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자은, 불꽃을 쫓다 설자은 시리즈 2
정세랑 지음 / 문학동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설자은불꽃을쫓다 #정세랑 #문학동네

 


시리즈를 계속 읽는다는 건 작품이 그만큼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시리즈를 이끌어가는 인물이 있기 마련이며, 독특함과 독보적인 캐릭터로 빛난다. 시선으로부터, 보건교사 안은영의 작가 정세랑은 새로운 캐릭터를 선보였다. 통일신라시대, 죽은 오빠를 대신해 당나라 유학길에 올랐다 돌아와 설자은이라는 이름으로 집사부 대사가 되어 왕의 매가 되는 인물이다. 돌아오는 배 안에서 만난 백제인 목인권을 식객으로 받아들이고 그와 함께 금성에서 일어난 사건을 해결한다. 설자은을 꿰뚫어 보는 왕의 시선을 비스듬히 피하여 왕을 받든다.



비록 설자은은 오빠의 이름으로 살지만, 사건을 바라볼 때 영민함과 명쾌함이 빛나고 상황을 그려볼 줄 아는 인물이다. 인권과는 서로의 부족함을 채워주는 관계에 가깝다. 설자은의 주변 인물들 또한 곁에서 묵묵히 바라보고 응원한다. 자은이 원하는 게 있으면 말없이 내어줄 줄 아는 도은 또한 중요한 인물이다. 한 집안의 가장인 호은 보다 오히려 가족을 이끌어가는 인물이다. 사건을 해결할 때 말없이 도우며 역할을 제대로 한다.





 



설자은, 금성으로 돌아오다가 당나라에서 돌아오며 왕의 매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다루었다면, 설자은, 불꽃을 쫓다는 본격적으로 사건을 파헤치며 집사부의 대사로서 왕의 진정한 매가 되는 과정을 다루었다. 왕이 보낸 이들로부터 칼을 다루는 방법을 배우고 왕을 위해 사람을 벨 수 있어야 했다.



 

이번 편은 세 가지의 에피소드로 되어있다. 지귀(불의 귀신)의 이야기를 통해 신라와 백제, 구려 출신들이 통일신라시대에 어떻게 대접받았는지를 보여주는 화마의 고삐를 비롯해 오래전 삼국유사에서 나왔던 이야기를 떠올리게 한 탑돌이의 밤은 소원을 빌며 탑을 돌았던 이야기 속에서 욕심과 질투로 빚어진 것을 말한다. 용왕의 아들들은 새로운 지역으로 이주를 명 받고 가솔들과 함께 움직이다 산적들의 공격을 받았던 내용을 듣고 심상치 않은 기운을 포착한다.

 



주인공을 아끼는 작가는 주인공이 따르고 싶었던 인물, 처음부터 좋았던 사람의 불경을 받아들이고 한번에 베었다. 무릇 왕의 매로서 할 일을 해야 했다. 설자은의 단단함이 돋보여야 했다. 이로써 역사를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이 빛을 발했다. 남장여자로서 왕의 부름을 받아야 했으며, 뒤따르는 악명을 받아들였고 진짜 설자은에 관한 진실을 산아에게 말할 수 있어야 했다. 비극적인 상황에서도 유머를 잃지 않은 인물들의 에피소드는 작가가 바라보는 따스하고 유머러스한 시선일 테다.

 



마치 드라마를 보듯 한 편, 한 편을 상상하게 된다. 목인권과 설자은의 활약을 지켜보는 재미가 크다. 만약 드라마로 만들어진다면 서늘한 얼굴을 가진, 비교적 남자처럼 보이는 배우가 설자은 역할을 했으면 싶다. 왕의 곁에서 남자처럼 행동하고 말하는 자은을 지켜보는 가까운 이들조차 숨죽이고 지켜보지 않을까. 자신의 매로 쓰는 왕의 서늘한 눈빛과 집요함 그리고 냉철함. 왕으로서 더한 것도 할 수 있겠지만 그는 설자은을 지켜볼 뿐이다. 통일신라시대만이 가진 매력이 빛나는 작품이다. 캐릭터 하나하나 버릴 게 없다. 산아의 마음을 얻기 위해 산아가 머문 집 앞에 앉아있는 진오룡의 행동 또한 어떻게 변하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 또한 즐거움이다.

 

 


#설자은불꽃을쫓다 #정세랑 #문학동네 ##책추천 #문학 #소설 #소설추천 #한국문학 #한국소설 #역사소설 #추리소설 #역사스릴러 #설자은 #설자은시리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