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문장의 두려움을 없애라 - 당신을 위한 글쓰기 레시피
김민영 지음 / 청림출판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한때 글 쓰는 사람이 되고 싶었다.

그래서 늘 글에 대한 목마름이 있었다. 글 실력하고는 상관없는 목마름.

책을 읽고서 몇 년이 지난 뒤 그때 어떤 느낌을 받았더라 생각해보면 생각이 나지도 않아 한두 줄 느낌을 적던 게 지금에까지 이르렀다. 벌써 10년 정도 된 것 같다. 그럼에도 나의 리뷰 쓰기는 제자리 걸음. 늘 글 잘 쓰는 사람이 부러웠다. 블로그 상에서도 글 잘 쓰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 그들의 글을 보며 감탄했고 많이도 부러워했다. 내가 이 책을 읽는다고 해서 글 잘 쓰는 법은 없겠지만 그래도 꼭 한 번 읽어보고 싶었다.

 

책을 읽고 글쓰기 강좌나 첨삭을 보고 내가 쓴 리뷰를 봤더니 부끄러워 얼굴이 빨개져 버렸다. 왜그렇게 유치한 글을 썼는지. 주제는 없고 장황하게 내 감정만 늘어놓은 글이었다. 늘 그렇게 생각해왔지만 말이다. 이 책을 읽는다고 특별히 글쓰기 능력이 좋아지는건 아니겠지만 지금 보다는 났지 않을까.

 

시트콤 작가, 영화평론가를 거쳐 출판 기자로, 글쓰기 강좌를 하는 작가로 우리가 실생활에서 사용하기 쉽게 설명해주고 있었다. 블로그에서 서평이나 리뷰, 모임 후기를 쓸때 첫 문장의 중요함, 지루하지 않게 쓰는 법을 말해준다. 너무 잘 쓰려고 하지 말 것 강조한다. 저자가 말하는 몇가지 글쓰기 방법들을 소개해 보고자 한다. 

 

1. 사물을 바라보는 관찰력과 감수성을 기를 것.

2. 잘 읽기

3. 좋은 문장은 멀리 있는게 아닌 우리 삶 속에 있다는 걸 기억할 것.

4.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일 것.

5. 주위를 의식하지 않는 글쓰기를 할 것.

6. 가슴에서 솟구치는 글을 쓸 것.

7. 긴 문장을 배제하고 짧은 문장의 글을 쓸 것.

8. 인문, 사회, 경제, 과학등 다양한 분야의 독서를 통해 생각을 객관적이고 논리적으로 정리  하는 법을 배워야 할 것.

9. 메모를 잘 할 것.(영화 볼때나 여행할때도 메모를 하는 습관의 필요성)

10. 요약을 잘 할 것.

11. 고쳐 쓰기 습관을 기르자.

 

 

이렇게 메모해놓고 한번씩 들여다 보고자 남겨본다.   

 

위 8번에서처럼 다양한 분야의 독서를 하라는 대목을 읽을때는 문학 책만 편독하는 습관이 있는 나를 콕 찍어 말한듯 했다. 자기계발서는 거의 질색을 하는 편이고, 평소 문학 계통의 책만 읽는 나는 스스로도 감정적이라고 생각한다. 글을 쓰다보면 감정에 너무 앞서는 경우도 많아 내 성격이 원래 그런가 보다 했는데, 문학만 읽는 사람들은 감성이 풍부해 감정을 정리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하고 있었다. 다양한 독서를 강조하고 있었다. 첫 문장을 쓰고 나서, '잘 읽히도록' 고치는 습관의 중요함도 일깨운다.

 

나도 글을 잘 쓰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