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마지막 히어로
엠마뉘엘 베르네임 지음, 이원희 옮김 / 작가정신 / 2019년 1월
평점 :
배우 실베스타 스탤론이 한참 날리던 시절에 나왔던 영화 <록키> 시리즈. 권투라는 스포츠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지만 많은 히트한 영화라 꽤 여러 편을 보기도 했었다. 한 사람의 인생 역전을 다룬 영화라고 해야 하나. 어렴풋하게 기억하는 건 실베스타 스탤론이 시합이 이기고 허스키한 목소리로 크게 소리치는 장면이다.
소설 속 주인공 리즈는 우연히 <록키3>를 보고 인생을 새롭게 살 결심을 하게 된다. 의과대학을 다니다 그만두었던 리즈는 다시 엄마 아빠 계신 집으로 가서 그때 공부했던 책들을 챙겨가지고 오게 된다. 다시 공부할 계획을 세웠다. 오랜 시간동안 공부해야 하지만 지금의 삶을 버리고 새로운 삶, 즉 두 번째 삶을 새로 시작하게 되었다. 물론 그녀가 공부하는 걸 반대했던 남자 친구와도 깨끗하게 헤어졌다.
낮에는 공부를 하고 밤에는 아르바이트를 하던 일을 계속했다. 그러다 만난 잘 웃는 남자와 함께 살기 시작했다. 리즈가 하는 일을 응원해주는 사람. 그녀만을 좋아하는 남자였다.

소설은 꽤 짧다. 60페이지가 채 안되는 두께지만, 심플한 진행이 매력적이다. 한마디로 군더더기가 없다고 해야 하나. 소설 마지막 부분에 소설가 이종산과 씨네21기자 이다혜의 대담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리즈가 전 남자친구 미셸과 헤어지는 장면에서도 한마디로 쿨하다. 별다른 설명없이 그냥 헤어진 것이다. 그동안 간간이 좋아하는 연예인은 있었어도 덕질이라는 것을 해본적이 없었다. 소설 속 리즈는 덕질 중의 덕질을 한다는 것이다. 실베스타 스탤론의 영화가 흥행에 실패할 경우 그에게 경제적 도움을 주기 위해 두 번째 계좌 개설을 했다. 그 통장의 돈을 사후 실베스타 스탤론에게 갈 유언을 작성해 유증으로 남긴다는 점이다.
소설은 두꺼워야 제맛이라고 평소 생각해 왔지만 이처럼 100페이지가 안되는 심플한 소설을 만나면 그만큼의 매력이 풍겨져 나오는 걸 느끼게 된다. 그저 다른 사람이 원하는대로 사는 삶이 첫 번째였다면 두 번째 삶에서는 내 뜻대로 살아갈 수 있다면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가 이 소설에서 말하고자 하는 주요 쟁점이다.
나는 이 책으로 엠마뉘엘 베르네임의 소설을 처음 읽었다. 그의 작품은 이처럼 100페이지 이내의 소설이 주를 이루는 것 같다. 작가정신에서 출간된 그의 책들을 가리켜 '100페이지의 미학'이라고 일컬었다. 작가의 자전적 소설이라고 할만큼 그의 경험이 녹아있는 글이었다. 작가의 다른 소설도 궁금해지는 건 당연하리라.
간결한 문장에서 드러나는 많은 감정들. 문장과 문장 사이에 숨겨진 내용에서 우리는 어떤 삶을 살아가야 할지 배우는 법이다. 우리가 항상 상상하는 게, 삶의 기로에서 다른 선택을 했더라면 어땠을까,다. 수많은 선택지에서 한 가지 선택 만을 할 수밖에 없는 경우. 내가 진짜 원하는 삶을 살아가는 게 가장 좋다. 진정 원하는 삶일 경우 힘들어도 중간에 포기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