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흔 이후, 어떻게 살아야 하는 걸까
김경준 지음 / 메이트북스 / 2019년 9월
평점 :

전환기, 도약기, 전성기, 위험기, 고난기... 복합적 성격의 시기인 40대. 인생 후반기를 잘 준비 하고 싶은 마음이 가득하지만 허탈감이 들기도 하면서 혼란스러운 시기임에는 분명합니다.
융합형 경영전문가 김경준 딜로이트 컨설팅 부회장이 들려주는 40대의 시간에 대한 고백 <마흔 이후, 어떻게 살아야 하는 걸까>는 행복론이나 위로, 힐링으로 자기만족 이전에 필요한 것이 있음을 알려줍니다. 고단한 현실 속 현재의 어려움을 이겨내고 미래의 가능성을 확장시키는 역량입니다. 자신에 대한 객관적 성찰을 할 때 가능합니다.
30대 후반 IMF의 직격탄을 맞고 치열하게 살아온 저자의 이야기는 무척 현실적입니다. 원인과 결과의 인과관계와 비례하지 않는 복잡계라는 세상을 인정하며 살아온 이의 모습입니다. 무책임하거나 자포자기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긴 호흡으로 인생을 바라보는 지혜를 체득하는 40대를 보낸 겁니다.

40대의 삶은 나보다는 타인의 비중이 커지는 시기이기에 더욱 방향을 잘 잡아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30대까지 부모의 덕을 많이 봤던 사람도 40대부터는 자신의 힘으로 살아가야 합니다. 가정과 사회에서 무한 부담, 무한 책임의 삶을 사는 40대입니다.
역할과 부담이 커진 40대는 스트레스도 남다릅니다. 회의감도 높아지고 허탈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이때 자기합리화 함정에 주의하라고 합니다. 본래의 취지에 맞는 수준의 힐링과 치유를 찾아야지 지나치면 모자람만 못하다고 말이죠. 청소년 시기의 위로와 힐링은 성장에 도움 되지만 마흔에 위로받고 싶다면 자신이 처한 상황과 내면을 돌아보는 것이 우선이라고 합니다.
저자는 '자신의 삶을 찾아가는 도전'류의 콘텐츠에 부정적 견해를 드러냅니다. 이에 대한 대가는 반드시 있다는 걸 잊지 말라고 합니다. 30~40대 직업인들에게는 거품을 불어넣기도 하는 방송 콘텐츠를 꼬집습니다. 이 시기에는 설익은 시도 대신 경험과 지식에 기반한 진지한 도전일 때 진정한 도전이라고 합니다.
사회적 삶에서 50대는 40대의 연장선이기에 그만큼 40대를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의 중요성이 부각됩니다. 자아, 일, 관계, 가족에 대한 의미가 청년 때와는 또 다른 의미로 다가오는 시기입니다. <마흔 이후, 어떻게 살아야 하는 걸까>에서는 내 인생에 대한 가치관과 방향성을 고민할 때 도움 되는 이야기들이 많습니다. 장점에 집중하고 단점은 보완하는 방향성이 현실적이라고 조언합니다.

사람은 잘하는 것으로 먹고살게 마련이고, 좋아하는 것은 어떤 형태로든 하면서 살게 되어있다. - 마흔 이후, 어떻게 살아야 하는 걸까
심신에 도움 되는 일상에서 소소한 즐거움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것들을 찾고, 인생에서 부정적 에너지를 덜 수 있는 태도를 들려주면서 수용 불가능한 범위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루틴을 찾도록 이끕니다.
40대의 고민에 공감하면서 읽게 됩니다. 정답은 없어도 표류하지 않도록 방향을 잡아가는 과정을 담은 <마흔 이후, 어떻게 살아야 하는 걸까>. 40대 인생 전환기를 맞이한 이들이 읽기 좋은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