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당국이 지난해 4월 용천역 폭발사고 후 국제사회가 보낸 식량과 의약품 등의 구호물자를 빼돌린 증거가 포착됐다고 산케이신문이 15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비정부단체 ‘구하라 북한민중/긴급행동 네트워크(RENK)’ 회원이 지난해 7월 청진에서 촬영한 비디오 테이프를 인용,빼돌려진 구호물자가 일반시장에서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어 북한당국이 막대한 이익을 얻고 있다고 전했다.
[an error occurred while processing this directive]
청진 수남시장에서 빼돌려진 쌀은 1㎏에 북한 돈으로 공식가격의 9배인 430원(약 2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테이프에는 수남시장에 진열돼 있는 쌀과 옥수수 자루에 물자를 지원한 한국과 중국,영국 등의 국가명이 표시돼 있고,그 중에는 세계식량계획(WFP)과 대한적십자사가 보낸 채 뜯지 않은 식량포대도 보였다. 테이프에는 또 “이 물건들은 용천에서 온 것” “유엔의 약이라 안심할 수 있다”며 호객하는 상인들의 목소리도 들어 있다.
RENK는 북한당국이 구호물자가 유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될 때마다 “포대를 다시 사용한 것”이라고 설명했으나 이번에는 뜯지도 않은 구호물자가 다수 발견돼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RENK 대표인 이영화 간사이대 조교수는 “일개 상인이 물자를 운반하기는 불가능하며 용천에서 500㎞ 떨어진 청진까지 다량의 물자를 수송했다는 점으로 미루어 북한당국이 조직적으로 유용했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흥우기자
hw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