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 연습 - 부서진 심장과 고통과 상처와 당신에 관한 에세이
레슬리 제이미슨 지음, 오숙은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갈수록 세상 사람들에게 무감해지는 우리를 발견한다. 그럼에도 어떠한 사건이 생겼을 때 그 상처에 안타까워하고 그들이 느끼는 고통에 공감하는 것. 그게 우리의 할 일이 아니던가. 아니, 할 일이라기 보다는 우리가 느껴야 하는 감정이다.

 

레슬리 제이미슨의 고통과 상처에 관한 사적인 경험이 마치 르포처럼 펼쳐진 에세이로 저자가 여러 매체에 발표한 글을 엮은 책이다. 에세이라고 하면 자신의 경험을 말하되 최대한 보편적인 것들을 말하는데 레슬리 제이미슨은 예상하지 못했던 경험들을 말했다. 첫 소설 발표후 경제적인 이유때문에 여러 직업을 전전했고, 그 중의 하나 의료 배우를 했던 경험이 이 에세이의 제목이며 이 책을 관통하는 주제가 된다.

 

의료 배우란 의과대학생 앞에서 질병에 관한 연기를 하게 되는데, 대학생들은 의료배우의 연기를 보고 질환을 추측하게 된다. 의료 배우는 연기가 끝난 뒤 의과대학생들의 질문을 통해 체크리스트를 작성해 올리는 일을 한다. 이 것을 공감시험이라고 하는데 의과대학생들이 환자를 잘 이해하고 공감하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작가들의 다양한 경험이 소설의 새로운 주제가 되고 소설을 쓰는 양분이 되게 한다. 고통스러운 기억마저 소설을 쓰는데 중요한 경험이 되는데, 작가가 경험한 이야기는 소설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상상하지 못했던 삶이었다. 약에 취해 있었고, 낙태 혹은 다른 나라에서 얼굴에 가했던 폭력으로 수술을 해야 했던 경험, 알콜 중독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이야기를 던져놓고 그것에 관해 깊은 공감을 이끌어내고 있었다.

 

공감은 그저 귀를 기울이는 것이 아니라, 귀 기울여 들어야 할 답을 하게끔 질문하는 것이다. 공감에는 상상력이 많이 필요하지만 그만큼 질문도 많이 필요하다. 공감하려면 당신이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공감은 자기 시야 너머로 끝없이 뻗어간 맥락의 지평선을 인정한다는 뜻이다. (20페이지)

 

 

 

우리가 고통의 근원이 아니라 고통에 관한 사실을 믿을 때 그것을 공감이라고 한다면 잘못된 것일까? 누군가의 고통에 대한 특정한 이해를 함께하지 않으면서 어떻게 내가 그 사람의 고통을 함께할 수 있을까? (76페이지)

 

이해와 공감의 차이는 무엇일까. 사리를 분별하여 해석하는 게 이해고, 남의 감정에 그렇다고 느끼는 것을 공감이라고 한다. 레슬리 제이미슨의 감정에 100퍼센트 공감하지 못해도 어느 정도는 이해할 수 있었다고 해야 하나. 마치 폭력과 상처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 편한 감정은 아니었다고 해야겠다. 많은 경험이 소설의 자양분이 되지만 저자가 겪었던 일들은 상상하지 못했던 일이었다.

 

염증과 가려움, 피로감, 통증 그리고 피부에 벌레가 기어 다니는 느낌의 증상이 있는 모겔론스 병에 관한 고찰도 특이했다. 저자 또한 말파리 유충으로 힘들었던 고백을 하게 되는데 상상만으로도 무서운 병이었다. 예민해질때 피부에 무언가 기어다니는 느낌만 들어도 견딜 수없는데, 실제로 그런 느낌이 계속 된다면 제대로 된 삶을 살 수 없을 것 같았다. 저자는 모겔론스 병이 실제인지 아닌지를 논하는 에세이가 아니라고 말했다. 누군가의 고통에 관한 사실을 믿을 때 비로소 공감이라고 할 수 있다고 했다.

 

교도소에 있는 찰리 앵글이라는 남자와 편지를 주고 받으며 그의 이야기를 듣는 것. 그리고 세 명의 소년을 죽였다는 세 명의 소년을 바라보는 저자의 시선이 독특했다. 그 어느 것도 그 사람의 잘잘못을 따지는 게 아니었다. 그저 그 사람 그대로 바라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타인에 대한 연민은 즉 공감의 표현이다.

 

설탕이 귀한 시절 단맛을 내는 사카린을 많이 사용했다. 저자는 사카린을 두려움을 나타내는 가장 달콤한 단어라 평했다. 사카린을 문학이라 칭하고 그에 대한 변론을 말했는데 이 부분은 작가로서 그가 가진 생각들을 엿보게 했다. 감미료와 감상성, 비현실적인 달콤함. 때로는 감상성은 반감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문학에 있어 감상성 만큼 중요한 것도 없으리라.  

 

작품을 대하는 작가의 생각을 알 수 있었던 부분이라 여러모로 의미있는 에세이였다. 사실 레슬리 제이미슨의 글이 달콤하지는 않다. 르포 형식의 글로 마치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 건조한 문체의 글이었다. 과연 달콤한 소설도 쓸 수 있을까 싶은 걱정이 앞섰다면 지나친 우려일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2-07 12:2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