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에겐 일생에 한 번 냉정해야 할 순간이 온다
한상복 지음 / 예담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화책이나 로맨스 소설에서 사랑의 완성은 결혼이다.

험난한 과정을 거쳐 사랑을 해 오지만 '왕자와 공주는 행복하게 살았습니다.'로 거의 끝나게 된다. 만약에 두 사람이 헤어지기라도 할라치면 책을 읽고나서도 조금 불편한 감정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그건 로맨스 소설이나 동화속에서의 일일 뿐이고, 실제의 사랑은, 결혼은 새로운 시작이다. 성격이 전혀 다른 타인과 타인이 만나 하나 됨을 만들어 가는 것, 그 과정에서 지지고 볶으며 살아갈 것이다. 요즘같으면 깨진 결혼생활도 많을 것이고. 

 

 

결혼한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결혼을 앞두고 '내가 이 결혼을 과연 잘하는 것일까?' 라는 생각을 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만큼 새로운 사람과 생활을 같이 하며, 성격을 맞추어 간다는 것이 힘든 일이다. 결혼을 준비하면서 싸우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그렇게 맞춰가기에 시간이 걸린다는 이야기다. 내가 자주 하는 말이, 서로 한 발짝만 떨어져서 생각하고, 서로 조금씩만 배려하라는 이야기이다. 그렇게 조금만 양보하면 싸울 일도 별로 없을 것이란 생각이 들기 때문. 배우자간에, 연인 간에 서로 싸우게 되는 이유가 내 욕심을 더 채우기 위해, 상대방 보다는 나를 더 챙겨달라는 아우성이지 않는가. 그걸 몰라주기 때문에 싸우는 것이고, 헤어진다느니 하는 말도 하는 것이다.

 

 

이 책은 내가 아이들에게 세트로 사주었던 어린이 자기계발동화 시리즈 중 『배려』의 저자 한상복이 결혼을 앞둔 이들에게, 누군가를 연인으로 두고 있는 이들에게 들려주는 '또다른 배려' 알려주는 글이다.

 

 

건강한 거리 두기는 적당히 물러섬으로써 먼저 자신을 지켜낼 수 있다.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과 적절한 거리를 유지할 때, '상대에게 거는 기대'를 줄여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기대한다는 것은 곧 '상처받을 준비'를 하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111페이지)

 

 

위의 저자가 들려주는 말처럼, 나도 많은 사람들에게 '거리 두기'를 하라고 말하고 싶다.

부부지간에도, 동성이나 이성 친구들과의 사이에도 너무 가까우면 가까운 만큼 상처받고 아파하는 걸 보았다. 오히려 가까운 관계에서 아예 말도 하지 않는 사이로 변해버리기도 하더라. 아무리 사랑한 사이라도 적정한 선을 지켜주는 것이 곧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아닐련지.

 

 

좋은 사랑은,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게 무엇인지'를 아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나를 돌아보고 나를 발견해야 나의 일상 속에서 나의 만족을 찾아낼 수 있는 것이다. 그게 '나와의 좋은 관계'를 맺는 출발점이다.  (199페이지 중에서)

 

 

우리는 사람과의 사이에서 수많은 관계를 맺으며 살아오고 있다.

서로 사랑에 빠지는 순간, 헤어지기 싫어 밤까지도 같이 하고 싶어 결혼을 생각하는 이들. 서로에게 사랑의 설렘을 잊어버리고 조금씩 소홀히 대할때 여자를 몰라서 토라지게 하기도 하고, 남자의 마음의 몰라주고 섭섭해 하기도 하는 사람들에게 콕콕 찝어서 이야기를 해주고 있었다. 너무 많은 것을 기대하는 여자, 너무 무심한 남자에게도 더운날의 한줄기 단비같은 조언을 건네고 있었다.

 

 

누군가를 연인으로 두고 있는 이들, 사랑이 어느 정도 무르익어 결혼을 생각하는 이들이 읽으면 더 좋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