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가 알아서 할게요
박은지 지음 / 상상출판 / 2018년 5월
평점 :
사람이 어떻게 하고 싶은 걸 다 하면서 살아?
다들 그러려니 하고 살아.
사회생활은 다 그래.
'원래' 그렇다는 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회. 그 원래의 무리에서 벗어나려 들면 사회성이 떨어진다느니, 피곤하게 살지 말라느니 하는 말이 되돌아옵니다.
인간관계, 일, 사랑에서 '원래 그런 것'에 지친 이들에게 전하는 위로와 조언 <제가 알아서 할게요>. 책 제목처럼 "제가 알아서 할게요"라고 말해도 된다는 걸 알려줍니다.
선택하는 삶을 사는 첫 발걸음은 어렵지 않습니다. "제가 알아서 할게요"라는 한마디로 시작하면 됩니다. 그렇게 해보니 무지막지한 일이 생기지도 않고 괜찮더라고 합니다. 자기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행복해질 수 있다고 응원합니다.
<제가 알아서 할게요>에서는 온전한 어른의 정의, 일과 인간관계에서 선택 당하는 대신 선택하는 법, 연애와 결혼생활에서 '나'로 살아가는 법을 이야기합니다.
구구절절 공감 문장 가득합니다. 남의 일에 일일이 훈수를 두거나 남의 조언에 맞춰 내 삶을 바꿀 필요도 없고, 상대방에게 위로가 필요가 보인다면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누군가의 삶에 끼어들어야 하는 일이 생긴다면, 적어도 상대방의 생각부터 물어보는 예의를 갖추어야겠다고. 우리 주변에선 삶을 어떻게 살든 너만 행복하다면 괜찮다고 말해주는 사람이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오기가 생겨 귀를 더 막게 됩니다.
결혼생활에 관한 이야기는 정말 리얼해요. 꽉 막혔던 마음이 시원해지는 기분이랄까요. 결혼은 현실, 원래 나중엔 정으로 사는 것이라는 말은 일종의 포기이자 체념이라고 합니다. 결혼을 기점으로 정체성이 돌변하는 듯한 상황을 받아들이기 힘든 건 누구나 마찬가지지만, 당연한 것이려니 참고 견디기만 하지 않고 바꾸려 애쓴 저자의 노력이 대단해 보입니다.
내 신변과 이미지를 지키기 위해서는 스스로 조심해야 하는 사회에 사는 여성들. '내가 지금 불편해하면 예민한 건가?' 하고 주저하게 되고, 기존의 고정 관념을 깨뜨리려고 하면 이기적이고 기 센 여자 취급을 받습니다. 하물며 여성들 스스로도 엄마의 희생을 관성적으로 받아들이며 자랐습니다.
남이 안내해주는 길을 따라 걷다 내 행복을 놓치기 싫은 건 누구나 가슴속에 품고 있는 마음일 테지만, 실천하고 살지는 못했을 겁니다. 각자에게 덜 힘든 일, 더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살고 싶다는 저자의 바람처럼 때로는 사회 통념과 맞지 않는다 한들 나름의 삶의 방식을 계속 찾아나가겠다는 저자의 말이 힘이 되어 돌아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