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삶을 바꾸는 책 읽기 - 세상 모든 책을 삶의 재료로 쓰는 법
정혜윤 지음 / 민음사 / 2012년 6월
평점 :
어딘가를 다닐때 항상 책을 끼고 다닌다.
읽을 책이 없으면 과자 봉지에 써진 성분 함량표라도 읽어야 하는 나는 어쩌면 활자중독인줄도 모른다. 마치 숨을 쉬듯 그렇게 책을 읽는 것 같다. 언젠가 자격증 공부할때, 자격증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 공부해야 하는 와중에도 나는 책을 읽지 못하는 것이 스트레스였다. 하루에 단 몇 페이지라도 읽어야 하는데 그걸 읽지 못하니 공부가 손에 잡히질 않는 것이었다. 그래서 결국엔 떨어졌다. 책 때문에. 책을 못 읽는 스트레스가 너무 심해서. 그만큼 책에 대한 애착을 갖고 있는 내게 책을 설명하는, 책에 대해서 말하는 책을 발견하면 나는 색연필로 줄을 긋거나 열심히 포스트잇을 붙이고 있다. 맞아맞아 하며 공감하고, 책에서 말하는 책 속의 책들을 열심히 메모한다. 그중에는 읽은 책도 있고, 전부터 읽고 싶었지만 놓쳤던 책들을 리스트에 넣어두는 것이다. 그래서 내 리스트는 항상 쌓여간다. 어떤 책을 읽을때마다 책속에서 주인공이 읽는 책들이 그렇게 쌓여가고 있다.
책을 읽고 간단하게 느낌을 쓰는 리뷰어가 된지 몇년 되었다.
블로그를 하며 이웃분들의 리뷰에서 정혜윤 님의 책을 자주 발견했었다. 그동안 읽고 싶구나, 읽고 싶은 내용이구나 하고 지나치기만 했었다. 그러다가 이렇게 정혜윤 님의 책을 읽고나니 리뷰어들이 왜 그토록 좋아하는지 이제는 알겠다. 일단 저자에게서 책에 대한 애정이 깊은 걸 발견할 수 있었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만이 느끼는 그런 감정들을 고스란히 책에서 느낄수 있기 때문에 많은 부분을 공감하게 되는 능력을 지녔다. 저자도 책에서 말했지만 책 좋아하는 사람은 누군가를 만나면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너무도 좋은 사이가 되어 버린다. 토요일의 신문은 책 관련 지면을 할애하기 때문에 나는 토요일 신문을 기다린다. 평일의 신문에서 작가의 인터뷰라도 있으면 바쁜 아침에도 꼭꼭 챙겨읽는다. 누군가가 읽고 있는 책의 제목을 알기 위해 고개를 이리 기웃 저리 기웃하고, 어떨때는 처음 본 사람에게 책 제목을 물어보기까지 한다. 그리고 내가 읽은 책을 누군가가 읽으면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특히 좋았던 책이라면 책 이야기를 건네고 싶게 만든다. 그러한 감정들이 서로 통하게 만드는 작가인 것 같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사랑해마지 않는 저자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책은 우리에게 대놓고 무엇을 가르쳐 주는 것도, 위로하는 것도 아닙니다. 다만 책은 자꾸 자신을 만나게 합니다. 돌아보게 합니다. 이 돌아봄의 의미는 큽니다. (100페이지 중에서)
책을 읽는 것이 좋다.
책을 읽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좋다. 책을 많이 읽고 좋아하는 사람이 우리에게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책을 소개하는 이런 책이 있어서 참 좋다. 저자가 만났던 감동적인 책들을 우리가 다시 알게 되어서 좋다. 책 읽는 일이 이토록 즐거운 일이며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만든다는 것을 알아가는 것도 좋다. 다른 이의 삶을 읽으며 내 삶을 뒤돌아 볼 수 있는 일이 즐겁다. 책을 왜 읽어야 하는지 여덟가지 질문에 대한 명쾌한 답을 내주는 저자의 글들이 참 따스하다. 마지막 장의 '책속의 책들'의 목록에서 나는 내가 읽고 싶은 책들에게 열심히 밑줄을 그었다. 저자가 말하는 책들을 다 찾아서 읽어보고 싶다. 이제 내게는 새로운 리스트가 생겼다. '삶을 바꾸는 책 리스트'가 내게 새로이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