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르노 1 로버트 랭던 시리즈
댄 브라운 지음, 안종설 옮김 / 문학수첩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십대 시절, 세계문학에 빠져 있을때, 단테의 『신곡』을 읽었다. 아니 읽었다고 하기에는 좀 그렇고, 들춰봤다고 해야겠다. 두 권으로 된 책을 펼쳐 들었을때, 끝없이 이어진 시가 사람을 질리게 만들었다. 그래서 몇 장을 읽다가 포기했었던 것 같다. 이번에 그 책을 다시 들춰보니, 오래전의 판본이라 깨알같은 글씨가 또 사람을 질리게 만들었다. 눈이 나쁘니 한참을 들여다봐야 할 정도였다.

 

오랜만에 단테의 『신곡』을 들춰보게 만드는 책을 만났다. 바로 댄 브라운의 『인페르노』다. 『인페르노』는 단테 알리기에리의 작품 『신곡』을 구성하는 세 권의 작품 가운데 첫번째 책이다. 대서사시 『신곡』은 지하 세계로 내려갔다가 연옥을 거쳐 천국에 도달하는 단테의 여정을 다루고 있다. 「인페르노(지옥)」, 「푸르가토리오(연옥)」, 「파라디소(천국)」로 이루어진 3부작 중 「인페르노」가 가장 널리 읽히고 많은 사람들의 기억에 남아 있다고 한다.     

 

댄 브라운은 『인페르노』에서도 역시 로버트 랭던에게 단테의 '인페르노'를 찾아가는 여정을 추리 형식으로 다룬다. 책의 전개는 『다빈치 코드』처럼 다분히 영화적이다. 로버트 랭던은 머리의 통증으로  이탈리아의 피렌체 병원에서 깨어난다. 하버드에 있어야 할 그가 이탈리아 피렌체에는 언제 왔던 것일까. 몇일간의 일들이 기억나지 않는데, 금발의 말총머리를 한 의사 시에나 브룩스는 그가 총상을 입어 입원했다고 했다. 곧이어 고슴도치 머리를 한 여자가 나타나 로버트 랭던에게 총을 쏘고, 그 위험에서 로버트는 시에나의 도움을 받아 병원을 빠져 나온다.

 

 

그가 입고 있던 겉옷 속에는 정체를 알수 없는 물건이 들어 있다. 그가 병원에서 깨어나기 전 겪었던 환각과 영향이 있는 걸까. 자신은 왜 피렌체까지 와 있는가. 금속 원통을 시에나와 함께 열어보면서, 원통 속에 그림이 새겨져 있음을 안다. 사람을 잡아 먹는 머리 셋 달린 사탄의 모습이 정교하게 새겨져 있었다. 이는 중세 시대의 이미지 이며, 흑사병과 관련이 있음을 알게 된다. 뼈로 만들어진 원통을 기울여 보자 뭔가 그림이 비치기 시작했다. 그 그림은 단테의   『신곡』중 '지옥'을 나타내는 그림을 그린 산드로 보티첼리의 그림 '지옥의 지도'와 닮아 있었다.

 

지하세계의 청사진을 정교하게 그려낸 그림으로 단테의  「인페르노」에서 영감을 받아 그린 작푸이다. 보티첼리는 깔때기 형태의 지하 세계로 묘사되어 있으며, 층층이 자리한 불, 유황, 똥물, 괴물 등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고통을 죄인들에게 가하는 사탄의 모습들이 그려져 있다. 아홉 개의 단계를 거쳐 고통 받는 죄인들의 그림이다. 하지만 원통 모양에서 비치는 그림에서는 보티첼리의 그림을 약간 변형 시켰다.  

 

이 그림을 그린 자, 단테의 '인페르노'를 너무너도 훤하게 꿰뚫고 있는 자가 인류를 멸망시킬지도 모르는 흑사병을 퍼뜨린게 아닌가 하는 추리를 하며, 그가 말한 곳으로 여정을 함께 한다. 인구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흑사병을 퍼뜨린다 생각하고, 그가 숨겨둔 곳으로 향하는 모험이 시작되었다. 시에나와 로버트 랭던은 흑사병을 막기 위해서 힘껏 달린다.  

 

산드로 보티첼리 「지옥의 지도」

 

작가 댄 브라운은 이 책을 쓰기 위해 단테의 『신곡』을 연구 했고, 그것을 바탕으로 단테를 알리는 신작 소설을 썼다. 중세 시대의 작품 하나를 가지고 많은 사람들이 그에 관한 그림을 남겼고, 또 어떤 과학자는 이처럼 인구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효과적인 방법을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었다.  

 

댄 브라운의 다른 작품들인 『다빈치 코드』나 『천사와 악마』처럼 강한 흡입력은 없었다. 결말도 왠지 내가 생각하는 결말이 아닌, 현재 주변 사람들에게 고민이 되는 것이어서, 왠지 씁쓸해졌다. 하지만 몇 줄의 문자, 단테의 서사를 따라가며 수수께끼를 푸는 과정은 여전히 흥미로웠다.

 

우리는 하나의 작품을 읽고, 그에 연관된 작품들을 다 보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다.

댄 브라운이 단테를 연구해 이 책을 썼듯, 이 책을 주요 테마인 단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작품 『신곡』을 읽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하니 말이다.  '지옥'편을 너무도 세세하게 써서, 지옥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가톨릭 신도의 수가 세 배 이상 증가했다고 한 작품이라 한다. 우리는 죽음에 대한 공포가 커질 때 신에 의지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지옥에 대한 두려움에 앞서, 어떤 모습인지 단테의 『신곡』중 「인페르노」편이라도 읽어보고 싶다. 자신의 마음속 연인 베아트리체를 향한 마음을 어떤 식으로 표현했을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