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신경 보호 유전자 발견…KAIST 김재섭교수팀 "자극에 반응 기능손상 방지"
기사입력 : 2005.01.30, 23:28

마약 복용이나 독감 등 각종 열병에 의해 신경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유전자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발견됐다. 이에 따라 이 유전자의 기능을 강화해주는 신약을 개발할 경우 마약 복용이나 독감 등으로 의식을 잃어 뇌기능이 영구히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김재섭(43) 교수팀은 신경세포가 지나친 자극에 의해 과민하게 흥분, 스트레스성 반응을 보임으로써 기능을 손상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유전자를 발견했다고 30일 밝혔다. 김 교수팀은 이 유전자의 이름을 열병을 뜻하는 ‘파이렉시아(Pyrexia)’로 명명하고 세계적인 학술저널 네이처 제네틱스(Nature Genetics) 31일자 인터넷판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형질전환 초파리의 2만7000가지 행동을 분석,여러 유전자를 찾아낸 뒤 이 유전자들을 개구리 알에 발현시킨 결과 39도 이상의 온도자극에 반응하는 파이렉시아를 발견했으며 이 유전자를 사람의 세포에 적용한 결과 역시 온도자극에 반응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파이렉시아를 파괴시킨 초파리는 신경세포가 망가져 뇌기능이 마비됐고 반대로 그 기능을 강화시킨 초파리는 정상적인 모습을 보였다”면서 “이를 통해 파이렉시아가 섭씨 39도 이상의 고온에서 자극으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말했다.

윤중식기자 yunjs@kmib.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