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일드 시드
옥타비아 버틀러 지음, 조호근 옮김 / 비채 / 2019년 8월
평점 :
품절


소설의 시작 부분을 읽으며 어쩔 수 없이 떠올랐던 게 불사의 삶을 살았던 드라마 <도깨비> 였다. 천 년을 살았던 도깨비와 저승사자의 이야기. 온 국민을 거의 사로잡았던 드라마가 아니었나 싶다. 옥타비아 버틀러의 소설에서도 불사의 삶을 사는 존재가 나온다. 자신의 일족을 지키고 가꾸며 300년을 살아온 아냥우와 사천 년을 좀더 능력있는 강한 인간들을 만들고자 하는 도로가 그 인물이다. 

 

검은 피부를 가진 아냥우는 자신의 일족을 거느리며 살고 있다. 치유사로서 혹은 어머니로서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며 숲 속에서 터를 잡고 있었다. 한 남자가 다가오는 느낌을 받았다. 그의 존재를 느끼고 있었으나 아무것도 아닌척 하고 있을때 슬며시 다가온 검은 피부의 젊은 남자. 그는 아냥우를 다정하게 대했고 유혹의 몸짓을 보냈다. 그리고 자신이 터를 잡고 있는 일족들에게로 가자고 제안을 한다. 절대 죽지 않는 아이를 만들어주겠다는 거였다.  

 

도로는 다른 사람의 몸으로 재탄생 되곤 했다. 가지고 있는 몸이 쓸모를 다 하면 다른 사람의 육체를 취했다. 처음 보는 일족의 여성의 몸을 하고 있는 아냥우를 보며 그녀가 야생종 임을 알아차렸다. 그녀의 능력을 알아 본 도로는 아냥우를 데리고 자신이 원하는 능력을 가진 인간을 만들고자 아내로 삼았다. 도로를 남편으로 삼은 아냥우는 그를 따라서 그의 일족이 있는 곳으로 노예선을 타고 가게 되었다. 도로를 남편으로 알았던 아냥우에게 그는 아냥우가 자신의 아들은 아이작과 결혼하기를 바란다. 배를 움직이고 하늘을 날며 바닷속을 헤엄치는 능력이 있는 아이작과 아냥우가 짝이 되어 여태 없었던 인간을 만들기를 바란다. 즉 새로운 인물을 탄생시킬 교배종으로 보았던 거다. 죽음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도로에게 복종하게 된 아냥우는 그의 뜻대로 아이작과 결혼해 새로운 아이들을 만들어낸다.

 

 

 

 

아무래도 내가 여성이어서 일까. 여성을 한낱 아이를 만드는 교배의 대상으로 보는 도로에게 화가 나 아냥우의 입장에서 소설을 읽었던 듯 하다. 새로운 능력을 가진 아이가 변신을 할 때 찾아와 지켜보며 이제는 쓸모가 없어진 아냥우를 죽일 생각부터 하는 도로. 그런 도로를 달래며 도로에게 오래도록 함께 할 사람으로 아냥우를 택하라는 말을 했던 아이작이었다. 아버지를 사랑했지만 그 누구보다도 아냥우를 사랑하며 그 둘을 엮어주려 했던 아이작의 현명함에 아냥우는 오래도록 아이작을 그리워한다.

 

 

흑인 작가 답게 아냥우의 원래 모습은 검은 피부를 가진 여성으로 나온다. 아냥우가 처음 도로와 만났을 때도 그녀가 좋아하는 검은 피부를 가진 젊은 남성의 육체로 다가왔었다. 아냥우의 취향은 검은 피부를 가진 키가 작은 남자였다. 소설의 마지막까지 아냥우는 그런 남자에게 호감을 보였다. 자신의 남편으로 삼아도 되겠다 싶었던 거다. 사랑하는 자식을 죽을 때면 그 고통을 잊기 위해 아냥우는 새로 변신해 하늘을 날고 싶을 때까지 날았으며, 바다에서는 돌고래로 변신해 파도를 타며 바다를 헤엄쳤다. 누군가를 해하기 위해서는 표범으로도 변신 가능했다.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가진 아냥우였다.  

 

 

 

정령같은 존재를 어떻게 막을 수 있겠는가. 그가 뭐라고 말하든 그는 정령일 뿐이다. 자기 육체가 없는 존재이다. (78페이지)

 

강한 자식을 원했던 도로에게서 인간의 근원적인 욕망을 볼 수 있겠다. 약한 자는 죽이거나 취하고, 강한 자식만을 골라 새로운 교배를 했던 도로였다. 도로나 아냥우처럼 죽지 않은 아이를 만들고자 했으나 그의 욕심이었을 뿐 모든 자식들이 죽어갔다. 죽어가는 모습을 바라보아야만 했다. 반면 아냥우는 자신의 일족을 거느리며 죽어가는 이를 보살폈을 뿐만 아니라 죽음을 안타까워했다. 변신을 하는 도중에 누군가를 해할 때도 곁에서 지켜보며 달랬다. 모성 본능으로 인간들을 보살폈던 휴머니즘을 나타내지 않았나 싶다.

 

그 오랜 세월동안 나는 거의 평범해 보일 정도로 하잘것없는 능력을 가진 사람들을 모아서 그들을 교배시키고 또 교배시켜서 후손들이 더 뛰어난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했어. 그리고 마침내 아이작 같은 아이를 만들었지. (243페이지)

 

 

 

몸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정령으로서 힘이 다하면 도로는 아무나 곁에 있는 사람의 육체를 취해 가졌다. 백인으로 혹은 흑인, 남자, 여자를 가리지 않고 취했다. 그가 며칠을 하나의 육체로 있었는지는 알지 못하겠다. 그럼에도 그가 나타나면 그의 아들들 혹은 딸들은 그가 도로임을 알아챘고, 여자들은 그의 마음에 들고자 저절로 복종을 하고는 했다.

 

그토록 자신을 아꼈던 아이작은 죽은 후 아냥우는 도로가 알아채지 못하게 자주 동물로 변해 있곤 했다. 검은 개로 혹은 커다란 독수리로 혹은 돌고래로 변화해 도로의 추적을 피했다. 그럼에도 도로는 아냥우의 일족 앞에 나타났다. 늙은 백인 남자의 모습으로 변해있던 아냥우 앞에 나타나 새로운 제안을 하는 도로였다.

 

만약 불사의 몸을 하고 있다면 어떤 삶을 살까. 도로의 바람처럼 더 강한 아이들을 만들기 위해 좋은 교배종을 골라 자기가 원하는 아이를 만들고자 하는 욕망이 생길까. 이왕이면 더 좋은 아이를 만들자 하고? 어쩌면 자신의 이익을 위해 강한 아이를 만들고자 했던 도로는 인간의 욕망이 농축되어 있는 인물이 아닐까 한다. 반면 아냥우를 통해 능력이 없는 사람일지라도 자신의 삶을 스스로 개척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지 않았나 싶다.

 

옥타비아 버틀러의 소설이 좋다. 남성적인 시각으로 보는 SF 소설보다 좀더 근원적인 인간의 휴머니즘을 말하는 소설을 읽고 있다보면 감명을 받게 된다. 그의 소설이 많이 출간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