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꾼이다 - 세계 1등을 선포한 미스터피자 정우현 이야기
정우현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내가 정우현 사장에 대해 알게 된 것은 이경만 씨가 쓴 《사장의 촉》을 통해서였다. 그는 책에서 성공한 기업과 사장에 대한 공통점은 물론이요, 창업의 성공 조건이나 새로운 시장의 판도도 소개하고 있었다. 특히 그가 추천한 미스터 피자의 정우현 회장 이야기는 내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일의 지배력(job-ownership)’을 가진 자들은 자기 능력에 대한 남들의 평가보다 일의 완수에 초점을 맞춘다. 프로젝트가 끝난 뒤에도 그들의 고민은 멈추지 않는다. ‘신제품이 왜 팔리지 않을까?’, ‘고객은 또 무엇을 원하는가?’, ‘여기서 더 개선할 점은 없는가?’ 끝없이 생각하고 새로운 방법을 찾아 뛰어다닌다. 그리고 그들에게는 점점 더 큰 일이 주어진다. - 38쪽
정우현 사장은 1974년 제대하고 나서 증권회사에 다닐 생각이었다. 면접도 보고 출근 날짜만 기다리던 차에 아내가 장인 어른과의 사업을 제안했다. 당시 장인은 동대문시장 섬유도매업체인 ‘천일상사’를 인수한 직후였다. 정우현은 장인에게 상무 직함을 요구하며 구매와 판매, 직원 관리까지 전권을 달라고 했다. “1년 이내에 천일상사를 동대문 안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올려놓겠습니다.”
그런 깡과 기백이라면 어디든 성공하지 못할까? 소매상과 굳건한 신뢰로 사업을 일으켰다. 소매상들에게 돈을 세어줄 때 번거롭다고 아예 돈통을 맡겼다고 하니 대단하지 않은가. 단박에 소문이 났다.
“진실한 믿음이란 한 점의 의혹도, 1%의 불순물도 섞이지 않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완전한 신뢰를 의미한다.” - 21쪽
그렇구나, 진실한 믿음이란 것이 이런 것이구나 싶었다. 한편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 온다고 했던가. 1989년 외사촌 형의 귀가 솔깃한 말을 해주었다. 미스터피자재팬이 한국에 진출하려고 파트너를 찾는다는 것이었다.
미스터피자재팬 호소카와 요시키 사장은 제일교포 3세였다. 당시 그는 뉴욕 레이스피자에서 피자수업을 마친 뒤 일본으로 돌아와 자기만의 독특한 레시피를 첨가한 브랜드를 세우고 일본 내에서 53개의 피자점을 운영하고 있었다.
정우현 사장은 일본 현지로 달려가 맛본 피자 맛에 온몸의 감각이 펄쩍 살아나는 느낌이 들었다고 고백한다. “세계 최고의 맛!”
“야, 정우현! 이 보물을 한국에 가져가서 성공시키지 못한다면 너는 한강에 빠져 죽어야 한다!”
그의 머릿속에는 이미 사업 구상이 착착 맞아 들어갔다. ‘이대 앞 마리포사 옆 가게를 매입하여 이대 1호점을 연다. 주방은 행인이 볼 수 있도록 전면에 배치한다. 그리고 배달샵이 아닌 다이닝샵으로 간다.’ 이렇게 해서 1990년 미스터 피자 1호점이 오픈했다.
미스터피자재팬과 계약을 맺은 지 1년 만에 1호점을 열었다. 속전속결이었다. 특히 도우 쇼의 반응은 뜨거웠다. 연일 쇼를 구경하기 위해 몰려든 어린이 손님들로 북적거렸다.
그렇다고 브랜드 사용료만 지급하며 편하게 장사한 것은 아니었다. 전량 미스터피자재팬에서 수입해 오던 소스를 자체 개발하는 한편, 서초점(2호점) 지하 공간에 도우 제조공장을 마련했다. 국내 최초로 ‘포테이토 피자’를 개발하는 등 소비자 입맛을 이끌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 마침내 창업 18년 만인 2008년 국내 피자업계 1위로 등극했다.
세계 제일의 맛
정중하고 진심어린 서비스
내 집 안방과 같이 편안하고 깨끗한 분위기
미스터피자가 지향하는 3대 원칙이다. 정우현 사장은 이 원칙을 굳건히 지키며 세계 1등의 피자를 만들기 위해 오늘도 땀 흘리며 뛰고 있다.
내가 이 책을 읽으며 무릎을 치며 메모했던 구절은 다음과 같다. 많은 영감을 안겨준 멋진 말들이다.
“작은 장사꾼은 돈을 벌지만 큰 장사꾼은 길을 튼다.” -22쪽
“특정한 상상에 땀을 쏟아 부으면 전혀 새로운 가치가 생긴다.” - 72쪽
“한계야말로 더 높은 곳으로 가는 계단이다.” - 73쪽