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순간 두려움을 느낀다. 겁이 많다. 만약 생을 초월한 누군가가 그러한 두려움을 먹고 산다면 어떨까. 오히려 두려움을 느끼지 않으려고 하다가 공포에 휩싸이고 말 것 같다. 의사가 진료하는 환자들의 특이한 케이스를 말하는 르포 형식의 글인줄만 알았다. 소설을 다 읽고서도 이것이 르포인지 소설인지 헷갈릴 정도로 몰입하여 읽었던 것 같다. 



소설의 주인공은 정신병원에 삼십 여년을 갇혀 산 조와 이제 막 신입 정신과 의사로 발령이 난 젊은 남자 파커다. 그의 학력과 실력이라면 더 좋은 병원으로 갈 수도 있었지만 약혼녀의 공부에 맞춰 유명하지 않는 정신과 병원에서 진료를 시작했다. 



그러다 침대에 묶여 나오는 남자 간호조무사를 맞닥뜨리게 되고 그가 환자의 병실에서 나왔음을 알게 되었다. 그는 조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병원에서는 '그 환자' 라며 의료진들에게 골칫거리로 불리는 환자였다. 그는 무슨 이유 때문에 이 병원에서 이토록 오래 입원해 있는가 궁금하였다. 그래서 몰래 그 환자의 이력을 찾았다. 



여섯 살의 나이에 벽에서 누군가 나와 그를 괴롭힌다는 말에 처음 입원하여 검사를 받았다. 그 나이때에 일어남직한 악몽을 꾼거라 여겨 퇴원을 하였다가 재입원해 지금까지 있는 경우였다. 그와 함께 있었던 환자들이나 의료진들은 공포에 차 병원을 뛰쳐나왔으며 그를 진료한 의사는 하나같이 자살을 하거나 미쳤다는 게 문제였다. 



유일하게 이 병원에서 오래 근무했던 간호사 네시 조차도 그의 입원실에 들어갔다가 바로 옥상으로 올라가 뛰어 내렸다. 네시는 조에게 약을 전달하는 임무를 오래도록 해 왔었다. 그런 그녀까지 왜 죽음을 선택하는가 궁금할 수 밖에 없다. 



* 여기서부터는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습니다. 



지극히 현실적인 성격을 가졌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누군가의 공포 혹은 두려움을 먹고 산다는 미지의 존재가 있다면, 있는 게 확실하다면 너무도 두렵다. 그 공포와 두려움을 표현해내지 않으려 안간힘을 쓸테지만 곧 굴복하고 말 것 같다. 소설 속에서 일어난 일들이 그저 소설이기를 바랄 뿐이었다. 진짜 실제로 일어난 일이었다면 제대로 살 수 없을 것만 같았다. 



조가 그 병원에 오래도록 있었던 이유, 파커가 조에게 휘말려 그를 내보내려 했던 것까지 소설은 잠시도 긴장을 늦출 수 없었다. 공포의 근원에 가까이 다가가는 느낌이 편하지 않았다. 원작이 영화로 만들어진다고 하는데 화면으로 보는 <그 환자>는 공포 그 자체일 것 같다. 머릿속으로 상상하는 것과 그 상상하던 장면을 실제로 마주한다는 것은 커다란 차이를 나타낼 것 같다. 더군다나 이게 사실이라고 말하고 있잖은가! 



#그환자  #재스퍼드윗  #시월이일  #책  #책추천  #책리뷰  #소설  #소설추천  #영화원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