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하나님
주원규 지음 / 새움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것을 잃은 한 남자가 있다. 남은 것이라고는 율주제일교회의 담임목사라는 직책 하나 뿐이다. 담임 목사로 있던 미국에서 추문을 일으키고 파문을 당한 이력이 있다. 그는 모든 것을 걸고 율주 시로 오게 되었다. 율주제일교회의 실세이기도 한 김인철 장로의 부름이 있었다. 국회의원이자 율주시를 개발로 이끈 인물, 율주제일교회 또한 예전과 다르게 화려한 외양을 하고 있었다. 초대 목사님이 목회를 할때는 낮은 강대상이었으나 지금은 우러러 볼 정도로 높은 강대상과 화려한 목사 집무실로 바뀌었다. 어떻게든 이곳에서 버텨야 했다. 하지만 율주시에 처음으로 발을 내딛은 곳에서 오래된 역사를 지키고 있는 한 소녀를 만났다. 철거 중인 구역사 건물로 빠져 나오게 된 그. 마치 그의 앞날을 보여주는 듯 했다.

 

오래 전에 청년부로 교회에서 성가대도 했었다. 그럼에도 한국 교회의 한 단면을 바라보는 이 소설은 불편한 감정이 따랐다. 믿음이 부족한 사람이 겪는 증상인지도 몰랐다. 하지만 여전히 어딘가에서는 일어나는 일일 수도 있겠다. 소설 속 주인공 정민규 목사를 바라보는 감정 또한 목사도 한 사람의 인간이라는 것을 알게되었달까. 목사도 인간이기에 종종 추문에 휩싸이기도 한다. 내가 다녔던 어느 교회에서도 목사님이 한 전도사 때문에 교회가 시끄러웠다는 말을 전해들었다. 굉장히 존경하는 목사님이었는데 그도 인간이었다는 것을 알았다.

 

이처럼 소설 속 정민규 또한 추문을 겪은 후 진정으로 하나님을 바라보게 되는 인물이 아니었을까 싶다. 담임 목사 자리가 마지막 직업일 수도 있겠고, 재기를 위한 발판을 마련해야 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진퇴양난의 기로에 서 있던 인물이었다.

 

 

책을 읽으며 들었던 생각은, 정민규는 꼭 그런 방법으로 김인철 장로를 폭로해야 했나, 였다. 몇년 전 책으로 나왔다가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도가니」 가 개봉되었을 당시 커다란 이슈가 된 적이 있었다. 장애인의 인권에 대해 높은 관심을 불러 일으켰던 영화였는데, 원작 소설과 함께 큰 반향을 일으켰다. 아무래도 소설을 읽으며  「도가니」의 내용이 생각났다.

 

교회에서 지체장애인 시설을 지원하는 곳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아비귀환이 따로 없었다. 소설이기에 가능한 일이겠지라는 생각은 소설  「도가니」 에서처럼 실제로 일어나는 일이라는 걸 알았으니 두 말할 필요도 없다. 교회의 지원으로 운영되는 정신지체 장애인 시설인 신애원을 통하는 구름다리. 그 구름다리가 잠금장치로 막힌 것은 교회가 신애원을 바라보는 마음 장치가 아니었을까.

 

 

 

 

권력과 돈에 눈이 먼 정치인이 장애인 시설 아이들에게 폭력을 일삼고 성폭행까지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음에도 그에게 향응을 제공받은 입장이라 그를 기소하지도 못하고, 증거불충분으로 풀려나왔다는게 말이나 되느냐 말이다. 그렇다고 그 많은 자료를 뒤로 하고서 스스로 소돔과 고모라로 향하는 것은 자멸이나 마찬가지였다.  

 

정민규의 믿음, 한영호 장로의 믿음을 말하기 위해 둘은 아브라함의 믿음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정민규의 논문 주제로도 쓰였던 아브라함의 믿음, 즉 인신 제사의 개념을 넘어서는 초극의 믿음에 대한 이야기였다. 인간의 신에 대한 믿음은 어디까지 이며, 신을 믿는 것 또한 하나의 이상(理想)일 수 있는지 비틀린 믿음을 마주 했다.

 

사건이 해결되는 것과 동시에 또다시 다른 사건에 휘말리게 되는 식이었다. 해피엔드식의 결말을 기대했으나 소설이 끝나고서도 한참을 생각에 잠겼다. 종교에 대해서. 믿음에 대해서. 진정 신은 있는 것인지, 우리가 믿고 싶은 대로 믿는 것인지. 문득 유발 하라리의 인간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신의 존재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10-27 17: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Breeze 2017-10-27 17:06   좋아요 1 | URL
그러게 말입니다. 상반된 감정이 생기더군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