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테헤란로를 걷는 신라공주 - 신라공주와 페르시아왕자의 약속
이상훈 지음 / 파람북 / 2021년 10월
평점 :
『쿠쉬나메』는 통일신라를 배경으로 한 구전 서사시다. 페르시아왕자와 신라공주가 결혼하여 아들 페리둔을 낳았고, 페리둔은 이슬람에 의해 빼앗긴 페르시아를 되찾기 위해 이슬람 왕조를 다시 일으킨 이야기다. 『쿠쉬나메』를 보면 페르시아와 통일신라가 실크로드를 통해 문화 교역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복 입은 남자』의 작가 이상훈은 어릴 적 아버지를 따라 이란에서 살았던 친구에게 들은 말이 귓가에 맴돌았다. 전래동화처럼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이야기를 역사소설로 풀어볼 생각을 하던 차에 『쿠쉬나메』가 영국국립박물관에서 발견된 것을 보고 신라와 페르시아의 연관성을 찾아 역사적 기록을 뒤지기 시작했다. 기록을 파면 팔수록 신라와 페르시아가 실크로드를 통해 문화적 교류를 했다는 사실에 이르게 되는데, 혜초가 왕오천축국전을 쓰기 위해 방문했던 기록 또한 시기적으로 비슷했다. 이렇게 탄생한 소설이다. 구전된 이야기는 역사적 사실로 인정할 수는 없다. 아이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기 위해 만들어진 것일 수도 있으나 자료를 보면 신빙성이 없다고 할 수도 없을 것 같다.

『한복 입은 남자』처럼 역사에 드러난 몇 개의 사실로 상상력을 발휘해 실제로 있었을 수도 있다는 가설에 이르게 된다. 방송국 피디인 주인공이 어릴 적 이란에서 들었던 이야기와 과거 페르시아인의 피가 흐른다는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듣고 페르시아 왕자가 신라공주를 만나고 그 이후에 벌어지는 이야기를 찾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아랍군에 의해 페르시아 제국이 멸망하자 페르시아 왕자 아비틴은 왕의 간곡한 청으로 옥새를 들고 훗날을 도모하기 위해 당나라로 향한다. 그 전에 바실리 즉 신라의 사신 화랑 죽지랑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게 된다. 당나라로 향했으나 그곳에서도 아비틴은 안전하지 못하다. 페르시아 왕자를 쫓는 아랍군에게 위험인물이었다. 당나라 고종은 아비틴을 보호하려고 했지만, 고종이 병석에 눕게 되자 이익에 눈이 먼 측천무후는 아비틴을 아랍군에게 내주자고 한다. 아비틴은 당나라에 있었던 의상 대사를 알게 되어 신라로 떠난다.

신라에 도착한 아비틴은 문무왕의 환대를 받고 의상과 의상의 소개로 원효를 알게 된다. 요석공주가 머문 요석궁으로 찾아가 원효와 이야기를 나누던 중 신라의 공주 프라랑을 만나 서로 좋아하게 된다. 페르시아 왕조를 되찾기 위해 떠도는 유민들을 모아 훗날을 도모했던 페리둔이 안녹산의 난을 일으킨 안녹산을 도왔던 것도 결국 나라를 찾으려 했다. 고구려 출신 당나라 장군 고선지와의 인연도 시기적으로 가능하다고 보았던 거 같다.
마치 한편의 전래동화처럼 여겨진다. 사실일 수도 있고 구전설화일 수도 있지만, 흥미로운 주제인 건 틀림없다. 우리가 ‘콩쥐팥쥐’나 ‘장화홍련’ 이야기와 비슷하다.

다른 한편으로 우리나라는 백의민족이라고 말해왔다. 다른 나라의 피가 전혀 섞이지 않는 순수한 민족이라고 말이다. 하지만 수로왕과 허황후의 이야기도 그렇고, 페르시아왕자와 신라공주가 만나 아들을 낳았다는 이야기를 보면 아주 오래전부터 다른 나라의 피가 섞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과 이란의 친교와 인연의 상징인 테헤란로가 서울의 강남에 있다. 테헤란에는 서울로가 있는 것처럼 한때 가까웠던 이란과 한국이 어떻게 멀어졌는지 모르겠다. 책의 뒷면에 실린 이란과 한국의 인연과 그 흔적들의 사진들을 보며 사실이 아니라고 말할 수 없겠다. 페르시아 왕자는 정말 신라로 와 신라 공주를 만났을까. 페르시아는 그저 실크로드의 끝에 있는 신라를 이상향처럼 여겨 이런 구전설화가 탄생했던 것일까. 그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구전설화로 치부할 수만은 없는 거 같다.
#테헤란로를걷는신라공주 #이상훈 #파람북 #책 #책추천 #책리뷰 #도서리뷰 #북리뷰 #리뷰 #서평 #도서 #소설 #소설추천 #한국소설 #한국문학 #역사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