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만나는 민주주의 역사
로저 오스본 지음, 최완규 옮김 / 시공사 / 2012년 6월
평점 :
절판


민주주의 국가에서 살고 있는 우리는 과연 민주주의에 대해서 얼마나 알까.

여태 진지하게 생각해보지 않은것 같다. 그저 당연하게 받아 들였다. 가장 가까운 북한이나 중국을 볼때도 민주주의가 아니니 그렇구나 그렇게만 생각해왔던 것 같다. 이번 책 『처음 만나는 민주주의 역사』를 읽으며 우리 민주주의가 어떻게 생겨났고 발전해 왔는지 알게 되었다. 수많은 전쟁과 그들의 싸움이 있었기에 오늘의 민주주의가 있지 않나 생각해본다.

 

 

저자 로스 오스본은 이 책을 쓴 목적을 민주주의에 대해 확실하게 매듭을 짓거나 아예 밀쳐두자는 것이 아니라며 민주주의와 우리 사회의 통치 방식에 대해 고민할 때 양분을 제공해 줄 만한 역사적 밑거름을 제공하자는 것이라 했다.

 

 

아테네를 가리켜 최초의 고대 민주주의 사회였다고 말한다. 자신들의 의사를 제대로 정리해 표현하고 실천에 옮기기 위해 민회를 뒷받침하는 갖가지 제도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한다. 그런 아테네를 비롯해 유럽의 영국과 프랑스, 아시아의 인도와 중국, 아프리카 등을 포함해 각각의 민주주의 역사를 말한다. 최근의 중국에 이르기까지 민주주의가 뿌리내리기 위해 어떠한 일들이 있었는지 설명해주고 있다. 우리가 실제로 느끼는 민주주의는 어떤 것인가. 우리는 민주주의를 제대로 누리고 있는가

 

 

민주주의를 논할때 다른 어떤 문화적 습성 보다 중요한 것은 부유층과 줄곧 권력의 지렛대를 틀어 쥐게 해주는 뿌리 깊은 사회 구조이다. (258페이지 중에서) 

 

정치는 떼려야 뗄 수 없는 문화의 일부다. 거의 모든 신생 독립국 들이 낯선 시대와 장소에서 만들어진 이질적인 정치 문화를 짊어지고 고달픈 생존 투쟁을 시작한 이유다. (435페이지 중에서)

 

수많은 나라가 민주주의를 받아들였지만, 정부가 민주주의의 기본 요소들을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이제 한 나라의 정치 체제가 민주주의 인가 여부가 아니라 얼마나 민주적이냐가 중요한 잣대가 되었다.  (485페이지 중에서)

 

 

민주주의의 나라에서 살고 있는 우리. 

한때 일본의 식민지 였고, 같은 민족인 사람들을 죽여가며 북한과 전쟁을 치룬 이유도 다시 찾은 우리나라,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싶어서 그러지 않았나. 윗 글에서처럼 더 나은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우리 국민이 끊임없이 정부와 싸우는 이유 또한 민주적으로 정치하길 바라는 염원이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말미에 민주주의의 두가지 진리를 말한다. 첫째, 민주주의는 생존을 위해서라도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대에 대한 적응력을 길러야 하고, 신생 민주주의 국가들은 살아남기 위해 부당한 간섭을 뿌리치고 독자적인 구조와 관행을 도출해내야 한다. 둘째, 민주주의를 포기하면 우리의 삶은 처절하게 위축된다고 했다. 아울러 민주주의는 '달성되는 것'이 아니라 늘 '현재 진행형'일 수 밖에 없다고도 한다. 우리가 그토록 지키고자 했던 민주주의. 우리는 그 사실을 잊지 말아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