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두 발자국 - 생각의 모험으로 지성의 숲으로 지도 밖의 세계로 이끄는 열두 번의 강의
정재승 지음 / 어크로스 / 201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정재승 KAIST 교수의 뇌과학 강연 중 가장 흥미로운 강연 12편을 새롭게 구성한 책 <열두 발자국>. 뇌과학의 관점에서 인간은 과연 어떤 존재인가를 탐구해봅니다.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과 함께 인간의 창의성이 화두인 요즘. 창의적인 사람들은 어떻게 행동하는지 그 비밀을 알고 싶을 테지요. 창의적인 사람들이란 그저 호기심이 많은 사람이 아닙니다. 대부분은 호기심을 억누르는 억제력으로 살아간다고 합니다. 

 

부분의 사람들과는 다른 행보를 보이는 창의적인 사람들의 비밀, <열두 발자국>에서 들려주는 인간의 다양한 행동과 관점 해석은 이 사회를 살아가는 인간을 이해하면서 그 안에서 나를 발견하고 우리를 발견하는 경험을 안겨 줍니다. 

의사결정, 창의성, 놀이, 결핍, 습관, 미신, 혁신, 혁명 등의 주제 속에서 인간이라는 미지의 숲을 탐구하는 <열두 발자국>. 강연을 기초로 한 책이어서 부담 없이 쉽게 읽히고 <알쓸신잡>에서 봤던 모습처럼 차근차근 풀어내는 방식이 돋보이는 책입니다.


 

삶은 선택의 연속이라고 하죠. 좋은 의사결정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인간이 선택을 하는 과정을 이해해보는 첫 번째 강연 글부터 눈길을 끕니다. 계획만 세우기보다 실행을 통해 배우는 것이 얼마나 유익한지 깨닫게 합니다. 

 

합리적 인간이라는 말처럼 우리는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진 않습니다. 우리가 얼마나 비합리적 의사결정을 하며 사는지 사례를 통해 그간의 상식을 뒤집는 결론을 끌어냅니다. 대개 신중하게 결정하고 한번 결정하면 바꾸지 않고 밀고 나가는 신중함에 대한 환상을 깨뜨려줍니다. 

 

정재승 박사는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의사결정을 한 후 빠르게 실행에 옮기고, 잘못됐다고 판단되면 끊임없이 의사결정을 조정하는 방식을 익히라고 합니다. 끊임없이 회의하고 의심하고, 다양한 시도를 통해 세상을 배우는 사람. 바로 창의적인 사람들이 하는 방식입니다. 우리 사회는 방황의 시간을 박탈합니다. 그럼에도 사회적 성취를 이룬 사람들은 이런 의사결정법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훌륭한 의사결정법이 있는 반면, 애초에 결정을 못 내리는 결정장애도 있습니다. 결정장애를 가진 이들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크다고 합니다. 판단 기준이 타인의 인정과 칭찬이기에 그렇다고 합니다.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큽니다. 

 

그렇다면 결정장애는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 고스톱 칠 때처럼 빠른 의사결정 연습을 계속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다들 좋은 의사결정과 선택을 통해 후회 없는 삶을 살고 싶어 하지만 현실은 내 인생의 리셋 버튼이 있다면 언제든 누르고 싶어 합니다. 정재승 박사도 그러한지 그가 자주 사용하는 원칙을 들려줍니다. 오늘 죽는다고 생각하면 두려움 없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는 메멘토 모리 전략을 쓴다고 합니다. 그 역시 부단한 노력을 하고 있던 겁니다.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과 관련한 주제는 그동안의 기술에 초점 맞춘 시각에서 확연히 다른 깨달음을 얻기도 했습니다. 정재승 박사는 기술 그 자체가 아닌 기술의 철학, 비전에 관점을 둡니다. 얼마나 더 새로운 기술이 등장할 것인가가 아니라 어떻게 혁신을 이끌어낼 것인가에 주목합니다. 

 

특히 인공지능과 일자리 문제는 관점 차원이 다르더라고요. 약사가 줄어드냐 마느냐의 문제 대신 약국의 역할, 업의 본질이 어떻게 진화할 것인가가 더 중요한 질문이라는 것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거기에 현실적으로 고민해야 할 과제들을 짚어줍니다. 기술 계급 사회. 기술을 제대로 사용할 줄 모르는 사람들과 능수능란하게 이용하는 사람들 사이의 불평등 문제 말입니다. 

 

논문 속 지식을 세상과 연결해 통찰을 얻는 것을 정재승 박사 스스로도 경험했기에 그의 강연은 다양한 뇌과학 연구사례를 현실 세상을 사는 인간과 접목해 들려주는 부분이 명쾌하게 전개됩니다. 뇌과학에서 삶의 성찰을 얻고, 미래의 기회를 발견하는 법을 통찰할 수 있는 <열두 발자국>. 

 

창의적이라는 개념을 정확히 짚어주기도 했습니다. 창의적인 방법이라며 다들 그 방법을 써 일반화되면 더 이상 창의적이지 않게 됩니다. 많은 사람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과는 매우 다른 방식을 이용해서 일반적으로 얻게 되는 결과보다 더 나은 결과를 얻어야 합니다. 그렇기에 남과 다른 각도로 문제를 바라보는 법칙 같은 건 없다고 말합니다. 대신 이 책에서 풀어놓은 주제들을 모두 연결해보면 결국 창의적인 발상의 출발점을 건드리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