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근두근 우타코 씨
다나베 세이코 지음, 권남희.이학선 옮김 / 여성신문사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제목에 붙은 "두근두근"이라는 수식어와 표지에 그려진 따뜻한 그림을 보고 우타코씨는 분명 아가씨일거라 생각했다. 그게 아니면 내가 좋아하는 총각이든가. 그런데 이걸 어째. 주인공 우타코씨는 올해 희수를 맞은 77세의 할머니였다. 77세의 할머니에게 두근두근한 일이 과연 무엇일까.
책을 읽어 나가면서 괜히 우타코씨에게 미안해졌다. 이렇게 소녀 같은 아니 아가씨 같은 할머니를 두고, 할머니에게는 아니 노인들에게는 당연히 가슴 두근거리는 감정이라고는 없을거라고 단정해 버렸기 때문이다.
우타코씨는 수시로 "두근두근" 설렘의 감정을 발산시킨다. 할머니의 첫사랑이었던 할아버지의 아들을 보고도, 어릴적 같은 곳에서 자랐던 할아버지를 보고도, 할머니와 대화가 통하는 사람을 보고도 할머니 가슴은 "두근두근" 거린다.
우타코씨는 일찍 남편과 사별하고 작은 가게를 열어 사업을 시작했다. 그녀는 "고생이라는 건 누구한테나 당번처럼 돌아오는거야. 그러니 그렇게 낙심할 필요가 없다. (p. 14)"고 말할 정도로 활달한 성격의 소유자이다. 그런 성격 덕분에 그녀의 사업은 계속 확장되었고, 그녀의 철없고 어리석은 아들, 딸들은 남부럽지 않게 살고 있다. 사람들은 나이가 들면 그저 자식들이나 손자들만 바라보며 피해가 가지 않도록 조용하게 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녀의 자식들도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맨션에서 혼자 살면서 예쁜 드레스를 맞춰 입고, 희수 잔치 대신 젊은 사람들처럼 파티를 하는 그녀를 못마땅하게 생각한다. 그러나 우타코씨는 아무의 눈치도 보지 않고 충분히 자유를 즐길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당당히 맞서며 그 자유를 만끽한다.
여자는 고생을 한다. 남자와 사회, 양쪽으로 고생한다. 하지만 남자는 사회에서 겪는 고생 밖에 모르기 때문에 나이를 먹으면 수양을 쌓지 못한 그 심성이 그대로 표출된다... 남자는 여자 고생을 해야만 한다... 자신의 아내와 고생스럽게 어울려주라는 뜻이다. 대부분의 남자들은 아내란 자동적으로 자신에게 맞춰주는 존재라는 사고방식 때문에 인격이 진보하지 않는다. (p. 109~110)
서로 신경을 쓰는 사이가 신경 쓰지 않는 것보다 좋습니다. 신경을 쓰는 사이는 피곤하다고 말들 하지만, 사실은 서로 신경 쓰는 사이가 가장 편한 겁니다. (p. 152)
우타코씨는 77세의 나이에도 "두근두근" 거리는 "꿈쟁이 할멈(p. 115)"이다. 내 나이 스물여덟, 할머니에 비하면 아직 먹을만큼 먹은 나이라고 말할 수도 없는 나이다. 그러나 나는 이제는 꿈 같은 것을 꾸기에는 이미 먹을만큼 먹은 나이, 무언가를 향해 가슴 "두근두근" 거릴 일이 없는 알건 다 아는 나이, 더이상 설레임 같은 것은 느낄 수 없는 건조한 나이라고 생각해 왔다. 시체처럼 축 늘어지고, 곰처럼 느린 할머니는 우타코씨가 아니라 바로 나였다.
스스로 끊임없이 꿈을 꾸는 철없는 어른이라 말하며 뒷북"소녀"라 부르고 있으면서 마음은 왜 그렇게 따라가지 못했을까. 할머니처럼 진짜 "꿈쟁이 소녀"가 되고 싶다.
2007/11/21 by 뒷북소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