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 정유정 장편소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7년의 밤』을 읽었던 충격이 떠오른다. 아주 재미있는 작품이라 여기지 않았던 작품인데, 놀랍도록 흡인력 있는 작품이어서 놀랐고, 추리 형식의 글을 여성 작가가 썼다는 점이 놀라웠었다. 그 소설로 인해 정유정 이라는 작가를 뇌리에 각인시켰던 작품이기도 했다. 들려오는 소리에 작가가 어딘가에 칩거해 차기작을 쓰고 있다는 소리에 그의 신작을 무지하게 기다리기도 했었다. 그랬던 그녀의 신작이 나왔다는 짧은 글 하나에 바로 예약구매해놓고, 기다리고 있던 참에 신문에서부터 작가의 인터뷰 기사가 나왔고, 며칠이면 책이 나온다는 설렘에 가슴이 콩닥거렸다. 그렇게 기다리다가 받은 작품을,나는 읽고 있는 다른 책을 팽개쳐두고 이 책부터 읽기 시작했다. 

 

 

역시나 흡인력 있는 작품이었다. 정유정 작가다운 글. 프롤로그에서는 책속의 내용, 그 정황을 파악하느라 신경을 곤두세워 읽었다. 두 번씩이나. 작가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프롤로그에 담겨 있을텐데,,, 하며 자꾸 작가의 생각을 알고자 했다. 드디어 이야기가 전개되었다.

 

 

가상의 도시, 화양, 이곳은 경기도에 속한 곳으로 서울과 가까운 곳이기도 하는 곳.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대원, 그들이 집에 도착했을때 문은 열려져 있지 않았고, 윗집의 베란다를 이용해 들어갔지만, 순간 튀어나오는 늑대개에 부딪혀 하마터면 죽을뻔한 소방서 구조대팀장이었다. 집에서는 죽어있는 개들의 시체만 여러 구 있었고, 집안에 있다는 남자는 보이지 않았다. 안방을 뒤지고 화장실에 갔더니 남자는 빨간 눈을 하고, 온 몸에 피투성이 인채로 팔뚝엔 개에게 물린 자국이 있었다. 급하게 병원으로 옮기면서 산소호흡기를 대고 심폐술을 했지만 죽어버리고 말았다. 그후 화양 시에서는 빨간 눈의 환자들이 나오기 시작하는데 모두들 핏물처럼 배어든 눈을 하고 죽었다. 처음 환자들은 개에게 물린 50대 남자 였고, 남자를 싣고 온 구급대원과 병원에서 남자 환자를 받았던 의사, 간호사들이 차례차례로 죽어가고, 급속도로 핏빛 눈을 한 환자들이 늘어갔다. 이들은 모두 40도가 넘는 고열과 호흡곤란, 폐출혈의 증세가 있었고, 며칠 내 사망에 이르는, 전염병이었다. 사람과 동물이 함께 걸리는 전염병이라는 '인수공통전염병'이라는 사실만 겨우 파악한데서 감염자와 사망자가 늘어가자 정부는 화양시를 봉쇄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28일 간의 혼돈이 시작되었다.

 

 

왜 사람이 죽어가는지, 어떻게 전염이 되는지 파악하지도 못한 상태에서 봉쇄되어 한 사람씩 죽어가는 사람들을 볼때 재난 영화에서 보았던 것처럼 막막하게 느껴졌다. 빠져나갈 구멍은 보이지 않고, 나는 이쪽에, 사랑하는 가족은 저쪽에 있는 상태였다. 정유정 작가는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시점을 1인칭이나 전지적 작가 시점을 쓰지 않았다. 작가의 목소리가 드러날 것을 염려해 6개의 시점으로 이야기를 이끌어 나간다. 5명의 사람과 하나의 개의 시점으로. 한 사람 씩의 시점으로 이어는 글들은 그 속에서 다른 사람과의 연결고리가 이어지고, 같은 사건을 두고서도 여러 사람의 생각을 읽을 수 있었다.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화자들을 보자면, 먼저 소방서 구조팀장인 기준과 현재는 수의사로 지내고 있으며, 과거엔 알래스카에서 개썰매 레이스인 아이디타로드에 한국인 최초로 참여했던 재형, '과연 수의사 인가, 개장수인가'라는 글로 신문에 게재해 재형을 물먹인 기자 윤주, 화양의료원의 간호사 수진, 자기를 괴롭히는 상사의 개의 혀를 잘라는 죽여 현역에서 전역하고 소방서에서 공익요원으로 일하고 있는 동해, 그리고 늑대개 '링고'가 그들이다.

