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헤르만 헤세 지음, 전혜린 옮김 / 북하우스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데미안 #헤르만헤세 #북하우스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서너 번쯤 읽은 것 같다. 여러 번을 읽어도 이 작품을 확실히 이해했다고 보기 어렵다. 그럼에도 데미안작품을 만나면 읽어 보고 싶다. 특히 이번에 북하우스에서 나온 작품은 독문학자이자 독일문학 번역가인 전혜린 타계 60주기 기념 복원본이다. 외래어 표기와 맞춤법은 변경했으나 복원본이기에 60년대 특유의 어법은 남아 있는 상태였다. 그럼에도 유려한 문장, 유려한 번역이라는 걸 실감했다. 데미안은 처음 전혜린이 번역했을 당시 파격적일 정도로 많은 판매 부수를 기록했고, 오랫동안 독자들에게 사랑받은 책이다. 더욱 유명한 일화는 전혜린의 친구가 데미안을 빌려가 돌려받지 못하다가 마지막 순간까지 데미안을 읽고 있었다는 문장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데미안이 무슨 작품이기에 죽음의 마지막 순간까지 이 책을 붙잡고 있었나. 그 이유를 찾는 과정이 크다고 볼 수 있겠다. 나와 달리 다른 독자들은 데미안에 대하여 명쾌하게 말할 수 있나 궁금하다. 몇 번을 읽어도 머릿속에 부유하는 것들 때문에 제대로 읽었는지 자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데미안은 성장소설로 분류한다. 하지만 한창 성장하는 중, 고등학생들이 이 책을 이해할 수 있느냐가 문제일 것이다. 나 또한 아들이 중학생일 때 책을 추천해달라고 해서 데미안을 추천했었다. 누구나 한 번쯤 읽어 보는 소설이며, 읽으면 좋은 소설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끝까지 읽었는지 물어보지는 못했다. 다만 읽었으면 하고 바랐다. 이해를 했든 하지 못했든 삶에 대하여 고민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으면 하는 바람이었다.

 



소설은 헤르만 헤세가 에밀 싱클레어로 소설을 발표한 작품이다. 주인공 싱클레어가 데미안을 만난 후 삶의 변화를 이끄는 작품으로 어떤 삶을 살아야 할지, 제대로 방향을 잡을 수 없는 삶의 방황기에 서 있는 모습을 그린다. 신의 또 다른 이름 '아프락사스'에 관한 탐구가 이어지며 궁극적인 삶의 목표를 찾는 과정이 크다. 어린 소년은 살아가며, 누구를 만나느냐에 따라 삶이 달라진다. 종교적인 삶, 학구적인 삶, 정치적인 삶 같은 거 말이다. 궁극적인 삶은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하며 사는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자기가 원하는 삶보다 타인이 원하는 삶을 사는 경우가 있다. 마지못해 사는 삶이 행복하지는 않다. 자꾸 엇나가고 미끄러질지 모른다. 나를 붙잡아주는 사람 한 명만 있어도 그 손을 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싱클레어에게는 데미안이 그런 인물이었다. 과거 더 어렸던 소년 시절에 곤란을 겪고 있을 때 해결해준 사람이 데미안이었으며 종교와 삶의 기로에서 방황할 때 떠올린 것도 데미안이었다. 그가 거리에서 만난 소녀를 베아트리체라고 이름을 짓고, 밤마다 꿈을 꾸며 그 모습을 그린 후 들여다보았을 때 그림 속에 있는 인물은 데미안과 비슷했다. 데미안을 넘어서는 인물로 그를 새로운 삶으로 이끌어줄 인물이었다.

 



이마에 표지가 있는 사람은 서로를 알아보는 것 같다. 누군가를 떠올리고 그 마음을 전하고자 할 때, 마치 연락을 받은 사람처럼 나타난다고 가정해보라. 특별한 능력을 있는 자만이 느끼는 감정일 것이다. 데미안과 데미안의 어머니 그리고 싱클레어가 특별한 표지를 갖고 태어났다. 마주 보고 있지 않아도 서로의 감정이 전달된다. 만날 즈음이 되면 서로를 찾으며 어느 장소에서 스치듯 만나게 된다. 우연히, 마치 거짓말처럼, 눈앞에 나타난다.



 

매혹적인 소설이다. 삶의 고민, 삶의 방향과 기로에 서 어느 길로 갈지 판단할 수 없을 때 나에게 다가온 누군가의 말 한마디가 새로운 삶으로 이끌어줄 등대가 되는 것이다. 그가 원하는 방향대로 길을 가는 것보다, 삶의 본질적인 고민과 동시에 방향성을 갖게 된다. 살아가면서 두려움은 필연적이다. 어떤 길로 나서든 가지 않는 길에 대한 두려움과 아쉬움이 있다. 하지만 우리는 길을 향해 나서고, 가로막혀 있으면 뒤돌아 나오면 된다. 어떤 길로 가든 내가 선택한 길은 후회가 없다.

 



미래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을 이기고 걸어갈 수 있다. 아프락사스를 향해 탐구하고 나아갔던 싱클레어처럼 말이다.

 

 

#데미안 #헤르만헤세 #북하우스 ##책추천 #문학 #소설 #소설추천 #영미소설 #영미문학 #세계문학 #전혜린 #전혜린타계60주기기념복원본 #노벨문학상 #독일소설 #고전문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