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쟈의 한국 현대문학 수업 - 세계문학의 흐름으로 읽는
이현우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2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에 녹아든 작가 개인의 경험과 시대 상황이 어우러진 한국 현대문학을 들여다보는 <로쟈의 한국 현대문학 수업>. 러시아 문학을 포함한 세계 문학 강의로 로쟈 저자의 책을 재미있게 읽은 기억이 있어 이 책 출간 소식을 듣고선 반가움이 컸답니다. 시대적 맥락과 작가의 전기적 맥락에 비추어 작품을 읽는 기본적인 독법 안에서 로쟈 저자만의 개성이 담긴 평가가 잘 드러난 글이 가득합니다.


전후 1950년대 손창섭부터 1990년대 이승우 작가까지 한국 현대문학 작가 10인과 대표작품을 중심으로 작품의 핵심이 무엇인지, 세부사항과 특이점에 주목하며 작가와 작품을 이야기하는 <로쟈의 한국 현대문학 수업>. 무엇보다 작가와 작품이 가진 한계를 통해 현대 한국소설의 부재 포인트를 짚어주는 부분이 흥미로웠어요.


공감하며 읽었다고 감상평을 내놓게 되는 소설들을 생각해보면, 그 공감 포인트를 건드리는 지점은 제각각이지만 기본적인 건 나도 비슷한 경험을 했던 사건이나 감정이 아닐까 싶습니다. 하고 싶은 말, 듣고 싶은 말을 작품 속 인물이 하면 카타르시스를 느끼고요. <로쟈의 한국 현대문학 수업>에서는 작가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는 '원체험'이 드러날 때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이야기합니다.





전쟁이라는 사건과 자신만의 체험이 잘 어우러진 손창섭의 《신의 희작》, 학병 체험담을 가졌기에 더 생생하게 현대사의 문제를 다룬 이병주의 《관부연락선》, 아버지와 어머니와의 관계가 작품관에 녹아든 이인성의 《낯선 시간 속으로》와 이승우의 《생의 이면》은 원체험이 시대적인 화두와 만날 때 어떤 작품이 탄생되는지 엿볼 수 있습니다.


"작품은 작가 혼자만의 머릿속에서 쓰이지 않고 시대적인 상황에 조응하는 방식으로 탄생한다." - 로쟈의 한국 현대문학 수업


전후세대와 한글세대의 과도기를 거치며 남북 체제를 동시에 겨냥해 날선 비판을 한 최인훈의 《광장》은 북한에서 살아본 경험과 함께 4.19 혁명 이후의 사회적 분위기가 아니었다면 나올 수 없었던 작품이었고, 저 세상 스케일로 현대사 문제의 근본적 질문을 던질 줄 알았던 이병주의 《관부연락선》, 작가 본인보다 독자들이 열광할 정도로 시대의 무의식을 건드린 김승옥의 《무진기행》 등 작품들이 가진 의의도 되새겨봅니다.


작품이 가진 유의미한 가치를 재발견하는가하면 작가의 한계를 꼬집기도 합니다. 개인이 바꿀 수 없는 현실 앞에서 왜소화된 순응적인 주체를 《무진기행》에서 보여준 김승옥 작가는 이후 부르주아 계급을 총체적으로 다룬 작품 없이 영화계 쪽으로 눈을 돌렸고, 하층 노동자 계급을 다룬 문제작 《삼포 가는 길》 이후 사회적인 계급의 문제를 돌파해나가지 못한 황석영 작가, 《젊은 날의 초상》 이후 고전 번역에 힘쓴 이문열 작가처럼 작가적인 역량을 엉뚱한 곳에 소진한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합니다. 세계문학의 흐름 속에서 한국 현대소설이 가진 부재를 통해 로쟈 저자는 그저 '이야기'가 아닌 '소설'의 의미를 재정립합니다.





한국 사회의 권력 문제를 다룬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 개발독재의 어두운 이면을 보여주며 불평등한 사회적 현실을 실감나게 폭로한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같은 작품을 통해서는 소설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이야기를 합니다.


저는 20세기 후반 한국 문학과는 친하지 않은데요. 저처럼 한국 현대문학에 꽂히지 않은 독자들도 가이드북처럼 읽기 좋은 책입니다. 그저 덜 친해서 낯설게 느껴지는 문학 작품을 소재로 한 것일 뿐이지 난해할 정도로 어려운 단어를 쓰는 저자가 아니어서 읽는 데 무리는 없습니다.


<로쟈의 한국 현대문학 수업>에서는 20세기 후반 남성작가의 대표 작품을 다뤘는데, 강의 구성상 남성작가와 여성작가로 구분했다고 하니, 여성작가를 다룬 책도 나오겠지요? 여성작가들의 작품 이야기가 개인적으로는 더 기대되는지라 다음 책도 기다려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