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려움에게 인사하는 법 - 제5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ㅣ 창비청소년문학 43
김이윤 지음 / 창비 / 2012년 3월
평점 :
우리에게 익숙한 일, 늘 해왔던 일을 당연시하고 새로운 일을 해야할때 순간 멈칫하게 된다.
내가 이 일을 할 수 있을까. 내가 잘 헤쳐나갈수 있을까. 해보지 않는 일에 대한 두려움, 일을 시작하기도 전에 두려움때문에 지레 포기하는 일도 많다. 이렇게 되면 자꾸 뒤쳐지고 마음도 다치게 된다. 새로운 일에 대한 두려움에 과감하게 맞서는 우리. 그런 사람들만이 자신의 삶도 잘 가꾸어나가지 않을까. 두려움에게 인사하는 법을 배우게 되는 여여 군을 만났다.
열여덟 살의 여여 군.
어느 날 엄마가 암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목욕탕에서 할머니들의 주름투성이 몸을 사진으로 찍고 있었던 엄마. 그런 엄마가 불치의 병이라고 했다. 엄마는 요양하기 위해 시골로 내려갔고 여여 혼자 떨어져 학교를 다니고 있다. 대학가면 드러머가 되고 싶은 여여. 문화센터 드럼반에서 3학년 선배 시리우스도 만났다. 그들과 이별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사랑하는 엄마를 잃게 될지 모른다는 두려움. 엄마가 했던 그런 잔소리들이 그립다. 친구 세미 엄마의 극성까지도 부럽기만 하다.
인생은 외발자전거 타기와 같다.
엄마는 아빠가 누군지 알려주지 않았다.
아빠에 대해 질문하지만 아빠를 사랑해서 여여를 낳았다고만 했다. 엄마가 얼마 살지 모른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아빠를 찾고 싶다. 청소년 경제 강좌 중 아빠의 이름이 찍힌 강사를 보고 아빠의 강의를 듣는다. 아빠는 강의실에서 '인생은 외발자전거 타기와 같다'는 말을 하며 삶은 외발자전거처럼 앞으로 갈수도 있고 뒤로 갈수도 있는 외발자전거처럼 우리의 삶도 후퇴와 추락도 성장의 한 부분임을 말한다. 아빠를 멘토로 삼고, 자기가 존재하는 것 조차 모르는 아빠에게 자기가 딸이라는 사실을 마음속으로만 말을 하고 아빠의 곁을 맴돈다. 아빠가 알아주기를 바라지만 어디 그게 쉬운일인가.
여여 엄마의 말처럼 언젠가 인간은 죽는다. 그러니 조금 앞서 갈뿐 그것에 대해 슬퍼하지 말라고 한다. 여여의 말처럼 언젠가는 죽는데 외할머니가 엄마의 나이 스물다섯 살까지 살았던것처럼 엄마에게도 여여의 나이 스물다섯 살까지 살아주었음 하는 것은 욕심일까. 내가 부모가 되고, 또한 부모가 아직 살아계시는 입장에서 부모님이 좀더 오래 사셨으면 바란다. 그냥 우리에게 아무것도 못해주시더라도 그냥 살아만 계신 것도 삶에 얼마나 의지가 되는지 최근에야 알겠다. 그래서 여여의 그 마음이 안쓰러웠다. 엄마와의 이별, 모든 사람은 부모님과 이별해야 한다. 언젠가는.
세상에 홀로 남는 외로움과 두려움. 그 두려움에 관한 이야기를 담았다. 아직 열여덟 살의 여여에게 엄마와의 이별은 더할수 없는 큰 상처로 남지만 그래도 꿋꿋하게 두려움에 맞서는 여여를 볼 수 있었다.
작가는 제목 ‘두려움에게 인사하는 법’을 프랑스 시인 랭보의 시구 “그 일이 지나갔다. 이제 나는 아름다움에게 인사하는 법을 알고 있다.”에서 따온 것이라 했다. 우리에게 다가오는 많은 일들에 두려움이 앞서지만 그 두려움을 과감하게 맞서는 방법을 여여에게 배웠다. 내가 하는 고민과 그에 대한 두려움을 '이 또한 지나가리라' 는 말을 생각하며 나도 행복해지는 연습을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