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컨셉 있는 공간 - 새로운 세대가 리테일 비즈니스를 바꾼다!
정창윤 지음 / 북바이퍼블리 / 2019년 5월
평점 :
품절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618/pimg_7960121632221031.jpg)
요즘은 시간과 경험을 소비하는 문화·소비 트렌드 시대라고 합니다. 밀레니엄 세대와 Z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취향저격 공간, 느낌 있는 공간이란 어떤 곳일까요. 컨셉, 리테일 기획자 정창윤은 <컨셉 있는 공간>에서 상하이, 런던, 도쿄, 파리, 서울에서 공간 컨셉과 리테일 전략이 확실한 공간들을 분석해 새로운 세대들이 찾는 공간 컨셉의 핵심을 짚어줍니다.
요즘 오프라인 매장은 예전과는 컨셉이 확실히 다르긴 다르다는 걸 느낄 수 있는 공간들이 많아졌습니다. 오프라인 매장에 그저 제품을 모아놓는 것이 전부가 아니게 되었습니다. 제 취향저격 카페만 해도 개인 카페를 단골 카페로 삼고 있는데, 소소하지만 컨셉이 확실한 인테리어와 함께 햇볕이 들어오는 창가 자리가 있는지가 제 선택 요소 중 하나입니다. 커피 맛은? 이왕이면 좋으면 좋겠지만, 기본 이상만 되면 저는 만족할 정도로 공간에 오히려 치중하고 있다는 걸 다시 한 번 깨닫는 기회이기도 했어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618/pimg_7960121632221032.jpg)
소비자의 오감 만족을 위한 공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요.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리테일 전략은 브랜드와 소비 트렌드 관점의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어요. 회사가 추구하는 지향점과 생각, 소비 트렌드의 변화와 이유를 고려해 컨셉을 구축해나가는 겁니다.
<컨셉 있는 공간>에서 분석한 미래의 공간을 읽기 위한 키워드는 5가지. 시간, 자연, 문화 인프라, 접근성, 경험적 소비라고 부르는 공간 창조 키워드 5요소를 통해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고 판매로 이뤄지고 팬으로 만들 수 있는 컨셉 있는 공간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618/pimg_7960121632221033.jpg)
시간의 가치를 드높인 야쿠모 사료와 예술적 욕구까지 채워주는 조이시티 공간 사례는 한정된 시간에 특별한 경험을 만끽하는 곳에 끌리는 이유를 잘 보여줍니다. 상하이 사례는 기존에 알던 중국 분위기가 사뭇 달라 놀라움을 받기도 했는데요. 핵심 소비 세력인 80~90년 대생 바링허우와 주링허우 세대의 소비문화는 상상 그 이상이었어요. 긍정적인 에너지를 받을 수 있는 크리에이티브한 식당 사례는 즐겁고 감각적인 공간임을 저절로 떠오르게 합니다.
우리나라도 이제는 서점이 복합문화 플랫폼의 역할을 하고 있지만, 책과 라이프스타일을 함께 다루는 원조 격인 츠타야 사례가 빠질 수 없습니다. 리테일 인프라가 활성된 공간인 일본 츠타야와 중국의 더 믹스 플레이스 사례는 소비자들의 지적, 문화적 욕구를 해소하는 데 주력합니다.
거주자가 일생을 보낼 수 있는 구조인 영국 바비칸 센터도 놀랍습니다. 국내의 공주 봉황동 마을 호텔 사례처럼 지역 상생 구조로 주거지역을 벗어나지 않는 주거형 복합 쇼핑몰 공간의 접근성은 새로운 컨셉의 공간을 창조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618/pimg_7960121632221034.jpg)
복합적 경험을 전달하는 오프라인 공간은 경험과 소비가 만났을 때 어떤 시너지를 창출하는지 볼 수 있습니다. <컨셉 있는 공간>에서 알려주는 공간 컨셉 요소들은 한정된 시간에 특별한 경험을 원하는 세대에게 다양한 콘텐츠로 이뤄진 공간들의 핵심입니다.
국내 사례로서는 제주 플레이스 캠프의 복합문화공간을 중심으로 소개하는데 작은 평수의 객실을 두고 감옥 같다는 SNS 후기들이 쏟아진 이후 죄수복도 대여하고 머그샷도 찍어주는 감빵생활 패키지를 선보였을 정도로 소비자와의 상호 교류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는지 볼 수 있습니다.
잘 기획된 오프라인 매장이 가치를 발휘할 수 있는 시대. 시각과 청각을 넘어 오감을 자극하고 활용하는 리테일 전략은 복합적인 경험을 전달하는 장소입니다. 미래 리테일 비즈니스의 방향이 궁금한 창업자, 내 시선을 사로잡는 공간을 경험하고 싶다면 읽어봐야 할 책 <컨셉 있는 공간>. 시각적인 요소는 금세 싫증나기 마련입니다. 컨셉에 맞는 다양한 요소를 조합하는 운영과 경험의 질을 높이는 연출까지, 리테일 공간의 핵심을 살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