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반 일리치의 죽음 ㅣ 창비세계문학 7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이강은 옮김 / 창비 / 2012년 10월
평점 :
죽음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 어느 누구도 죽음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 같다. 아무리 죽음을 무시하려고 해도 가족 중의 누군가 혹은 나 자신의 죽음도 언제 다가올 지 알 수없기 때문에 일부러 죽음에 대한 생각을 하지 않는지도 모른다. 죽음에 대한 생각을 하다보면 막연하지만 두려움 뿐이므로. 그 두려움을 생각하지 않으려 일부러 죽음을 모르는 척 하는지도 모른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되도록이면 피하고 싶을지도 모른다.
우리에게 죽음이 다가오고 있을때 할 수 있는 생각은 많지 않을 것 같다. 나는 절대 죽지 않으리라는 것. 금방 병마를 이기고 일어설 거라는 것. 설마 내가 죽기야 하겠냐는 것. 죽음이라는 건 나에게 아닌 타인에게 다가오는 것이라고 막연하게 생각하지 않을까. 죽음 앞에 선 나는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낼 것이라는 것. 죽음 앞에 선 이를 바라보는 이 또한 아픔과 고통속에 있을 것이라는 것. 죽음을 생각하니 그저 숙연해질 뿐이었다.
톨스토이는 중단편 『이반 일리치의 죽음』에서 삶과 죽음에 대한 통찰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반 일리치에 다가온 죽음을 두고 친구와 가족들 그리고 이반 일리치 자신에게 이르기까지 죽음을 바라보는 순간들을 담았다. 타인의 죽음이란 다행히 나에게 다가오지 않은 일일 뿐일까. 이반 일리치의 죽음을 놓고 그의 절친했던 동료들이 마음속으로 하는 생각들은 사람들을 질리게 한다. 그의 죽음으로 인해 누군가가 이반 일리치의 자리로 갈 것이기에 자리 이동과 보직 변경에 대한 생각들을 마음속으로 하는 것이다. 그의 절친한 친구마저 자신의 처남을 어느 자리로 불러 올 것인가를 생각하고 있었다. 이런 그들을 누가 뭐라고 할 수 있을까. 마음속으로는 이반 일리치가 안됐다고 생각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죽은 사람이 내가 아니라는 것에 대한 안도감이라는 것. 그런 생각을 대부분 한다는 것이다.

특별한 병명없이 아프게 된 이반 일리치가 죽음을 받아들이는 순간 또한 죽음에 대한 한 과정이 아닐까 싶다. 자신을 빼놓곤 가족 모두가 건강하다는 게 마음에 들지 않았다. 몸이 거북하고 불편한 증상이 심해지자 이반 일리치는 짜증을 부렸고 아내와의 관계가 소원해졌다. 서로의 필요에 의해 결혼했던 아내는 이런 남편이 얼른 죽었으면 싶지만 남편이 죽으면 봉급도 없을 것이라는 것 때문에 어쩌지도 못하고 치가 떨릴 정도로 싫어진 남편이었다.
자신이 죽어간다는 사실을 마음속 깊은 곳에서는 분명히 인식했지만 여전히 그것을 받아들일 수가 없었다. 아무리 이해하려고 해도 도저히 이해되지 않았던 것이다. (71페이지)
그렇다. 죽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자신의 죽음을 인정하고 싶지 않았다. 자신이 왜 죽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었을 것이다. 왜 나여야 하는지, 무슨 잘못을 했기에. 죽음을 바라보는 그는 너무나 고통스러워 울고 부정도 해보았다. 죽고 싶다고 흔히들 말하지만, 그 말은 아주 간절하게 살고 싶다는 호소 인지도 모른다. 이반 일리치도 자신을 고통을 받지 않길 바랐고, 할 수만 있다면 살고 싶었다. 아주 강렬하게. 지나온 삶이 기쁘고 행복하지만은 않았다. 그럼에도 그 시간들을 그리워하게 되었다. 죽음의 고통앞에 선 순간이야말로 평범했던 시간들이 아주 행복했던 시간이었음을 깨닫게 되었던 것이다. 어린 시절을 그리워하는 것도 그때가 가장 기뻤던 순간이라는 생각때문이었을 것이다.
『이반 일리치의 죽음』을 읽으며 내가 오늘을 사는 것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이 든다. 오늘 내가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낸 것. 오늘 내가 엄마를 만난 것. 아빠를 만난 것. 형제자매를 만난 것 또한 함께 시간을 보내며 훗날 우리는 이 시간들을 그리워할지도 모른다. 그때가 행복했음을, 가장 소중한 시간들이었음을. 고통뿐이었을 시간마저 그 시간을 살았던 나는 행복했음을 깨닫게 될지 모른다.
#이반일리치의죽음 #톨스토이 #창비 #창비세계문학 #책추천 #소설추천 #레프니콜라예비치톨스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