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게, 메뚜기, 불가사리가 그렇게 생긴 이유 - 생김새의 생물학
모토카와 다쓰오 지음, 장경환 옮김 / 김영사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차만별 생김새의 동물들. 왜 하필 그런 모양이 되었을까? 사는 환경, 생활 방식, 진화 과정이 반영된 몸의 구조를 살펴 각양각색 동물들의 생존전략을 알려주는 교양 과학서 <성게, 메뚜기, 불가사리가 그렇게 생긴 이유>. 무척추동물의 다채로운 세계를 만날 수 있습니다.

 

인간을 포함한 척추동물은 어느 정도 생김새에 익숙하지만, 기묘한 생김새가 많은 무척추동물의 세계는 그야말로 미지의 세계와도 같습니다. 산호가 포함된 자포동물문, 곤충이 포함된 절지동물문, 조개 및 소라가 포함된 연체동물문, 불가사리 및 해삼이 포함된 극피동물문, 멍게가 포함된 척삭동물문의 생물들은 어떻게 먹고 움직이며 살아갈까요. 하찮게 여겨온 생물들이 펼쳐 보이는 생존전략은 결코 하찮은 게 아니었습니다.

 

 

 

딱딱하게 건조된 장식용 산호에 익숙한 우리에게 살아있는 산호의 모습은 낯섭니다. 산호는 어떻게 생겼는지, 산호의 일생을 통해 군체를 만드는 과정과 사라지는 이유를 살펴봅니다. 낯선 용어가 많이 등장하는데도 쉽게 설명하는 저자의 입담이 일반인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게 합니다.

 

곤충을 사랑하지는 않지만, 제 일과 관련 있는 갑각류 생태와 관련된 부분이라 초집중해 읽게 되더라고요. 갑각류로부터 진화한 것으로 추측하는 곤충. 물리적인 힘으로부터, 유해한 물질로부터 보호기능을 하는 외골격에 관한 정보는 특히 도움 되었습니다.

 

그 와중에 자연과 유사한 환경으로 사육할 때 피하고 싶지만 한 번쯤은 만나게 되는 톡토기와 관련한 이야기가 책에 등장해 재미있었어요. 가장 오래된 곤충 화석이자 가장 오래된 육상동물 화석의 주인공이 톡토기라는 사실을 알고는 경외심을 가질 수밖에 없었네요.

 

 

 

<성게, 메뚜기, 불가사리가 그렇게 생긴 이유>에서는 오징어 중심에 있는 얇은 뼈처럼 생긴 그것의 비밀, 불가사리가 우리 인간의 친척이라는 사실, 조개껍데기를 손으로 열기 힘든 이유 등 평소 궁금하진 않았지만 ;; 알게 되니 이런 놀라운 일이! 하며 감탄하게 되는 지식 정보가 가득합니다.

 

전 동물종의 약 5% 밖에 안 되는 척추동물아문이 속한 그룹인 척삭동물문 파트는 이 지구에 인간 외 얼마나 다양한 생물들이 사는지를 깨닫게 하는 기회가 됩니다. 한편, 인간이 어떻게 이런 자세를 유지하고, 먹고, 살아가는지 인간의 특징을 짚어가다 보면 우리 몸이 얼마나 복잡하고 신비로운 체계를 가졌는지 경이로움을 만끽하게 되기도 합니다.

 

생물들의 신체구조는 모양도 크기도 천차만별입니다. 왜 그런 생김새가 되었는지 이유를 밝혀나가며 저마다의 생존전략이 반영된 진화 과정에 감탄하다 보면 어느새 인간에 집중했던 이 세계가 달라 보일 겁니다.

 

 

 

노래하는 생물학자로 알려진 모토카와 다쓰오. 생물학 지식을 노래로 만들어 학습하기 좋게 만들었는데 가사가 정말 기막히더라고요. 이 책에서는 동물 찬가 일곱 곡이 악보와 함께 수록되었습니다. 교양 과학서로 일본에서 베스트셀러가 된 전작 <코끼리의 시간, 쥐의 시간>도 국내 번역되어 있으니, 딱딱한 생물학도 재미있게 읽히는 독서 체험을 만끽해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