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보스 수상한 서재 1
김수안 지음 / 황금가지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쪽의'라는 뜻을 가진 암보스 ambos. 대한민국 스토리 공모대전 우수상 수상작 <암보스>는 몸이 뒤바뀐 두 여자가 살인 사건에 휘말리며 벌어지는 이야기입니다.

 

황금가지의 새로운 단행본 레이블 '수상한 서재'의 첫 작품으로 선보일만한 강렬한 소설이었어요. 표지만으로도 이미 싸한 기운을 팍팍 풍기는 영혼 체인지 소설이란 걸 눈치챌 수 있습니다.

 

 

 

숨바꼭질 놀이를 하다 엄마가 살해당하는 장면을 목격해버린 어린아이의 시선으로 시작하는 <암보스>. 연쇄살인 사건의 두 번째 피해자입니다. 

 

 

 

한편 병원에서 깨어난 신문기자 이한나. 소설 속 주요 화자입니다. 취재하던 화재 현장에서 위험에 처했던 상황이 마지막 기억입니다. 그런데 옥상에서 투신자살 시도해 병원으로 온 것으로, 게다가 다른 사람이 되어 있었습니다. 육체적으로도 말이죠. 이한나의 몸은 어디로 간 걸까...

 

가족의 빚으로 고통받아온 기자 이한나와 달리 가족은 없지만 많은 유산을 받아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작가 강유진. 둘은 정반대의 사고방식과 삶을 살아왔습니다. 한나와 유진은 죽음을 앞두고 뒤바뀌게 되었습니다.

 

그들은 자기들도 모르게 이미 인연이 있었습니다. 자살 사건을 취재하다 자살에 이르게 한 동기부여가 된 소설을 쓴 작가 유진을 본의 아니게 곤란하게 했던 기자로서 말이죠.

 

기묘한 건 유진의 소설에서 이미 영혼 체인지 소재를 다뤘고, 현재 상황과 꽤 비슷하다는 겁니다. 소설에서처럼 분명 1년 뒤에는 다시 원래대로 돌아갈 거라는 확신을 하며, 서로의 몸을 하고서 둘은 1년간 이대로 살아보기로 합니다. 

하지만 한나와 유진은 달라도 너무나도 다른 인물이었어요. 경제적 문제가 있었지만 사회적 활동을 활발하게 했던 기자 한나, 타인의 시선을 두려워하며 늘 집안에서 생활했던 작가 유진.

 

가치관은 물론이고 가족, 사회적 관계, 외모와 건강, 성격 등 모든 것에서 극과 극을 달립니다. 유일한 공통점이라면 몸이 뒤바뀌기 전 둘 다 죽기로 결심했던 것뿐.

 

언제가 될지 몰라도 다시 되돌아갔을 때 영향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1년간의 생활을 유지하려 하지만 주변 사람들은 미묘한 성격 변화를 눈치채기도 합니다. 

 

 

 

 

1년이 다 되어가던 시점. 유진의 몸으로 살고 있는 한나에게 날벼락 같은 소식이 날아드는데. 진짜 자기 몸이 변사체로 발견되었습니다.

 

한나의 몸으로 산 유진이 죽어버린 겁니다. 연쇄살인의 수법과 닮은 이 사건의 수사가 진행되면서 한나의 몸으로 활동한 유진에게 그동안 무슨 일이 있었는지 비밀이 하나둘 드러납니다. 

 

 

 

한나의 몸으로 죽은 유진의 죽음에 얽힌 비밀을 파헤치는 과정은 완벽하게 대조되는 두 여자의 삶과도 맞물려 있습니다. 서로가 바뀐 역할에 충실하자고 약속했으면서도 그 이면에 담긴 속내는 서로를 잡아먹는 폭탄 돌리기였습니다.

 

경제력, 외모, 직업에 따라 태도를 달리하는 사람들 속에서 자살로 내몰 정도로 외로움과 두려움에 시달렸던 작가 유진과 달리 오명도, 외로움도 모두 감내할 만하다 여기며 세상의 눈 따위를 두려워하지 않은 기자 한나. 서로가 갈구하던 것을 몸이 뒤바뀌면서 얻은 셈이지만 언젠가는 다시 뒤바뀔 거라는 한계점이 가져다준 심리 변화를 엿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조금 더 분량 더해서 각자의 심리 변화를 그들의 목소리로 더 깊게 들여다보고 싶었는데, 촉 좋은 형사의 추리로 진행하는 부분이 살짝 아쉽긴 했어요. 대신 초현실적인 소재를 현실적으로 끝내려고 억지 부리지 않아서 오히려 결말은 상큼하게 마음에 들었습니다.

 

지금의 내가 행복하지 않다면 없던 걸 가지려고 노력하는 대신 지금의 나를 버렸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를 보여준 소설 <암보스>. 영혼 체인지 소재 자체는 익숙하지만 결말 예측이 쉽사리 힘들 정도로 상황을 꼬아 신선하게 읽을 수 있었던 소설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