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의 물리학
림태주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바치로 시인으로 사는 림태주 작가의 <이 미친 그리움>, <그토록 붉은 사랑>에 이어 세 번째 산문집, 인간관계의 본질을 다룬 관계학개론 <관계의 물리학>.

 

통찰력과 감성 그리고 유머가 균형을 이뤄 문장 하나하나가 적당한 감정 수위를 유지합니다. 관계가 힘들어 해답을 얻고자 이 책을 손에 든 독자라면 읽는 순간 이미 힐링되는 기분일 거예요.

 

모든 게 처음이고 서툴렀던 젊은 날, 관계를 힘겨워하고 두려워했었다는 림태주 시인. 치열하게 고민한 흔적이 <관계의 물리학>에 담겨있습니다.

 

 

 

관계란 건 특별한 무언가가 아니라 매일 반복되는 일상 속에 평범하고 오래되고 한결같은 편안함과 같다며, 관계의 본질을 '반복'이라고 합니다. 생각해보니 돌발적인 상황이 많이 생길수록 그 관계는 어긋나버리게 되더라고요. 예측 가능한 관계일 때 변함없이 이어지고 유지되는 관계. 결국 "좋은 관계란 반복적인 일상의 의미를 놓치지 않는 사람들의 차지"라고.

 

림태주 시인은 세상에 생겨난 모든 사이를 관계의 우주라고 부릅니다. 제목에서처럼 관계를 천체물리학 개념에 빗대어 풀어낸 방식이 독특했는데 묘하게 맞아떨어져 신기할 정도입니다.

 

개개인을 고유하고 독립적인 하나의 행성으로 바라봅니다. 행성과 행성이 서로 밀고 끌어당기는 우주의 물리 법칙을 따르듯 사귀고 친하고 사랑하는 모든 관계 사이에도 동일하게 작용하고 있었습니다. 한없이 가깝다고 해서 마냥 좋은 게 아니고, 우주의 법칙처럼 팽창의 본성을 인정하고 자유로운 거리를 내줘야 하는 게 관계라는 것을 짚어줍니다.

 

삶은 관계의 총합이고, 관계는 입장들의 교집합이다. - 책 속에서

 

 

 

말의 색채는 사용하는 사람이 얼마든지 선택하고 바꿀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상처의 말은 내뱉은 사람이 아닌 듣는 자의 소유가 되니까요. 그렇기에 먼저 나 스스로가 언어를 바꾸고 말하는 태도를 바꿔야 하는 겁니다.

 

아주 재미있는 사례가 등장합니다. 산타 할아버지 역할을 위해 아이가 원하는 선물이 뭔지 알아내야 하는데 함구하는 아이. 꾀를 하나 내 결국 얻어냈는데 그 방법이 기발합니다. 바로 "말하지 않으면 그 누구도 모른다"라는 법칙이었어요. 내 생각을 상대가 당연히 알아차릴 거라 착각하는 것. 저도 자꾸 그러네요. 생각할수록 의미하는 바가 깊습니다.

 

 

 

관계를 단단히 하려면 행복에 대한 의미도 다시 짚어봐야 합니다. 사람마다 터득한 행복의 기술, 삶의 요령은 저마다 다른데도 우리는 서로의 방식을 욕망합니다. 림태주 시인은 내게 소중하고 행복한 일에 더 몰입해보라고 합니다. 자꾸 애쓰고 참아내고 신경 곤두세워야 한다면 그 관계는 상대방을 위한 관계라고 말이죠.

 

행복을 미래에 유예하는 우리들. 지금 행복해지기 위해 노력한다면 관계 역시 내 마음과 지금 이 순간에 더 집중할 수 있지 않을까요. 소통하고 관계하는 것에서 잠시 내려서 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거리를 두고 바라보면 그제야 보이는 게 있습니다. 

 

 

 

그동안 관계의 결과에만 집중했었다면 <관계의 물리학>을 통해 관계가 성립되는 주체에 집중해봅니다. '서로'와 '사이', 그리고 '다른'의 의미를 새롭게 살펴보게 되었습니다.

 

나와 똑같은 사람은 없는 법. 나와 같지 않은 다름을 가진 사람의 '다름'을 인정하고 각자가 고유한 독립자임을 받아들일 때 관계를 이어갈 준비가 마련되는 셈입니다.

 

조금 황당한 경험을 하기도 했는데요. <관계의 물리학>을 읽다가 예전에 읽은 SF 소설의 난해했던 부분을 이해하는 데 도움 얻기도 했습니다. 양자물리학에서 말하는 오직 하나의 에너지인 빛. 우리가 지각하는 형상들의 모든 것이 하나의 에너지로 그저 다르게 이루어진 형상일 뿐. 우리 모두 빛에서 왔고, 다시 빛으로 돌아간다는 작가의 말에서 번뜩거림이 스치더라고요.

 

물리학 개념으로 꼬리에 꼬리를 문 생각들이 관계의 본질을 이야기하는 데 쓰이다니. 신선하고 독특한 독서 경험이었습니다. 솔직히 관계의 완벽함이 있을 수 있겠냐마는, '다름'이 있기에 서로를 이해하려면 그만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닫습니다. 관계를 대하는 안목을 높일 수 있는 책 <관계의 물리학>을 관계의 힘듦에 지친 이들에게 권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