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노비들, 천하지만 특별한
김종성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기본적으로 책이나 드라마에서 익히 봐왔던 것은 조선의 왕들이나 양반들이었다.

드라마에서도 노비들이 주인공인 경우는 없었고, 왕이나 양반들 위주였다. 주인공인 양반이 나오고 그를 보필하는 하인들이 한두 명 나오는 경우를 많이 보았다. 조선의 주인은 왕이나 양반들이라고 생각을 했었다. 우리가 책을 봐도 양반들, 학자들의 책이 더 많았었다. 이번에 나온 책은 조선의 노비에 대해서 말하는 책이었다. 사실 나라를 이끌어가는 사람들은 노비들이 아닌가 할 정도로 그들의 역할이 컸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조선의 노비들을 조선에서 없어서는 안될 조선의 서민들이라고 말하고 있었다.  

 

 

양반들은 노비를 하나의 물건을 취급을 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자식을 낳아도 재산 가치로 여겼다는 걸 알 수 있었다. 노비와 양인의 결합을 반대했고, 종모법에 따라 어미가 노비이면 그의 자식들도 다 노비일 뿐만 아니라 노비주의 재산이었다는 걸. 또한 여자 노비가 양반과 사랑에라도 빠지면 자신의 재산 가치가 없어지기 때문에 노비주가 반대했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저자는 사료 속에서만 있었던 노비의 이야기들을 열여덟 명의 노비의 이야기로 우리들에게 노비들의 삶, 직업, 조선의 30퍼센트가 노비였다는 조선의 노비 제도에 대해서 말하고 있었다. 노비는 주인 집에서 기거하며 집안 일을 했던 솔거노비와 노비주의 집 밖에서 생활하는 외거노비로 나누고 있었다. 외거노비 같은 경우, 농업과 상업을 주로 담당했는데 굉장히 재산을 많이 형성한 노비도 있었다 한다. 나라에 기근이 발생했을때 몇천 석의 식량을 대기도 했고, 많은 재산으로 양인 신분을 받기도 했으며, 재산으로 인해 조선에서 제일 미인인 관기도 차지할 수 있었다고 했다.

 

 

오늘 날 우리가 생계를 위해 직업을 가지듯, 옛날 사람들도 일자리를 위해 일부러 노비가 되어 남의 땅을 경작했다고 한다. 자유로운 신분의 양인들이 생계 유지를 위해 노비가 되는 사람들도 적잖았다고 하니 그 때에도 가족들이 먹고 살기에는 직업을 가졌어야만 했다. 채무 불이행으로 고리대에 의한 파산으로 노비가 된 이들도 있었고, 많은 지주들이 노동력 확보를 위해 고리대로 노비를 만들었다고 한다. 노비를 필요로 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고리대를 통한 노비 전락을 용인 했던 것이다. (69페이지)

 

 

이 글을 내놓는 것은 바로 그런 인식 때문이다. 노비에 대한 전면적 분석을 통해 노비의 모습을 올바로 구현하고, 나아가 옛날 서민의 참모습을 좀더 명확히 복원하는 것이 이 글의 목표다.  (8페이지, 글을 시작하며 

 

 

노비 신분을 가진 이들은 주인이 죽여도 제대로 하소연 하지 못했다.

그들이 노비 신분이라는 이유로, 질투에 눈이 먼 노비주의 안주인에게 손가락이 잘리고, 사람을 때려 죽지 않는 노비를 땅에 묻어버리는 경우를 보면, 노비가 얼마나 사람취급을 받지 못했는지 알수 있다. 이런 노비주가 있는 반면에, 자신의 친아들보다 영특한 노비에게, 노비 신분으로는 재주를 살릴 수 없다고 판단한 재상이 부자인 이에게 양자로 보내, 신분세탁을 통해 공부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 주인도 있었다.

 

 

노비제도가  소각된다면 조선왕조도 소각될 수 밖에 없다는 이유로 농민군이 새로운 세상을 열고자 했던 동학혁명이 일어났다. 조선왕조 최대의 민중반란인 동학혁명이 일어난 후로 노비제도가 바로 없어진 게 아닌 갑오경장 이 일어남에 따라 조선의 노비제도는 최종적으로 종말을 하게 되었다고 설명하고 있었다.

 

 

그 뒤로도 일부의 노비들은 주인의 곁을 떠나지 않고 지켰다 하지만, 사실상 폐지되었다. 조선이라는 나라를 뒷받침했던, 그들의 삶과, 직업, 사랑, 그들의 의무와 사회적 지위 등을 알아보며 조선 서민들의 삶을 알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