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세 걸음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00
모옌 지음, 임홍빈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도 역시나 10월에, 노벨문학상 발표를 하는 세계 뉴스에 귀기울였지만, 역시 내가 기대하던 분이 안되고 중국의 작가 모옌에게 돌아갔다. '글로만 뜻을 표할 뿐 입을 말하지 않는다'라는 뜻을 가진 '모옌'이라는 필명을 가진 작가이다. 나는 이 작가가 생소했지만 예전에 보았던 장예모 감독의 '붉은 수수밭'이라는 영화의 원작자였다는 사실도 새롭게 알았다. 그 책을 읽지 않고 영화로만 봤지만, 중국의 역사를 조금 알게된 작품이었다. 생소했던 작가 모옌이 노벨문학상을 탔고 그의 작품을 읽어보지 못한 나는 그가 말하고자 하는 문학의 정수를 느끼고 싶었다.

 

 

처음 읽어본 모옌의 책은 독특했다. 이 작품의 번역가가 해설에서 말하기를 그의 작품은 중국 역사와 현실을 배경으로 역사의 환상, 현실과 상상을 결합시킨 기이하고 황당하고 신기한 이야기를 끊임없이 늘어놓는다고 말하고 있었다. 딱 들어맞는 말이었다. 

 

 

이 책의 줄거리를 보자면, 중국의 8중학교에 다니는 물리교사가 수업을 하다가 갑자기 발작을 하며 죽었다. 어이없이 죽은 그를 보며, 열악하게 살고 있는 교사들의 모습을 보이고 있었고, 교사들의 생활 개선을 위한 취지로 들고 일어나기로 했었다. 그런데 그가 죽은게 아니었단다. 갑자기 눈을 떠 죽은 줄 알았던 사람들에게 놀라움을 주고, 찾아간 아내에게는 귀신이라며 내쫓김을 당했다. 갈데가 없는 그는 할 수 없이 맞닿은 옆집, 장례미용사이며 같은 물리교사인 장츠추의 아내인 리위찬에게로 간다. 리위찬은 남편인 장츠추와 팡푸구이의 외모가 닮았다는 걸 알고 간단한 시술을 통해 팡푸구이를 장츠추인양 같은 옷을 입혀 중학교 물리교사로 보내고 남편인 장츠추에게는 100위안을 주면 돈을 벌어오라고 한다.

 

 

 

 

 

어떻게 보면 간단한 줄거리지만 600페이지가 다 되는 책의 내용은 우리를 조금 혼란스럽게 만든다. 죽은자가 다시 살아나고, 장례미용사의 작업대에 누워있는 시체와의 관계된 이로 하여금 끊임없이 과거로 우리를 안내하고, 과거속에서 리위찬이 만났던 사람 왕부시장을 추억하는 일이다. 또한 젊었을때 아름다웠던 엄마와의 관계에서부터 동물원 사육사와의 관계까지 그 연결고리들이 끊임없이 이어진다. 장례미용사인 리위찬과 리위찬의 남편이자 중학교 물리교사인 장츠추와 죽었다 살아난 물리교사 팡푸구이, 팡푸구이의 아내인 투샤오잉의 이야기를 우리에게 말하고 있다. 투샤오잉은 하얀 피부를 가진 러시아인으로 러시아과를 졸업한 재원이었지만 당의 결정에 따라 중학교의 토끼통조림 공장에서 토끼 가죽을 벗기는 일을 하고 있다. 각자의 이야기를 과거속에 자신이 꿈꿔왔던 일들을 환상적으로, 마치 현실이 아닌것처럼 말하는 소설이었다. 한바탕 꿈꾸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책은 한 걸음 부터 열세 걸음까지의 챕터로 되어있다.

나는 한 걸음부터 읽을때 왜 제목이 『열세 걸음』인지 의문스러웠었다.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무언인가. 쇠우리에서 끊임없이 분필가루를 씹어먹는 서술자가가 '나'로 '너'로, 다시 '너'와 '나'로 나오면서 우리에게 예전의 일을 알려주기도 하는 듯, 또한 직접 말하는 듯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왜 제목이 『열세 걸음』인지 책의 중후반부에 갔을때에야 우리에게 알려주었다. 러시아의 아주 오래된 아름다운 전설을. 참새는 원래 두 발을 모아 종종 뛰는 짐승인데 병아리처럼 한 발, 한 발 걷는 걸 본 사람이 있다며 한 걸음부터 열두 걸음까지는 천운을 주지만, 열세 걸음을 걷는 걸 보는 순간 열두 걸음의 모든 천운이 악운이 되어버린다는 러시아의 민담을 이야기로 풀어낸 것이다. 때론 아주 현실적이며 때론 아주 환상적인 소설로 나타냈다.

 

 

작가는 중국 역사와 현실을 이처럼 환상적으로 풀어내는 작가였다.

어쩌면 황당하게까지 느껴지긴 했으나 작가는 책 속에서 중국의 현실을 알려주고 있었다. 실제 중국의 교사들이 이처럼 열악한 생활을 하고 있다고 한다. 억압받는 중국인들에게 뭔가 한줄기 바람을 안겨주고 싶어서인지 억압받는 현실을 탈피하고자 사람들의 끊임없이 욕망하는 하는 주인공을 나타내는 글을 써낸 것 같다.

 

 

이 한 권으로 모옌의 문학을 안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그가 말하고자 하는 문학의 개성을 강하게 느꼈다. 독특하면서도 환상적인 문학을 써내는 작가 모옌의 개성이 나타나 있는 글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