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어의 실종 을유세계문학전집 95
아시아 제바르 지음, 장진영 옮김 / 을유문화사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종종 문학 작품 속에서 그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배운다. 수많은 작품들을 읽지만, 세계의 역사를 속속들이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문학 작품을 접하게 된다. 그럴때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소설 속 사건 혹은 역사에 대해 알아보거나 소설속 내용을 이해하려 애쓴다. 아시아 제바르의 작품 『프랑스어의 실종』도 내게는 숙제처럼 여겨지는 소설이었다. 일단 프랑스와 알제리의 역사를 모르는 상태에서 이 소설을 백 퍼센트 이해했다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작가의 시선에 다가가고자 했고, 소설 속 인물들을 이해하고자 했던 독서였다.

 

아시아 제바르가 누구인가. 알제리에서 태어난 작가는 초등학교 교사인 아버지 덕분에 아랍의 여자 아이들과는 달리 일찍 결혼하지 않고 프랑스 학교를 다녔다. 알제리 여성으로는 최초로 세브르 여자고등사범학교에 입학했다고 하는데, 이 시기에 여자의 위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시점이 된다. 작가는 평소에도 언어, 역사, 여성에 관한 문제를 다룬 소설을 썼다고 한다. 이 소설 속 주인공은 남자지만 그의 어머니와 할머니 혹은 그가 만난 여성의 목소리로 역사 속에서 여성에 대한 생각들을 만날 수 있다.

 

소설 속 중요한 역사는 프랑스의 식민지로 있었던 알제리의 독립 운동이다. 독립운동으로 많은 사람들이 죽었고, 감옥에 갇혔다. 알제리가 독립된 후 많은 사람들은 프랑스로 이주했고, 자기의 고향에 쉽게 돌아오지 못했다. 소설 속 주인공 베르칸은 20년 동안 프랑스에서 망명 생활을 했다. 연인 마리즈와 헤어진 후 고향인 알제리로 돌아오게 되었다. 알제 근처의 바닷가 마을에서 살다가 어린 시절의 추억이 살아있는 카스바에 가지만 그곳은 이미 그 시절의 카스바가 아니다. 

 

글을 쓰고 싶었던 베르칸은 바닷가에 면한 집에서 마리즈에게 그리움의 편지를 쓰고, 어린 시절의 기억들을 되살려 소설을 쓰려 하지만 쉽지 않다. 동생 드리스의 친구인 알제리의 여성 나지아가 찾아오고 그녀와 사랑에 빠진다. 여기에서 프랑스 여성 마리즈와 알제리의 여성 나지아는 언어의 대척점이 된다. 프랑스 여성인 마리즈와 사랑을 나눌 때면 알제리 사투리로 말하지만 그녀는 알아듣지 못하고 그에 대한 공허감을 느끼는 데 반해 나지아와 사랑을 나눌 때 터트렸던 알제리의 언어는 비로소 그를 편안하게 한다. 아주 짧은 기간의 사랑이었지만 그에게는 궁극적인 사랑이 되었던 이유다. 

 

 

 

 

너무나도 친근한 그 나른한 목소리. 제2의 언어로 보존하기 위해 그 아랍어 단어들을 이동시키고, 흘려버려야 할까? 우리 모국어로 포명된 그녀의 말들을 나는 그 특유의 음악 속에서 듣는다. 그리고 내게 있어서 프랑스어는 내 숙소의 공간 속에서 반짝이고 있는 관능적 쾌락의 고백을 보존하기 위한 하나의 '좁은 문'이 된다. (153페이지)

 

 

나는 그와 이야기 할 때 사투리만 쓰고 있다오. 상실된 수많은 단어들과 부활한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일종의 언어의 춤 같은 것을 다시 발견했다는 흥분에 싸여서 말이오. (29페이지)

 

소설은 베르칸의 1인칭 시점으로 시작되었다가 3인칭 시점으로 되었다가 다시 1인칭, 그리고 그가 사라진 후의 이야기들을 말하는 3인칭 시점으로 되어있다. 베르칸의 시선으로 바라본 알제리의 독립 운동과 가족에 얽힌 이야기들은 알제리의 역사가 되어 나타난다. 알제리의 여성으로 잠시 사랑의 대상이었던 나지아는 베르칸에게 자신의 할아버지와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를 할 수 있었다. 베르칸 또한 나지아에게 알제리의 사투리로 기억속의 고통을 함께 나눈다.

 

베르칸은 나지아와 며칠을 함께 보낸 후에야 글을 쓰게 되고, '청소년'이라는 소설을 완성한다. 소설 속 문장들은 프랑스어와 알제리의 언어에 대한 것들이 많다. 작가가 얼마나 언어에 천착했는가를 볼 수 있는 문장들이다. 수많은 문장들 속에서 언어가 가진 힘, 여성의 지위, 고통의 역사를 들여다 볼 수 있게 한다.   

 

 

누누이 말하지만,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다. 하지만 수많은 작품들 속에서 작가는 자기의 목소리를 낸다. 기록의 역사를 무시할 수 없지만 역사를 직접 경험한 사람들의 목소리로 비로소 진실을 들을 수 있다. 이러한 진실의 기록이 허구의 문학 속에서 새롭게 태어난다.  

 

내 젊은 시절의 추억을 글로 쓰면서 프랑스어가 내 기억을 되살리는 언어가 되고 있어. (222페이지)

 

프랑스의 여성 마리즈와 사랑을 나눌 때 아랍어를 알아듣지 못했던 것에 대한 답답함. 반면 나지아와 사랑을 나눌 때 마음껏 알제리 사투리를 내뱉을 수 있어 편안함을 느끼던 베르칸 이었지만 위의 문장처럼 자신의 기억들 또한 프랑스어로 쓴 글에서 떠올릴 수 있었다는 사실이다. 아랍어로 글을 쓰지 못하고 프랑스어로 글을 쓸 수 있었다는 것. 그에게 프랑스어는 필수불가결한 존재였는지도 모른다.

 

번역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지만, 을유문화 세계문학전집의 번역은 유려하다. 어느 문장을 읽더라도 어색한 면이 없고, 다른 문학전집에서는 볼 수 없는 작품들이 많아 좋다. 더군다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시아 제바르의 작품이 초역이라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매년 노벨 문학상 수상 후보로 거론되었던 아시아 제바르의 소설을 을유문화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큰 즐거움이다. 아시아 제바르의 또다른 언어의 사유들을 더 만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