 

 

화자들 속에서 늑대개 '링고'의 시점을 보면, 과연 영리한 개들은 이렇게 까지 할 수 있을까 싶다. 책 속에서 링고는 영화 '하울링'의 그 늑대개가 생각나기도 한다. 처음으로 자신의 마음에 들었던 암캐 스타를 위해 온 마음을 다 바치는 이야기가 그랬고, 스타를 죽인 남자를 향해 죽음을 무릅쓰고 끝까지 복수하려는 그 마음들이 참 인상적이었다. 사람이 아닌 개들도 자신이 사랑하는 이를 죽이면 이렇게도 변하는 것인가 싶었다. 링고는 스타라는 개를 좋아한다. 이 둘의 이름은 비틀즈의 멤버 '링고스타'의 이름을 따온 작가의 위트가 아니었을까.

 

윤주는 종종 궁금했다. 사람들은 왜 가만있지 않는지. 안전한 자기 집을 두고 감염의 위험과 무장 군인, 추위가 허기가 기다리는 광장에 모이는 진짜 이유가 뭔지. 이 방에 홀로 남은 지금에야 그녀는 답을 알 것도 같았다. 그들은 '누군가'를 향해 모이는 것이었다. 자신이 아직 살아 있다는 걸 확인시켜줄 누군가, 시선을 맞대고 앉아 함께 두려워하고 분노하고 뭔가를 나눠 먹을 수 있는 누군가, 시시각각 조여드는 죽음의 손을 잊게 해줄 누군가를 만나고자 그곳으로 달려가는 것이었다.  (404 페이지)

 

작가는 『7년의 밤』에서의 오영제 처럼 동해를 '악의 축'으로 만들었다.

화양의료원의 감염내과 과장으로 근무하고 있는 아버지는 잘난 큰아들과 재능있는 막내 딸 사이에서 특별하지 않는 동해를 '내세울 수 없는 자식' ,'숨기고 싶은 자식'이었다. 동해가 애정결핍으로 자신을 보아달라는 강력한 외침으로 말썽을 부리면 지하실에 가두거나 해 마음속으로부터 분노하게 만들었다. 그 분노가 죄 없는 개를 죽이는 것 부터 시작해서, 자신의 친부모를, 자기를 방해했다는 이유로 다른 사람들까지 화형에 처하겠다는 정신적으로 피폐한 괴물로 변해가는 인물이었다. 동해를 보며 요즘 부모들의 세태, 잘하고 있는데도 더 잘하기를 바라고, 최고가 아니면 안된다는 부모들에게 각성하라는 일침을 주기도 한다. 아이들의 자신을 보아달라는 구애의 눈빛을 잘 살펴야 되지 않을까. 

 

 

 

사람을 끌어당기는 마력을 지닌 작가, 정유정은 상당히 냉정하다.

6개의 시선으로 내용을 이끌어가는 화자들을 결코 다 살려두지 않는다. 아무리 인수공통전염병 이라고 하지만, 부분의 책에서는 화자들을 살려두고 희망적인 메세지를 전한다. 하지만 정유정 작가는 이들은 가차없이 죽이고 있었다. 그들의 눈이 핏물이 배어든 전염병으로 죽어가는 게 아니라, 사랑하는 이를 죽였다는 것으로 복수를 당하기도 하고, 다른 이유로 냉정하게 죽이고 있었다. 더 이상 희망을 갖지 말라는 듯이.

 

 

프롤로그에서 재형이 '살고 싶어서' 쉬차의 줄을 끊었을때처럼, 살기 위해서 개들을 떼로 죽일수 있는게 인간이 아니던가. 핏빛 죽음이 있는 곳에서 있는 사람들은 무언가를 해결하는 사람들이 아니다. 결국에는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았다. '살려 주세요'하는 사람들의 외침, 모조리 살처분을 당할때 개들의 '살려주세요' 하는 그들의 외침이 메아리가 되어 들려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