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해방일지
정지아 지음 / 창비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버지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딸이 얼마나 있을까. 이해하려고 생각은 해봤을까. 자기 안의 신념에 갇혀 타인의 말이라고는 듣지 않는 아버지. 그런 아버지를 향해 이해할 수 없다고 하면서 아버지의 생각을 바꾸려 들지 않았는가 말이다. 자식들이 아무리 이야기한다고 해도 변하지 않은 게 또한 아버지인 것 같다. 무슨 말을 할 때마다 엄마 편에 선다며 서운해하는 아버지. 엄마가 돌아가신 후 그 빈자리를 크게 느끼는 아버지 생각이 났다.

 


어쩌면 아버지가 주인공인 작품을 일부러 피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아버지 하면 불편한 감정이 먼저 떠오르기 때문일 것이다. 평생 아버지 자신만 중요하게 여기고 엄마를 등한시했던 거에 대한 서운함 때문인지, 갈수록 크게 느껴지는 엄마의 빈자리 때문인지도 모를 일이다.





 

아버지의 해방일지는 평생 빨치산의 딸로 살아온 작가가 아버지의 죽음을 두고 장례를 치르는 사흘간의 이야기를 담았다. 빨치산이었던 아버지 때문에 자기 삶을 살아보지 못하여 반목한 작은 아버지와의 관계, 구례에서 만난 아버지 친구들, 나의 버팀목이자 사랑이었던 아버지와 딸의 관계, 남부군 투사였던 어머니와 아버지의 관계가 이웃 사람들의 진언으로 의 기억으로 나타나 새로운 아버지를 만나게 된다.

 


장례식장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찾아와 아버지와의 일화를 이야기한다. 전혀 모르는 아버지를 발견한다. 하기야 자식이 어떻게 부모의 모든 것을 알겠는가. 이름만 알고 있었던 인물에게 아버지의 이야기를 들으며 우리 부모 세대가 걸어온 질곡의 현대사를 알게 한다. 마을에서 남부군으로 활동했을 당시 아버지와 반목한 자들이 있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감옥에서 출소 후 고향으로 돌아와 터를 잡은 아버지의 다양한 모습들을 발견할 수 있다.

 


군인과 교련 선생으로 한 시대를 살았던 박 선생과의 우정어린 투닥거림, 노란 머리 여자애를 차별 없이 바라봐주어 나이를 뛰어넘은 우정을 나누었던 것은 아버지가 꿈꾸던 평등한 세상의 한 갈래였다. 열일곱 살의 여자아이와 맞담배를 피우며 아이가 포기했을 미래를 희망으로 이끈 점 또한 에게는 아버지의 새로운 모습이었다. 보통의 아버지와는 달랐다. 그가 추구했던 사상만큼 세상을 바라보고자 했다. 예를 들면, 다랑논에 모심는 날 사고 났다는 전화를 받고 앞뒤 재지 않고 달려갔다. 아픈 엄마가 밤늦게 올 게 뻔한 데도 오죽하면 글겄냐고 말하는 사람이었다.

 


딸은 아버지의 죽음을 마주하고서야 아버지를 제대로 바라볼 준비가 되었다. 빨치산의 딸이라는 평생의 굴레를 준 아버지를 원망했을 것이다. 하지만 죽은 아버지를 말하는 사람들을 만나고 뒤늦게 아버지를 제대로 보았다. 가족이라고 해도 다 알지 못한다. 몇십 년의 시간이 흘러서야 아는 경우가 있다.





 

아버지는 갔어도 어떤 순간의 아버지는 누군가의 시간 속에 각인되어 기억을 떠올릴 때마다 생생하게 살아날 것이다. 나의 시간 속에 존재할 숱한 순간의 아버지가 문득 그리워졌다. (110페이지)

 


아버지를 향한 그리움, 다시는 마주할 수 없는 아버지를 향한 뭉클함이 오래도록 마음속에 남아 있을 것 같다. 언젠가 시간이 흐르면 나도 아버지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까. 안부를 물을 때 의무적으로 하지 않고 그리움 가득한 마음으로 하게 될까. 시간이 흘러도 좀처럼 좁혀지지 않은 감정이 있다. 그 간극을 좁히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아버지의해방일지 #정지아 #창비 ##책추천 #책리뷰 #도서리뷰 #북리뷰 #소설 #소설추천 #한국소설 #한국문학 #문학 #한국현대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