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억제 단백질 찾았다
세포 내에 존재하는 ‘p18’이라는 단백질이 강력한 암 억제 기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국내 과학자가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서울대 약대 김성훈 교수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규명된 이 연구 결과가 세계적인 과학전문저널 셀(Cell)지 1월호에 실렸다고 27일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세포 내에서 p18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는 쥐의 경우 수정 후 며칠 만에 죽어버렸으며 p18 단백질을 정상쥐보다 절반가량 적게 만드는 쥐들은 성장하면서 림프종, 간암, 유방암, 폐암 등 다양한 암이 발생했다. 이는 p18 단백질이 세포의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또 사람을 대상으로 백혈병, 간암 환자를 분석한 결과 환자의 절반가량에서 p18 단백질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김교수는 “p18은 손상된 DNA를 치유하는 기능을 하고 있어 이 단백질이 부족하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DNA 손상이 축적되어 암으로 발전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암발생을 억제하는 p18 단백질을 대상으로 항암제를 발굴, 암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은정 과학전문기자 ejung@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