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이 옳다 - 정혜신의 적정심리학
정혜신 지음 / 해냄 / 2018년 10월
평점 :
정신과 의사 정혜신 선생님은 여러 매체를 통해서 익히 알고 있던 터라 이번 독서를 통해 그녀의 생각과 활동들에 대해 깊이 알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 생각하니 책을 읽기 전부터 기대되는 바가 컸다. 내가 기억하기로 쌍용 자동차 해고 노동자들의 현장에도, 세월호 유족들이 머무는 현장에도 그녀의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 유독 눈에 띄었던 것은 그 현장에 머물며 그들과 함께 하는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도 ‘저 의사 선생님은 진심으로 그들의 마음을 위로하고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 그녀가 쓴 책이라면 내게도 큰 도움이 되겠다. 그녀가 이야기하는 방법으로 나도 누군가의 손을 잡아주고 진심으로 위로라는 것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 어쩌면 내가 먼저 이 책을 읽다가 위로를 받을 수도 있겠구나 싶었다.
우리는 삶에서 여러 환경에 노출되어 많은 사람들과 부대끼며 살아가고 있다. 밝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어두운 사람이 있고, 외향적인 사람이 있는가 하면 내성적인 사람이 있다. 내가 속해 있는 환경에서도 천차만별의 사람들이 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과연 나와 관계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고, 어떻게 그들의 마음에 귀를 기울이고 있나를 돌아보게 되었는데 안타깝게도 나는 그들을 내가 살아오면서 만들어 놓은 각각의 카테고리 안에 넣고 그들을 한 사람 한 사람 존재 자체로 본 것이 아니라 세상이 바라보는 그런 편견을 가지고 내 나름대로 대해 왔던 것이다.
정혜신 선생님은 나와 내 옆 사람의 속마음을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소박한 심리학을 ‘적정심리학’이라 이름 붙였는데 그 ‘적정심리학’의 핵은 바로 공감이다. 이 책은 전체에 걸쳐서 공감이란 무엇인가에서부터 제대로 공감하는 법까지 공감에 대해 아주 깊숙이 들어가 이야기한다. 그녀가 말하는 공감을 통해 내가 지금까지 해왔던 공감은 나를 갉아먹으면서 상대방에게만 몰두하고 나를 지치게 한 공감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것이 공감이 아니라는 것이 솔직히 충격이었고, 내가 그렇게 다른 사람들을 공감하다가 점차 사람들을 공감하며 위로하는 것을 조심하게 된 이유를 알 수 있었다.
“공감은 내 등골을 빼가며 누군가를 부축하는 일이 아니다. 그 방식으론 상대를 끝까지 부축해 낼 수 없다. 둘 다 늪에 빠진다. 공감은 너를 공감하기 위해 나를 소홀히 하거나 억압하지 않아야 이루어지는 일이다. 누군가를 공감한다는 건 자신까지 무겁고 복잡해지다가 마침내 둘 다 홀가분하고 자유로워지는 일이다. 너를 공감하다 보면 내 상처가 드러나서 아프기도 하지만 그것은 동시에 나도 공감받고 나도 치유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된다. 공감하는 사람이 받게 되는 특별한 선물이다.” (121쪽)
사람들은 대개 상처입고 힘들어하는 사람에게 그들이 무엇 때문에 힘들어하는지 자세하게 묻지 않고 그저 늘 하던 대로 충조평판(충고조언평가판단)을 날리거나 “힘내”라든지, “앞으로 좋은 일이 많을거야.” 등의 형식적인 공감을 늘어놓는다. 그러한 공감에 대해 정혜신 선생님은 이야기한다.
“공감은 다정한 시선으로 사람 마음을 구석구석, 찬찬히, 환하게 볼 수 있을 때 닿을 수 있는 어떤 상태다. 사람의 내면을 한 조각, 한 조각 보다가 점차로 그 마음의 전체 모습이 보이면서 도달하는 깊은 이해의 단계가 공감이다. 상황을, 그 사람을 더 자세히 알수록 상대를 더 이해하게 되고 더 많이 이해할수록 공감은 더 깊어진다. 그래서 공감은 타고나는 성품이 아니라 내 걸음으로 한발 한발 내딛으며 얻게 되는 무엇이다.” (125쪽)
상대방의 아픔을 제대로 모르면서 공감하는 것이 아니라 그 마음을 알 수 있을 때까지 계속 묻고 또 물으며 심리적 CPR을 행하며 아픈 마음의 정확한 위치가 어디인지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해가 되어야 더 깊은 공감으로 나아가 상대방을 제대로 공감할 수 있다는 것을 이제야 제대로 배운 것이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는 생각이 내게는 희망적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생각나는 이들이 있었다. 그들이 내게 힘들다고 이야기할 때 나는 그저 건성으로 듣지는 않았는지, 그들에게 제대로 된 위로의 한 마디를 해줬는지, 그 마음을 이해하려고 끝까지 질문을 하며 관심을 가졌는지 돌아보게 되었는데 참 부끄러운 마음이 들었다. 그들이 내게 보낸 SOS에 제대로 답해 주지 못한 것이 이제야 잘못된 것임을 깨닫게 되고 후회로 남는다.
이 책에서는 6세 아이에서부터 27살의 딸에 이르기까지 엄마와 자녀 간의 공감이 정혜신 선생님을 통해 점차 제대로 회복되어가는 것을 보게 되는데 나 또한 제대로 된 공감으로 내가 사랑하는 이들의 마음은 언제나 옳다는 것을 인지하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비록 그때는 그렇지 못했지만 이제는 어떤 것이 제대로 된 공감인지 알았으니 사랑하는 이들의 힘듦 앞에서 그 존재 자체를 바라보며 정말 마음이 얼마나 아픈지 묻고 또 물으며 진심으로 공감하고자 한다.
“마음은 언제나 옳다.”는 선생님의 말씀이 뇌리에 깊이 박힌다. 어떤 마음이든 소중하지 않은 것이 없고 그 지체로 옳다는 것을 늘 기억하며 어느 누구의 마음도 지금까지의 습관으로 무시하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 절대 충조평판 하지 않고 그 마음의 아픈 곳이 어디인지 알 때까지 옆에서 들어주고 물어도 가며 이해하기를 힘쓰고 싶고, 이야기를 듣다가 내 상처나 아픔이 드러나면 내 아픔에도 관심을 기울이며 상대방과 함께 회복되어 가고자 한다. 참으로 귀한 책을 읽었고, 앞으로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을 위로할 때 어떻게 진심으로 위로해야 할지 알게 해 준 정혜신 선생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