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인을 바라보다 - 우리가 모르는 고래의 삶
엘린 켈지 지음, 황근하 옮김 / 양철북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내기, 내기, 서울내기~♫ 새침때기, 다마네기~♫ 맛 좋은 고래괴기(고기)~♫’

아버지께서 어린 손녀와 장난을 치시다가, 새침때기 서울내기를 놀리는 노래를 불렀다. 서울내기인 우리 큰 딸은 금새 삐져서 울먹거렸고, 아버지는 다시 손녀를 달랬다. 나는 이 노래를 직접 불러본 적은 없지만, 어려서부터 여러번 들었던 노래다. 들을 때마다 궁금했던 건데, 왜 하필 고래고기가 나오는 걸까? 아버지께 여쭤봤는데, 돌아온 답은 ‘고래고기가 그만큼 맛있기 때문’이란다. 글쎄 서울내기와 고래가 대체 무슨 상관인지는 아직도 모르겠다.

어린 시절 세상에서 가장 큰 동물이 ‘흰긴수염고래’라는 걸 어느 책에선가 읽었다. 몸 길이가 무려 30미터에 달하고, 몸무게가 150톤이나 된다는 이 거대한 생명체에 관심을 안 가질 수가 없었다. 하지만 관심을 갖는다고 해서 별 다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건 아니었다. 어린 내가 구할 수 있는 어떤 경로(책, 친구, 선생님, 부모님 등)로도 흰긴수염고래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얻을 수 없었다. 결국 그냥 기억에서 잊혀졌다.

흰긴수염고래에 대한 관심은 인터넷 덕분에 다시 떠올랐다. 당시 어느 문학 동호회에 가입하라는 선배의 강요에 따라 동호회에서 사용할 필명을 짓는데 아무리 고민해도 별다른 단어가 떠오르지 않았다. 웬만한 단어는 대부분 기존 회원들이 선점하고 있었다. 한참을 고민하다가 문득 떠오른 단어가 ‘흰긴수염고래’였다. 어린 시절 경외감을 갖고 상상하곤 했던 그 거대한 생명체를 다시 떠올린 것이다. 당장 필명을 그것으로 정하고, 누군가 물어볼 때를 대비하여 좀 더 자세한 정보를 검색했다. 다행히 이번에는 조금 더 정보를 구할 수 있었다. 흰긴수염고래라는 필명은 이후 웬만한 온라인 카페 등에 가입할 때마다 사용했는데, 주위 사람들은 ‘술고래’라고 바꿔 부르곤 했다. 나중에는 흰긴수염고래가 발음하기가 쉽지 않고, 또 술고래라고 불러대는 녀석들이 귀찮아서 다른 필명으로 바꿔 쓰게 되었고, 또다시 기억에서 잊혀졌다.

다시 흰긴수염고래를 만나게 된 건, 이 책을 통해서다. 캘리포니아 만에 사는 흰긴수염고래들을 20년 동안 관찰해온 다이앤이란 연구자는 고래 한 마리 한 마리에 이름을 붙여서, 누군지 다 알아볼 수 있다고 했다. 그녀는 동료들과 함께 만든 사진식별 카탈로그를 갖고 있었다. 주로 등지느러미의 색깔과 모양(뭉툭한 것, 굽은 것, 삼각형 등)에 따라 분류되어 있다고 했다. 다이앤은 캘리포니아 만 근처에서 만나왔던 30여 마리의 고래들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그 특징을 잘 파악하고 있다고 했다. 그녀는 가장 기억에 남는 고래로 ‘250’이란 이름을 붙인 암컷에 대해 얘기했다. 250을 처음 발견했을 때, 데리고 있었던 새끼 ‘니냐’(소녀라는 뜻이지만, 실제로 그 새끼는 수컷이었음)를 데리고 있었던 얘기와 2년 후에 다시 두 번째 새끼인 ‘핀타’를 데리고 온 이야기. 그리고 나중에 세 번째 새끼를 보았을 때 ‘산타 마리아’라는 이름을 붙여준 이야기가 무척 흥미롭다. 제인 구달의 침팬지 연구나 신시아 모스의 코끼리 연구처럼 다이앤은 ‘친밀성’을 바탕으로 고래 연구에 좀 더 집중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 책에는 그 외에도 캘리포니아 만을 거쳐 가는 수많은 고래 이야기가 가득하다. 그리고 그 이야기들은 사실은 그들 고래를 쫓는 고래 연구자들의 이야기이다. 저자는 고래의 삶과 고래 연구자들의 삶을 모성의 관점에서 풀어놓는다. 책을 펼치자마자 만나게 되는 저자의 딸 ‘에스메’의 잠든 얼굴은 그런 점에서 이 책의 성격을 가장 잘 보여주는 사진이다. 저자는 우리가 잘 몰랐던 고래의 삶에 대해 여성 특유의 섬세하고 따뜻한 목소리로 들려주고 있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철나무꾼 2011-06-20 17: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요즘 서울내기=새침떼기에 '좀'민감해요,ㅋ~.

