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전역에 모노레일 설치하자”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도 전역에 모노레일을 설치, 녹색교통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이 제시돼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과 서울대 환경대학원은 10일 제주도청에서 열린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 관리계획 공청회 자료검토 및 토론회’에서 이같이 제시했다.
제주도는 2002년 12월 유네스코에 의해 한라산 등 830.94㎢가 제주도생물권보전지역(JIBR)으로 지정됐다. 이날 토론회는 제주도생물권보전지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지정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됐다.
제주도생물권보전지역의 관리와 효율적 운영을 위한 계획안에 따르면 제주도를 한바퀴 도는 일주도로를 비롯, 중산간도로 등에 모노레일을 설치토록 했다. 중산간도로(16번국도)에 모노레일을 설치하고, 이 곳과 일주도로(12번도로)를 연결하는 방사상 모노레일을 구축, 도 전역을 모노레일로 다닐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1,100도로의 용도를 전환, 모노레일을 설치하거나 제주마 마차를 운행토록 했다.
또 해저관광을 위해 해상모노레일과 수중모노레일, 수중터널을 구축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계획안은 모노레일을 기존 도로위에 설치할 경우 별도의 토지잠식이 없을 뿐만 아니라 관광제주의 정체성을 높이게 될 것으로 분석했다. 또 화석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자동차 의존도를 저감시키면서 대중교통을 활성화하는 효과를 불러올 것으로 보고 있다.
계획안은 이밖에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으로 토지이용의 제한을 받지 않는만큼 대상면적을 제주도 전역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시했다.
단위면적당 전국 최고의 수치를 차지하는 골프장에 대해서는 다른 관련업체에 미치는 간접지출로 재생산을 유발, 지역경제활성화 효과를 가져오는 긍정적 측면도 있으나, 골프장의 양적 증가는 제주도의 정체성을 높여서 얻을 수 있는 효과와는 거리가 있다고 분석했다. 또 제주도만이 가지는 경관특성이 골프장으로 인해 훼손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때문에 미래에 골프장산업의 낙후나 경쟁력 저하에 대비, 골프장 토지의 대안적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을 상징하는 로고(마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또 생물권 보전지역 관리를 위해 제주도생물권보전지역 관리센터를 제주도청에 마련해야 할 것으로 제시됐다.
〈강홍균기자 khk5056@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