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말이 그 말이에요 - 오늘 하루를 든든하게 채워줄, 김제동의 밥과 사람 이야기
김제동 지음 / 나무의마음 / 2024년 3월
평점 :
#내말이그말이에요 #김제동 #나무의마음
잘 지내나요? 오랜만에 만났을 때 하는 말이다. 가장 평범하면서도 마음에 와닿는 말. 누군가 안부를 묻는 한마디에 위로를 느끼게 된다. 상대방과 대화할 때 공감의 표시로 '내 말이 그 말이야'라고 하는 것처럼. 마치 저자의 토크 콘서트 같은 에세이다. 임시 보호를 맡았던 반려동물 탄이와 살아가는 이야기에서 전국을 누비며 위로와 공감을 주는 에세이라고 할 수 있겠다. 방송가에서 볼 수 없는 그의 육성을 듣는 듯했다. 어른들보다는 청소년들에게 살아가는 이야기, 살아갈 이야기를 하고, 청소년들의 답변에서 살아갈 힘을 얻게 되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겠다.
반려동물과 살아가는 일은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일이다. 방송가에서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이들이 많다. 반려견은 고양이와는 또 다른 동물인 것 같다. 매일 산책을 시키는 일이 그 첫 번째다. 밖에 나가지 않으면 개도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하던데,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은 책임을 다하여야 한다. 강연을 다녀온 후 하루종일 기다렸을 탄이에 대한 애틋한 마음뿐 아니라 어느덧 가족이 되어 그의 일상의 한 부분이 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우울과 불안에 시달리는 제 마음을 알아주기라도 하듯 외출했다 돌아오는 그를 향해 달려와 몇 바퀴쯤 돈다. 반가움의 표시에 하루의 피로를 잊을 것이다. 우리집 고양이도 좋아하는 사람이 다른데 좋아하는 사람이 오면 침대에서 뛰어 껑충껑충 달려오는 것처럼.
김제동의 글은 재미있다. 글에서도 방송에서의 말솜씨가 묻어나는데 저절로 미소를 짓게 된다. 그중의 하나, 그의 팬클럽 이름이 <베드로>란다. 누가 김제동의 팬이냐고 물으면 세 번 부인을 한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예수님을 세 번 부인했던 베드로의 이름을 땄다. 파안대소를 했다. 나 또한 김제동의 팬이라고 광고하고 다니지는 않는다. 요란하기 보다는 조용한 팬이다. 있는 듯 없는 듯. 그가 책을 쓰면 조용히 구입하는 사람이랄까.
저 사람 혹시 당신 팬이야?
누가 이렇게 물으면
“아닌데요!×3”
이렇게 동트기 전에 세 번 부인할 거예요.
그러나 우리는 다시 믿음으로 만날 거예요.
베드로!! (261페이지)
반려견을 산책하고 있을 때, '탄이 아빠'라고 부르는 통장님을 향해 '탄이 형'이라고 불러 달라는 사람.
“아저씨는 어떻게 힘든 일을 이겨내셨어요?”
“못 이겨냈는데….”
이렇게 말하면 아이들이 엄청나게 좋아합니다.
애들이 막 “와~ 못 이겨냈대.”
이렇게 말하면서 웃어요. (10페이지) 아이들을 공감하게 만드는 구석이 있는 사람. 마음이 따뜻하고 유머 있는 사람이다.
어른들은 청소년들과 대화가 통하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김제동은 아이들과 이야기하며 그들의 입장에서 시원하게 답변해주는 사람이다. 짧고 굵직한 답변, 위트 있는 답변이 꼭 법륜스님 같다. 법륜스님과 친하게 지낸다는 어머니의 염려에 전도하려고 만난다는 이야기는 너무 재미있다. 그의 말 한마디가 우리를 웃게 하고 시름을 잊게 한다. 정치적으로 핍박받을 때 저자라고 해서 어찌 상처받지 않겠나. 하지만 자기만의 방식으로 이겨내고 아이들과 시간을 보내며 위로를 받는다.
자기 마음을 들여다보는 일은 상당히 중요하다. 타인을 위하기보다 나를 위하는 게 더 중요한 일이다. 따뜻한 밥 한 끼, 비록 맛김에 실패한 두부 짜글이 하나인 소박한 밥상에서 잘 먹는 일이야말로 나를 위하는 일이라는 걸 배운다.
타고난 이야기꾼인 그를 방송에서 보고싶다. 그의 강연을 듣거나 그가 쓴 책을 읽으면 기분이 좋아진다. 이거야말로 행복해지는 일 아닐까. 우리에게 행복을 주는 말 한마디다.
괜찮다. 괜찮다. 괜찮다.
너로 살아도 괜찮다. (45페이지)
베드로!
#내말이그말이에요 #김제동 #나무의마음 #책 #책추천 #문학 #에세이 #에세이추천 #한국에세이 #한국문학 #김제동과어깨동무 #공감에세이 #김제동에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