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 연대기 - 유인원에서 도시인까지, 몸과 문명의 진화 이야기
대니얼 리버먼 지음, 김명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 문명과 만나 오히려 덜 건강해진 몸의 부적응을 파헤친 책 <우리 몸 연대기>. 인간진화생물학자 대니얼 리버먼은 우리가 어떤 존재이며 무엇에 적응되어 있는지 알아내면, 우리가 병에 걸리는 이유도 밝힐 수 있지 않을까라고 묻습니다.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분야와 접목한 폭과 깊이가 대단하더라고요.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는 역사와 접목해 빅히스토리에 접근했다면, 대니얼 리버먼의 <우리 몸 연대기>는 고인류의 뼈, 뇌과학 등 생물학적 형질 같은 또 다른 관점에서 호모 사피엔스를 깊숙이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예전보다 사망률은 낮아졌지만 비만, 알레르기, 평발, 근시, 관절염, 당뇨, 불면증 등 만성적인 비감염성 불일치 질환들이 새로 생겼거나 더 심해졌습니다. 대니얼 리버먼은 우리 사회가 인간의 진화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 것이 예방할 수 있는 질병을 막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라고 합니다. 몸의 진화를 알면 왜 우리 몸이 지금처럼 되었는지, 어떻게 하면 병에 걸리지 않을 수 있는지에 대한 단서들을 찾을 수 있다고 말이죠.

 

<우리 몸 연대기>에서는 인간 진화에서 변화가 일어난,  생존 투쟁의 역사를 고고학 기록으로 보여줍니다. 진화란 생물학적 진화만 있는 게 아니라 또 하나의 중요한 힘인 문화적 진화도 있습니다. 인간 진화는 생물학적 진화와 문화적 진화의 상호작용으로 이뤄진다는 거죠. 

 

오늘날 가장 강력한 변화의 힘인 문화적 진화. 농업혁명과 산업혁명도 문화적 진화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우리 몸의 많은 진화적 특징들이 우리가 진화한 환경에서는 적응이었지만, 우리가 만든 현대 환경에서는 부적응이 되었습니다. 


수백만 년에 걸쳐 과일을 먹은 두 발 동물, 오스트랄로피테쿠스류, 큰 뇌를 가진 문화적이고 창의적인 수렵채집인. 하지만 우리는 구석기 시대의 몸으로 현대를 살고 있다는 게 문제가 되는 겁니다. 농업혁명과 산업혁명 이후에 생겨난 불일치 질환들의 원인을 진화의 역사 안에서 들여다보는 부분이 흥미로웠습니다. 진화의학 입문서 역할을 톡톡히 합니다.

 

열은 몸이 감염과 싸우는 것을 돕고, 관절통과 근육통은 나쁜 달리기 자세 같은 해로운 습관을 그만두게 하며, 메스꺼움과 설사는 해충이나 독소를 몸 밖으로 배출합니다. 우리 몸의 진화는 끝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런데 현대는 몸과 충돌하는 문화적 관행들이 늘어나 문화적 진화가 불일치 질환을 유발하는 환경을 만든 상황입니다. 지난 150년간 송두리째 바뀐 변화가 너무 빨라 자연선택이 충분히 일어날 시간이 없었던 겁니다.

 

그렇다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닥친 질병들을 어쩔 수 없이 겪게 된 불가피한 부작용으로 여겨야만 할까요. 걸핏하면 스트레스로 두통에 시달리고 조금만 걸어도 발바닥과 허리가 아프고. 활동량 부족이 평생 동안 누적되어 수명은 길어졌는데 몸은 벌써 여기저기 삐걱대니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현대인은 건강하게끔 진화하지 않았지만, 넘쳐나는 음식과 노동을 덜어주는 기계로 둘러싸인 환경에서 더 건강한 선택을 할 수 있는 방법은 있습니다. <우리 몸의 연대기>에서는 진화적 불일치와 역진화의 악순환 고리를 끊어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합니다.

 

어쩌면 뒷걸음질 치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몸이 작동하는 방식을 알게 된다면 우리 몸이 진화한 방식에 최대한 가깝게 이용하는 것이야말로 최선의 상태에 다가선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과잉 혹은 너무 쓰지 않아서 생기는 질환을 살피다 보면 결국 적당한 신체 활동이 건강에 왜 중요하며 어떻게 중요한지 깨닫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