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작가와의만남님의 "<나, 건축가 구마 겐고> 특별 강연회"

1명 신청합니다. 거장으로부터 직접 듣는 강연이라 더욱 기대가 됩니다. 건축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지만, 정작 건축문화 자체는 심도깊게 대중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지 않은데, 일반 시민으로서 그리고 새로운 건축 애호가로서 보다 바람직한 건축문화에 대한 담론을 경험하는 소중한 기회를 함께하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작가와의만남님의 "<작은 한옥 한 채를 짓다> 서촌 산책"

1인 신청합니다. 작년 11월까지 몇년간 서촌에서 살아가면서 오래된 한옥이 하나 둘씩 새로운 감각으로 단장되어 가던 과정들을 보아왔었습니다. 동네가 각광받아가며 조금씩 북적이는 것을 조금은 흐뭇하게 조금은 안타깝게 바라보아왔었죠. 하지만 밖에서 보아왔던 모습과는 달리 실제 살아가는 공간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보지는 못했습니다. 이번 기회에 우리동네를 돌아보며 한옥 살림집을 살펴보는 기회를 접하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명] 지난 1, 2권에 이어 곧 출간 예정이라던 3권을 해넘이 하면서 기다린 독자입니다. 일본문화 소개의 클라이막스가 될 교토편을 실제 접하기 전에 유홍준 교수님의 슬라이드와 함께 집필 방향을 짚어가는 기회를 갖고 싶습니다. 매번 느끼는 것이지만 유홍준 교수님의 글담도 글담이지만, 입담을 접해야지만 그 생생한 간접체험을 몸소 쌓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교수님의 오랜 팬으로서, 그리고 열렬한 문화유산답사기의 애독자로서 꼭 기회를 접하였으면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더 스크랩 - 1980년대를 추억하며 비채 무라카미 하루키 작품선 5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권남희 옮김 / 비채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키의 글이 좋은 건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글을 쓰고 싶게 만든다는 것이다. 특히 에세이가 그렇다. 별것 아닌 일상을 맛깔나고 유머스럽게 툭툭 던지는 그의 글들을 읽고 있자면, '뭐 이런건 나도 쓸 수 있겠는데? 하루키는 너무 거저먹는 거 아닌가' 이런 생각이 들곤 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막상 쓰려고 보면 글이 생각보다 줄줄 나오지 않는다. 쉬운 글쓰기는 역시 하루키니깐 가능했던 것. 

이번에 출간된 에세이집 '더 스크랩' 역시 하루키가 에스콰이어 등 미국 잡지를 보면서 느낀 감상을 적은 '거저먹은' 글들이 넘쳐나지만 뭐 어쩌겠는가. 그것들조차 나쁘지 않은 것을. 아니 솔직히 말해 좋다. 

 

 

책 속에서 

 

나는 일단 자유업자여서 위크데이도 주말도 전혀 관계가 없다. 그래서 요일 감각 없이 매일 그날이 그날 같은 나날을 보내게 된다. 오늘이 무슨 요일인지 물어도 얼른 대답하지 못한다. 그저 화목토가 쓰레기 버리는 날, 월요일이 이발소 정기휴일이란 것만은 외우고 있어서, 이것이 요일 망각증의 최후 방지책이 되고 있다. 

 

19820720

최근에는 <뉴요커>에 실린 레이먼드 카버의 <내가 전화를 거는 곳>과 도널드 바셀미의 <벼락>, 이 둘을 추천한다. 카버는 늘 그렇듯이 금세 반할 정도로 좋은 단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들면 천사 - 내 아이 잠 습관, 평화롭고 행복하게 가르치기
아네테 카스트 찬, 하르트무트 모르겐로트 지음, 손희주 옮김 / 북하이브(타임북스) / 2013년 7월
평점 :
품절


지극히 실용적인 목적에서 구입한 책이다. 아기는 참 사랑스럽지만, 역시 잠잘 때가 가장 예쁘다는 사실! 이 책은 잠 잘자는 아이로 키우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역시 육아든 뭐든 공부를 해야한다.

힘든 육아 전쟁을 치르고 있는 부모들에게 추천.

 

 

책 속에서

 

저녁에 잠드는 과정은 밤에 깼을 때 다시 잠드는 과정과 연관이 깊다. 그러므로 혼자서 잠을 청한 아기가 밤에 깼을 때 혼자서 다시 잠들 요량이 크다.

 

가급적 일찍부터, 아기가 아직 잠들지 않았을 때 아기 침대에 재우는 걸 시도하라.

 

가장 중요한 것은 늦은 저녁, 일정한 시간에 맞춰 수유하는 것이다. 평소에는 아기가 원하는 만큼 원하는 시간에 주었더라도, 잠자기 전 저녁 마지막 수유 시간만큼은 엄수한다. 가장 좋은 타이밍은 엄마가 자러가기 바로 직전이다. 그 시간이 될 때까지 아기가 얼마나 오래 잤으며, 그 전에 언제 젖을 먹었는지 상관없이 매일 그 시간에 아기를 깨워 젖을 물린다. 그렇게 며칠이 지나면 아기는 그 시간 무렵에 배고파하고, 또 젖을 배부르게 먹는데 익숙해진다.

 

꼭 명심할 것은 아기가 밤잠을 청하기 전 적어도 4시간은 깨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