제가 요즘 어머니 병간호를 하는데...병실 환자랑 보호자들이 전부다 절 보고 서울 깍쟁이라고 해대는 통에 말이죠~

흰긴수염고래님~
이 책, 완전 시원해 보이는 걸요~

감은빛 2011-06-22 02:48   좋아요 0 | URL
흠 민감한 시기에 노래까지 불러서 죄송합니다! 꾸벅!

그런데 왜 갑자기 그런 소리를 들으셨을지 조금 궁금한데요. ^^

표지가 참 시원하죠?
표지만 보고, 속에 멋진 사진일 많을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던데요.
안타깝게도 그렇지는 않더라구요.

하지만 내용은 꽤나 좋았습니다.

마녀고양이 2011-06-20 2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ㅎㅎㅎㅎㅎㅎ, 흰긴고래수염보다 술고래가 더 연상이 잘 되는군요!

고래 참 이뻐요, 매끈하고 영리하고. 우리랑 다르게 진화하여 적응하고.
그런데 고래 고기 저는 맛 없더라구요. 제 친가가 대구인데,
거기서는 고래 고기를 굉장히 높게 쳐주더라구요.
그런데 제가 맛없는 고기를 먹어서 그런가 별로. 음, 그래서
고래는 바다에 잘 살게 내버려두는 종으로 저는 정했답니다. 무분별한 남획, 슬프잖아요.

감은빛 2011-06-22 02:55   좋아요 0 | URL
아마도 술고래가 더 연상은 잘 되시겠죠? ^^
요즘은 체력이 딸려서 예전처럼 많이 마시지도 못하겠더라구요.
그러니 이젠 더이상 그렇게 불릴 일은 없을 듯 합니다.

저는 고래고기 맛있던데요.
기름이 좀 많아서 입맛에 안 맞으셨을지도 모르겠네요.
제가 알기로 고래고기는 부두 노동자들의 음식입니다.
하루 일당 받아서 노점에 앉거나 서서
따끈한 정종 한 잔에 고래고기 한점 집어 먹고 피로를 풀었죠.
서민 음식이었던 고래고기가 이제는 귀한 음식이 되어버렸죠.

물론 고래는 보호해야 할 대상입니다.
무분별한 남획은 당연히 안되죠!
그런 의미에서 일본은 정말 반성을 많이 해야 합니다!

루쉰P 2011-06-22 22: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제가 경외하는 대상이 무엇이었는지 모르겠네요. 팬더? 라고 할까요. 눈에 멍이 든 모습이 어린 시절부터 아프겠다라는 생각이 지워지지를 않아서 그런 기억이 있어요. ^^
아참 필명하시니 궁금한 건데 감은빛은 무슨 뜻이죠?

감은빛 2011-06-23 12:14   좋아요 0 | URL
팬더는 경외의 대상이라기 보다는,
아이들의 친구라고 할만큼 친근한 동물인 것 같은데요. ^^

감은빛이란 단어의 뜻을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네요.

다음 국어사전에는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명사] 석탄의 빛깔과 같이 다소 밝고 짙은 빛.

부연하자면, 검은 색을 가르키는 순 우리말 중에 하나입니다.
광택이 나는 짙은 검은색입니다.

김용호 2014-03-05 15: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다마네기’, ‘고래고기’

아직도 제법 쓰는 말 중에는 ‘다마네기’(양파)가 있다. 일본어 사전에는 “タマネギ tamanegi[玉葱]”라고 표기되어 있어서 일본 고유어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어렸을 적에 이 말을 서울에서 전학 온 여자애를 놀린 용어로 많이 사용했던 기억이 난다.

‘서울내기 다마네기 맛좋은 고래고기’라고 운율을 넣어서 약을 올리며 놀린다. 요즈음의 가요로 따진다면 랩송에 가까운 것이다. 이 말이 왜 놀리는 뜻을 가지고 있는지, 왜 ‘다마네기’며 그 바로 뒤에 뜬금없이 고래고기가 왜 나오는지, 왜 저속어 취급을 받아야 하는지, 오랫동안 궁금하였다.



서울내기의 ‘내기’는 “그 지역에서 태어나고 자라서 그 지역 특성을 지니고 있는 사람을 뜻을 더하는 접미사.”이며, ‘출(出)’의 의미이다. 순전히 필자 개인의 생각으로 양파는 껍질을 벗겨도 자꾸 순백색의 껍질이 나오는 채소다. 급하고 명쾌한 경상도 성격에 비하여 속내를 잘 나타내지 않는 서울사람들의 특징을 빗대서 나타낸 것으로 본다.

그 다음이 바로 ‘맛좋은 고래고기’인데, 이 부분이 수상하다. ‘내기’와 ‘네기’로 대구(對句)를 맞추어 시작을 하였는데, 느닷없는 ‘맛’타령이다. 고래고기는 맛이 있다고 치자. 왜 하필 다마네기 다음에 ‘맛’타령 일까? 이 부분이 욕으로 간주되며, 저속어 취급을 받는 주된 요인으로 생각한다.

아니면, 고래고기는 다양한 부위에 따라 각각의 맛이 있다고 들었다. 그렇다면, 카멜레온 같은 종잡기 어려운 서울 여자애의 성향을 말하는 것은 아니었는가 하는 추측도 가능하다 하겠다.

김용호 저 <풀어보고 엮어보는 거제방언 사투리 > 한국문화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