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비의 기술 1 NFF (New Face of Fiction)
채드 하바크 지음 / 시공사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내게 야구란 나와는 먼 스포츠다.

제대로 본 적은 올림픽 국가 대항전 할 때였다. 야구에 대해서 잘 알지도 못하는 나는 애국심의 발로에서 오로지 우리 나라를 응원한다는 명목하에 야구 경기를 TV로 관람했다. 솔직히 말하면 스트라이크와 볼을 구분할 줄도 모른다. 그 차이가 뭐냐고 물어본 것도 작년쯤이나 될까. 스트라이크는 배트를 휘두를수 있는 위치에 있는 공을 못쳤을때 나는 거고, 볼은 볼을 칠수 없는 위치에 있는 걸 말한다는 것. 그런데 TV의 경기를 봐도 나는 잘 모르겠다. 1회초부터 9회말까지 제대로 본적도 한 번도 없는 것 같다. 지루한 스포츠. 그 시간에 책을 읽고 말지 하는 생각이 더 강한 사람이다. 올림픽에서 우리나라가 우승을 하고 야구 붐이 일어난 것 같다. 주변에 있는 여자 친구들도 야구장에 꽤 가는 걸 알았다. 우리 가족은 한 번도 가본 적이 없을 정도다. 다른 집도 그런 줄 알았더니 야구 경기만 있으면 경기장에 간다는 사람들이 많았다. 내게 책에서의 펠라처럼 지루하기만 한 스포츠인 야구. 『수비의 기술』을 읽으면 야구에 해서 지식이 쑥쑥 올라갈 수 있을까?

 

 

서로의 영혼을 채워주는 청춘들의 우정과 야구에 대한 이야기이다.

 

마이크 슈워츠, 웨스티시 대학교 1학년. 풋볼 선수이자 야구부의 포수인 그는 어느 날 세상이 천재라고 입을 모을 고유하고 빼어난 재능이 있는 시골뜨기 헨리를 만난다. 대학에 진학을 안한다는 그를 슈워츠는 그의 모든 재능을 눈여겨 보겠금 만들어 웨스티시 대학교에 입학하게 만들어준다. 그의 허약한 체격을 강하게 만드는 단련을 시키며 그의 전담 체력단련겸 야구 코칭 스태프가 된다. 그가 바랬던 바처럼 그는 한 번의 실책이 없는 유격수를 만들어낸다.

 

 

헨리 스크림섄더, 왜소한 몸을 하고 있는 그는 마이크 슈워츠의 노력으로 웨스티시 대학교에 들어와 룸메이트인 오웬 던을 만난다. 그가 가져온 유일한 책, 아파리치오 로드리게스의 『수비의 기술』은 너덜너덜하다. 새벽부터 토가 나올 정도로 운동하는 헨리는 점점 체격이 좋아지고 있다. 야구부에서 또한 유격수 자리에서 실책하나 없는 실적을 거두고 있다. 에이전트에서는 그를 스카웃하기 위해 눈여겨보고 있다. 자신의 찬란한 미래가 보이는 듯 하다.

 

 

오웬 던, 마리아 웨스티시 상 수상자로 장학금의 수혜자. 혼자 지내려고 했지만 어펜라이트 총장의 간곡한 부탁으로 룸메이트를 맞아들이게 되는데 그가 바로 야구의 천재라는 헨리였다. 오웬은 동성애자 물라토(백인과 흑인의 혼혈 인종)였다. 역시 야구를 하며, 책을 너무나도 좋아한다.

 

 

펠라 어펜라이트, 예일대학에 합격증을 받아 놓고 있었으니 고등학교를 졸업하기도 전에 삼십대의 교사 데이비드와 눈이 맞아 너무 일찍 결혼을 하고, 삶의 실패를 한 듯 보이는 그녀는 아버지가 총장으로 있는 웨스티시로 돌아오게 된다.

 

 

그리고 나이 육 십에 진정한 사랑을 만난 거트 어펜라이트 총장이 있다. 마치 첫사랑에 빠진 소녀처럼 설레고 떨림이 이는 사랑을 만났다. 

 

 

이들 다섯 명의 사랑, 열정, 희망, 절망, 상처, 성장, 좌절, 우정 등 모든 삶이 담겨져 있다.

야구 소설인 듯 하면서 또한 캠퍼스 소설인 듯도 하다. 또한 남자들의 진한 우정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들은 청춘이라는 배에 올라 탄 선원들의 모습 같기도 하다. 모든 화려한 삶과 화려한 미래가 펼쳐진 듯 하지만 청춘들의 삶은 어느 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지기도 한다. 헨리가 잘못된 송구로 오웬의 머리를 맞췄던 것처럼. 삶의 모습은 알수가 없는 것이다. 단 한 점의 실책도 내지 않아 아파리치오 로드리게스의 실적과 같아지지만 한 번의 실수로 그는 점점 자신의 마음을 통제하지 못하며 실책의 늪으로 빠져든다. 헨리의 모든 실적이 자신의 기쁨인양 느껴졌던 마이크도 왠지 어찌할 바를 모른다.

 

 

인생에서 아무것도 새로운 것이 나타나지 않기를 바랐다. 그는 오직 지금 손에 쥔 것에 매달리고 싶었다. 그 소망은 고통스러울 정도였다. 사는 동안 인생에서 스쳐 지나간 모든 것이 가슴을 저몄다.  (1권, 399페이지 중에서)

 

 

영혼이란 사람이 처음부터 지니고 태어나는 게 아니라, 노력과 실수, 학습과 사랑을 통해 만들어가야만 하는 것이라고. 당신은 그 일, 영혼을 만드는 일을 최고의 헌신으로 해내셨어요. 당신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당신을 아는 사람들을 위해서요. (2권, 418~419페이지 중에서)

 

 

청춘들은 어른이 되어가는 성장통을 겪는다.

헨리가 슈워츠에게 의지하고 속해 있다가 스스로 일어서는 모습들은 격렬한 성장통을 겪어야만 홀로 일어설 수 있는 진정한 자신이 되는 것 처럼. 저마다의 상처와 고민들을 서로의 영혼을 채워주는 이들이 있었기에 그들은 성큼 성장할 수 있었다. 아무 말하지 않아도 서로에게 위로가 되는 사람들. 그들의 우정과 사랑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며 나는 가슴이 뭉클해졌다. 야구와 캠퍼스, 그리고 남자들의 우정을 다룬 『수비의 기술』은 아주 오래전에 읽었던 에릭 시걸의 『닥터스』를 닮았다. 청춘들의 이야기를 읽으며 그 시절로 돌아가고 싶은 염원이 생기기도 했다. 그 시절의 풋풋한 느낌들, 지나고 나면 아무것도 아닌것 같은 처절한 고민들까지도 이제는 그립기만 한 추억이 되었다. 아픈 성장통이 있었기에, 곁에서 지켜봐주는 이들이 있었기에 오늘의 우리가 있는 것처럼. 그들도 한 뼘 더 성장해 있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