피부가 시퍼렇게 질리고, 손톱은…검푸르게 되는 증세를 보이며 이후 24시간 만에 폭발적으로 사망자가 발생합니다. 멀쩡히 건강하던 사람이 12시간 만에 죽어버리기도 합니다. 온 동네가 생사의 기로에 놓입니다. <감염 도시>는 당시 기록된 이야기들을 고스란히 들려줍니다. 누가 죽고 누가 살았는지.


"전염병은 물 밑에서 역사를 창조하고, 세상을 바꾼다. 이 사건 속 사람들은 극히 평범한 군상으로서 자신의 행동이 후대에 어떻게 기억될지 단 1초도 생각하지 않은 채 그저 일상을 살아간 사람들이다." - 감염 도시 



콜레라가 어떻게 전파되는지 미궁에 빠집니다. 감염론과 독기론 중 독기론이 우세였던 상황에서 콜레라의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나선 이가 있습니다. 빅토리아 여왕의 여덟째 아이 출산 때 마취 담당의로 최고의 명의로 손꼽힌 존 스노 박사입니다. 그는 조밀한 도시 거주지의 오염된 식수와의 관련성에 주목합니다.


같은 환경에서도 식수원이 다르면 질병 발생의 차이가 있다는 걸 통계를 통해 풀어나갑니다. 그토록 짧은 시간에 많은 사망자가 나왔다는 건 공동 상수원이 오염되었다는 거죠. 지금은 충분히 이해가 잘 되지만, 당시엔 이런 생각을 아무도 하지 못했습니다.


이론을 세우고 입증까지 그 여정이 쉽지는 않았지만, 도시 삶의 현상을 조사한 존 스노의 방법은 이후 질병의 역사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한편 동네 목사 헨리 화이트헤드 역시 병자들의 머리맡을 지키며 조사에 나서게 됩니다. 개방적이고 탐구적인 성향에 공동체에 대한 깊은 식견이 있었기에 그의 노력 역시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대규모 콜레라 발생이 까마득한 과거의 일로만 여겨지는 그런 날은 반드시 올 거라네. 그리고 질병의 전파 방식을 파악하는 것이 바로 질병 박멸의 수단이 될 것이네." - 존 스노 박사



그들이 이룬 콜레라 대처는 합리적 관찰과 스스로의 사회의식이 결합된 결과물입니다. 전염병의 사회적 패턴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질병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의 예측들을 확인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치를 취함으로써 콜레라와 인간의 싸움은 막을 내립니다.


콜레라를 효과적인 살인마로 바꾼 것은 사람이었고, 사람이 살고 있는 도시 문제와 엮여있습니다. 지속가능한 대도시 환경에서 밀도를 이용해 인간을 해치는 새로운 질병에 우리는 언제든지 노출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질병으로 팬데믹 현상을 겪는 현재처럼 말이지요. 현대 도시 문제, 공중보건 해법을 전 지구적 관점에서 바라봐야 할 필요성을 일깨우는 <감염 도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